고려 말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권문세족의 성립과 그 성격
1.세족 층의 형성과 그 특징
2.고려 말 권력구조와 세족
3.고려 말 사회모순의 심화와 세족 층의 동향
4.고려 말 세족의 역사적 성격

Ⅲ. 신진사대부의 대두와 그 성격
1.신진사대부의 대두 배경
2.사대부의 성격과 용어에 대한 논의
3.사대부의 성격과 시기구분

Ⅳ. 개혁정치의 추진과 신진사대부의 성장
1.고려 말 개혁정치의 추진 - 충선왕, 충숙왕. 충목왕 공민왕의 개혁정치
2.고려 말 개혁정치의 성격
3.신진사대부의 성장 - 신진사대부의 성장기반, 성장분화에 대하여

Ⅴ. 맺음말

본문내용

서고 있었다. 따라서 공양왕 옹립 후 이성계파는 이색, 권근, 이임등을 숙청하였다. 사전개혁을 둘러싸고 대립하여 왔던 신진사대부 내의 두 세력은 공양왕 옹립과정에서 세력 균형관계가 무너져 정도전을 중심으로 한 급진적 개혁파가 확실한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공양왕 옹립을 지지했던 신진사대부는 왕조교체과정에서 다시 분화하면서 대립하기 시작한다. 공양왕 2년 5월에 발생한 윤이이초 사건은 무고로 판명되었지만 이성계파는 다시 대간을 동원하여 이색등에 대한 처벌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 사건을 처리해 나가는 과정에서 이성계파가 왕조교체의 의도를 분명히 드러내게 되자 공양왕은 이를 파악하고 이성계파의 입장과 일정하게 거리를 두고 있었다. 한편 윤이이초사건은 공양왕 옹립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세력집단에서 이탈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중심인물은 정몽주였다. 이성계파가 왕조 교체를 가시화 시키자 고려왕조를 유지하려는 세력집단의 중심인물로 정몽주가 활동 한 것이다. 이들은 공양왕의 지원을 받으면서 활동하였으므로 조선건국을 주도하고 있던 급진적 신진사대부는 이처럼 위기상황을 맞고 있었던 것이다. 이성계파는 이러한 정치적 위기를 정몽주 암살이라는 비상수단을 동원하여 타개하였고 곧, 공양왕을 폐위하여 조선건국을 가시화시켰던 것이다.
Ⅴ. 맺음말
지금까지 사대부의 기원과 성격에 관한 문제와 고려 말 정국과 조선 건국에 관한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사대부의 기원과 성격은 한국 중세사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깊은 것이었다. 사대부 존재에 대한 인정과 권문세족과의 차별성 여부에 따라 한국 중세 정치사에 대한 설명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연구사적인 접근의 결과 현재 사대부의 존재에 대해서는 모든 연구자 사이에서 공감을 얻고 있는 듯하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비록 반론이 있기는 하였지만, 대체로 사대부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은 오히려 사대부의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해주고 있으며, 이는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해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사대부와 민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야 할 점이 많다고 생각된다. 시진사사대부(新進士大夫)의 개혁론이 정치적인 차원에서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사회전제로 그 의미를 확장할 수 있으려면 아무래도 백성들의 동향과 개혁론의 상관관계에 대해 좀 더 풍부한 해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공민왕대 이후 정국의 동향과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의 성장, 그리고 조선 건국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이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선 성리학적 동류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들은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정치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우왕 대 두 세력으로 자기분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사대부는 지속적인 성장을 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조선건국의 의미를 유추해보면, 우선 충선왕대 이후 개혁정치의 종착점과 지배세력의 교체 과정이었다는 점에서 조선 건국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곧, 권문세족에 의한 사회경제적인 모순의 극복 과정이 개혁정치였다면 창왕(昌王) 대 전제개혁안과 과전법의 공포, 그리고 조선의 건국은 지배세력인 권문세족(權門勢族) 대신 개혁세력이었던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가 지배세력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는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는 점에서 개혁의 종착점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지배세력의 교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 참고자료 >
민현구, 1968,「신돈의 집권과 그 정치적 성격」 , 『역사학보』, 역사학회
박종기, 1992,「14세기 역사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역사와 현실』7 ,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2,「충선왕 즉위년(1298)‘개혁정치의 성격」, 『역사와 현실』7 , 한국역사연구회
전병무, 1993,「고려 충혜왕의 상업 활동과 재정정책」, 『역사와 현실』10 , 한국역사연구회,
김순자, 1995「고려 말 대중국관계의 변화와 신흥유신의 사대론」, 『역사와현실』15 , 한국역사연구회
박재우, 1995,「고려말 정치상황과 신흥유신」,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5,「공민왕대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최연식, 1995,「공민왕의 정치적 지향과 정치운영」,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홍영의, 1995,「고려말 신흥유신의 추이와 분기」,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1995,『한국역사입문』2, 풀빛
도현철, 1996,「고려말기 사대부의 불교인식과 대응」, 『역사와 현실』20. 한국역사연구회
이형우, 1997,「우왕의 왕권강화 노력과 그 좌절」, 『역사와 현실』23. 한국역사연구회
강은경, 2000,「고려후기 신돈의 정치개혁과 이상국가」, 『한국사학보』제9호, 한국역사연구회
도현철, 2001,「고려말 사대부의 왕안석 인식」, 『역사와 현실』42. 한국역사연구회
임용한, 2001,「고려후기 유학자와 국가개혁논의(서평)-
김인구, 1991,『고려후기 사대부의 경세론 연구』, 혜안」, 『역사와 현실』39. 한국역사연구회
김영수, 2002,「고려말 신돈의 정치에 대한 연구」上『동양정치사상사』1권2호, 한국동양정치사상학회
심재석, 2002,『고려국왕책봉연구』, 혜안
김인호, 2003,「원간섭기 이상적 인간형의 역사상 추구와 형태」,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종기, 2003,「원간섭기 사회현실과 개혁론의 전개」,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종기, 2003,「총론:원간섭기 유교지식인의 사상적 지형」,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신호웅, 2003,「공민왕대 신돈의 개혁정치와 우창비왕설」, 『이화사학연구』, 이화사학연구소
이익주, 2003,「14세기 유학자의 현실인식과 성리학 수용과정의 연구」,『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채웅석, 2003,「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역사와 현실』49, 한국역사연구회
박용운, 1988,『고려시대사』, 일지사
김광철, 1991,『고려 후기 세족층 연구』, 동아대출판부
한국역사연구회, 1994,『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7.0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