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동물조직학_레포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화관의 구조
2. 각 소화관의 구조와 명칭

본문내용

N: 림프소절(lymph nodule)
충수는 맹장(cecum)으로부터 돌출한 길이 10~15 cm, 직경 8 mm 정도의 가느다랗고 조그만 곁주머니(diverticulum)로 회장맹장판막(ileocecal valve)으로부터 2.5 cm 아래쪽에 존재한다. 가로단면에서 내강은 작고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장융모는 없으며 약간의 장샘(intestinal gland 리베르퀸움 crypt of Lieberkhn)이 존재한다.
점막의 상피는 단층원주상피이며 그 구성세포는 원주세포와 술잔세포가 대부분이다. 파네트세포는 거의 없으나 나타날 수도 있다. 특수염색을 하면 장내분비세포가 많이 나타난다. 점막고유판에는 림프조직의 세포가 매우 많으며 무리림프소절(aggregated lymph nodule)을 이루고 있다. 점막근육판은 얇으며 불완전해서 림프소절의 일부가 점막하층에까지 내려가 있다.
점막하층은 림프소절이 관찰되는 성긴결합조직으로 혈관과 신경이 위치한다. 근육층은 얇으나 내돌림층과 외세로층의 두 층으로 배열하고 있다. 바깥쪽은 복막으로 싸여있어 장막층을 형성한다.
충수의 내강은 좁으므로 막히기 쉬우며, 특히 림프조직의 활동이 활발한 사춘기(puberty) 무렵에는 림프조직의 비대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충수에 염증이 일어나며 이를 급성충수염(acute appendicitis) 또는 맹장염이라고 한다. 치료하지 않고 충수의 염증이 심해지면 근육층이 얇기 때문에 천공(perforation)되어 복막염(peritonitis)으로 진전되는 경우도 있다.
◎직장(Rectum)
[표본] 직장(rectum), H, H-E
x15 x100
MU: 점막층(tunica mucosa) TS: 점막하층(tunica submucosa)
MM: 점막근육판(lamina muscularis mucosae) IC: 내돌림층(inner circular layer)
OL: 외세로층(outer longitudinal layer) SE: 장막(tunica serosa)
CL: 리베르퀸움(crypt of Lieberkhn) LP: 점막고유판(lamina propria)
GC: 술잔세포(goblet cell)
직장에서도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직장 점막층(tunica mucosa)에는 장샘(리베르퀸움 crypt of Lieberkhn)이 있으며 장샘의 길이는 결장(colon)보다도 더 길다. 상피는 단층원주상피이며 대부분이 술잔세포(goblet cell)로 구성되어 있고 원주세포도 나타난다. 장샘의 바닥에는 분열하는 미분화세포(undifferentiated cell)를 관찰할 수 있다.
점막고유판(lamina propria)은 세포성분이 많은 성긴결합조직이며 단독림프소절(solitary lymph nodule)을 자주 관찰할 수 있다. 바깥쪽으로는 뚜렷한 점막근육판(lamina muscularis mucosae)이 관찰되지만 단독림프소절이 있는 곳에서는 얇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 점막하층은 점막고유판에 비해 세포성분이 적은 성긴결합조직이다.
근육층은 내돌림층과 외세로층의 두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장과는 달리 외세로층은 두께의 변화가 없어 결장띠는 나타나지 않는다. 직장의 앞쪽은 복막으로 싸여 있어 장막층을 이루지만, 뒤쪽은 후복벽에 붙어 있어 외막층을 이룬다.
◎직장항문 경계부(Rectoanal Junction)
[표본] 직장항문 경계부(rectoanal junction), H., H-E
x15 x100
JC: 직장항문 경계부(rectoanal junction)
CL: 리베르퀸움(crypt of Lieberkhn)
SS: 중층편평상피(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AV: 항문판막(anal valve)
IHV: 내치질정맥(internal hemorrhoidal vein)
AS: 항문조임근(anal sphincter)
CL: 리베르퀸움(crypt of Lieberkhn)
LP: 점막고유판(lamina propria)
GC: 술잔세포(goblet cell)
직장은 항문관(anal canal)으로 이어지며 항문관으로 이어지는 부분에서는 상피가 중층편평상피로 바뀌게 된다. 직장항문관 경계부 부근에서 직장의 장샘은 약간 짧아지며 갑자기 상피가 변화한다. 직장과 항문관이 이행되는 부위는 항문직장선(ano- rectal line, pectinate line, line of Hilton)이라고 하며 반듯하지 않고 톱니모양으로 나타난다. 이 부위에서 점막근육판도 점차 얇아져 없어지므로 항문관에서는 점막과 점막하층의 구분이 없어진다. 이행되기 전 직장의 표면에는 항문기둥(anal column, 모르가니 기둥 column of Morgagni)이라고 하는 5~10개의 세로점막주름(longi- tudinal mucosal fold)이 나타난다. 이 주름이 항문관으로 이행되는 부위에는 안쪽으로 깊게 들어간 항문곁동(paranal sinus)이 있다.
항문관의 점막에는 가로방향으로 반달모양의 주름이 있으며 이를 항문판막(anal valve)이라고 한다. 항문관의 점막에는 털과 연관되지 않은 피지샘이 관찰된다. 점막층과 점막하층에는 내강이 큰 정맥도 여러 개 나타나며 이는 직장정맥얼기(rectal venous plexus), 즉 내치질정맥(internal hemorrhoidal vein)의 혈관이다. 항문관의 근육층 중 내돌림층은 두꺼워져 항문조임근(anal sphincter)을 형성한다.
항문관의 상피는 각질화되어 있지 않고 항문으로 이행되는 부위에서 각질화되며 상피 기저부에는 멜라닌이 많이 나타난다. 이 경계부분은 항문피부선(anocutaneal line)이라고 한다.
항문의 피부부위는 항문관 바깥쪽의 각질중층편평상피가 있는 부분이며 색소가 많이 침착된 피부부위로 기저층에는 멜라닌과립을 함유한 각질세포와 멜라닌세포가 많이 나타난다. 피하조직에는 부분분비땀샘(apocrine sweat gland)이 있으며 이를 항문주위샘(perianal gland)이라고 한다. 항문 피부부위에는 털 및 털과 연관된 피지샘도 많이 관찰된다.
  • 가격4,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07.0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5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