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 소설 - 전기소설과 금오신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기 소설과 금오신화
2. 금오신화의 미학과 문제의식
3. 침중기, 조신전, 만복사저포기의 기술방법 비교 연구
4. 이생규장전

본문내용

을 한 차원 높게 승화시키기 위한 과정이나 단계로 꿈을 이용하고 있다. 즉, 세속적 욕망으로 가득 찬 미혹의 상태가 꿈이라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보다 높은 정신세계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김만중의 ‘구운몽’도 이런 구조로 짜여진 대표적 작품이다.
또한 조신전은 불도 정진을 권유하는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만들어진 불교 설화로서 거의 창작의 세계에 접근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불교에서는 모든 번뇌와 고통의 원인이 부질없는 욕망에의 집착에 있다고 본다. 조신전은 세속적 욕망에서의 집착(꿈 이전의 조신)→꿈속에서의 고통스러운 삶→욕망이 고통의 원인이라는 자각(꿈 이후의 조신)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적 장치는 탐욕스러운 인간의 욕망은 결국 고통의 원인이 됨을 보여줌으로써, 허황된 사랑에 대한 열망이 얼마나 속절없는 것인가를 일깨우려는 주제의식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또, 굶어 죽어 묻힌 아이가 미륵불로 나타났다는 내용으로 보면 미륵불 중심의 신앙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전체 구성으로 보아 조신을 깨달음의 상태로 이르게 한 것은 관음보살의 힘이었다. 이 설화의 배경이 된 지배적 신앙 형태는 관음신앙이라 고 할 수 있겠다.
(3)만복사를 의미 단락 단위로 기술의 제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구 성
단락내용
기술방법
제재의 배열
발 단
1)만복사 기거
설 묘
나열식
전 개
2) 최관 예고
3) 저포놀이 승리
4) 낭자 출현
5) 낭자와 결연
6) 창화
7) 개녕동 3일 기거
8)송별 시회
9) 낭자부모 상면 권고
서 사
서 사
설 묘
서 사
서 사
*묘사
설 묘
서사
*묘사
서 사
나열식
나열식
시간적(다음날)
시간적
시간적
시간적
시간적
나열식
시간적
갈 등
10) 부모에게 전말을 고함
11) 낭자와 탈상제 참석
설 서
서 사
시간적
시간적
절 정
12) 낭자의 혼과 이별
서 사
시간적
결 말
13) 개녕동에서 다시 장례
14) 치제중 나타나 선업 공덕을 부탁
15) 말년 미상
서 사
서 사
설 명
인과적
인과적
삽화적
이상에서 보다시피 만복사는 구성상 발단-전개-갈등-절정-결말로 이어지는 소설의 5단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전개부*갈등부에서 부처와의 갈등*낭자 부모와의 갈등이 미약하나마 2차례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방법은 설명 5( 설서 1* 설묘 3 포함), 서사 8, 묘사 2로 나타나듯이 침중기와 조신전에서 볼 수 없을 정도로 서사의 확대와 묘사의 문장을 발견할 수 있다. 이로써 볼 때, 만복사는 뚜렷한 작가가 있고, 구체적으로 기술되고, 인귀교류는 오늘의 영혼관에 입각해 보더라도 얼마든지 실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적 소재를 다루고 있으며, 유기적 구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로 다루는 데 하등의 문제가 없다고 생각된다.
4. 이생규장전
(1) 단하나만의 사랑
이 작품의 전개 방식은 앞부분에는 남녀 주인공의 자유 연애를 설정해 놓았고, 뒷부분에는 ‘만복사저포기’와 같은 인귀 교환 설화로 구성해 놓았다.
따라서 전반부에서 주인공이 ‘효’라는 도덕 규범을 파괴하면서까지 힘겹게 사랑을 성취해 가는 과정을 그렸는데, 이와 같은 사랑은 당시 유교 사회에서는 용납될 수 없는 것이었다. 이처럼 관습을 과감히 깨뜨리고 실천한 행위는 작가의 솔직하고 대담한 애정관의 반영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작품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는 것은 이생의 부인(최 처녀)의 죽음으로 인한 가정적 파멸과 불행이기 때문이다.
작자는 이 문제를 환상적인 재회의 이야기로써 해결했다.
즉, 삶과 죽음의 세계를 가르는 법은 엄한 것이지만, 두 사람 사이의 깊은 사랑으로 인해 최씨 부인은 환신이 되어 다시 이생을 찾아온 것이다.
인간의 간절한 소망과 사랑은 죽음과 같은 절대적 장벽을 넘어서까지 이어질 수 있고, 또 마땅히 그러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통해 '이생규장전'의 깊은 뜻과 감동이 나타난다. 그런 뜻에서 이 작품의 주제는 '삶과 죽음의 경계선을 넘어선 간절한 소망과 사랑, 또는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후반부에서 전기적인 내용으로 이를 합리화함으로써, 살아 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 사이의 사랑과 결혼이라는 화소를 도입하여 환상적이고도 애절한 사랑을 엮어냈다.
‘이생규장전’을 통해서 우리는 이승과 저승의 한계를 뛰어넘은, 즉 죽음을 초월한 지극한 사랑을 엿볼 수 있다.
(2)죽은 여자와의 사랑의 의미
이 작품에 드러나는 귀신과의 사랑은 최치원의 <수이전(殊異傳)>에 나타나 있어 작자는 이러한 전설을 바탕으로 삼아 작품을 창작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이 설화가 아닌 소설인 까닭은 자신들의 사랑을 좌절시키려는 세계의 횡포에 대해 주인공들이 치열하게 저항하는데 있다.
즉 주인공과 세계 사이의 갈등이 치열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극적 모습이 귀신과의 사랑이다. 현실적으로 좌절된 사랑을 귀신과의 사랑으로 바꾸어 성취시키는 것은 분명히 역설이지만, 이 점이 이 소설의 전기적 특성을 드러내는 요소이다.
여자는 전설에서처럼 문자 그대로의 죽은 여자가 아니라 열렬한 사랑의 의지와 그것을 용납하지 않으려는 세계가 대결하는 모습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역설(逆說)입니다.
(3) 결말의 기능
결말의 처리방식이 특이하다.
주인공은 끝에 가서 세상을 등지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고전소설에서 종결부가 행복한 결말로 처리되어 있는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주인공이 세상을 등지는 것은 운명에 대한 순종이나 패배가 아니라 그릇된 세계의 질서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비장한 결단의 표현이다.
여기에 작품의 비극적 성격과 심각한 문제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여타의 전기소설이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사랑이라는 주제를 강하게 부각하고 있으며, 동시에 개성있는 인물이 등장하고 이들이 변화하는 모습을 담고 있는 소설이며, 삽입된 시는 이 작품의 분위기 형성과 개연성의 획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생규장전은 그 결말이 사뭇 비극적인데 이것은 현실의 질곡에 대한 진지한 고찰과 함께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8.31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