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국자감]고려시대 국자감의 특징, 고려시대 국자감의 성격, 고려시대 국자감의 목적, 고려시대 국자감의 창설, 고려시대 국자감의 내용, 고려시대 국자감의 변화, 고려시대 국자감의 교육사적 의의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 국자감]고려시대 국자감의 특징, 고려시대 국자감의 성격, 고려시대 국자감의 목적, 고려시대 국자감의 창설, 고려시대 국자감의 내용, 고려시대 국자감의 변화, 고려시대 국자감의 교육사적 의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려시대 국자감의 특징

Ⅲ. 고려시대 국자감의 성격

Ⅳ. 고려시대 국자감의 목적

Ⅴ. 고려시대 국자감의 창설

Ⅵ. 고려시대 국자감의 내용

Ⅶ. 고려시대 국자감의 변화
1. 향사의 변화
2. 양사의 변화
3. 선사의 변화

Ⅷ. 고려시대 국자감의 교육사적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고, 學校制度와 科擧制度가 연계됨으로써, 儒學敎育 이외의 敎育은 制度的으로 배제되었고, 교육을 받으려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儒學에 入門해야 했다. 그리고 國子監 中心 敎育體制는 당시의 교육세계 전체를 지탱하는 制度的인 틀이었다.
둘째로 高麗 前期에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던 교육이 國子監을 중심으로 體制化됨으로써, 敎育에 대한 公的 觀念이 강화되었다. 高麗 中期까지, 國家가 敎育에 責任을 지고, 가능한 한 敎育의 機會를 擴大해야 한다는 觀念은 그다지 강하지 않았다. 이 점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高麗 前期의 敎育狀況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高麗 前期의 특징이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는 羅末麗初의 敎育狀況을 고찰하는 것은 그 차이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다.
高麗史 列傳에서 高麗의 建國 時期부터 成宗朝까지 科擧에 合格한 인물, 文翰機關에 소속되었던 인물, 어렸을 때에 儒學敎育을 받았다는 증거가 확실한 인물들을 선택해서, 그들의 出身地域과 修學類型을 정리한 것이다. 물론 이 사례만으로 당시의 교육상황을 모두 드러낼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은 최고의 교육을 받았던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羅末麗初의 代表的인 修學類型과 敎育의 中心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인물들의 출신 지역은 고려 초기에 儒學敎育이 시행되었다고 추정되는 지역이다. 자료에 따르면, 對象 地域은 黃州, 慶州, 南海, 利川, 湍州, 全州, 靜州, 衿州, 淸州, 開城, 樹州 등 현재의 黃海道 이남 지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또한 지방의 큰 행정구역인 州만이 아니라 郡이나 縣에까지 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당시의 儒學敎育은 일련의 敎育體制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個別的으로 또는 私的으로 시행되었다. 修學類型을 확인 할 수 있는 인물을 살펴 보면, 崔彦와 崔亮은 唐에서 儒學하였고, 崔知夢, 金審言은 私塾에서 敎育을 받았다. 崔承老와 韓彦恭은 文翰機關의 학생으로서 수학하였다. 徐弼은 이천 지역의 刀筆吏였다는 점에서, 그 地域의 學校에서 수학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당시에는 아직 전형적인 의미에서의 鄕校가 설립되지 않았던 시기이므로, 이 學校도 私塾의 一種이었을 것이다. 자세한 자료가 확인되지 않는 나머지 인물들도 이들 네 가지 유형 가운데 어느 하나에 속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비록 高麗 初期에 儒學敎育이 상당히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어디까지나 私的인 교육이었지, 國家가 운영하는 敎育體制 속에서의 公的인 敎育은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成宗이 國子監과 鄕校를 설립하면서도, 文臣들의 私塾을 대대적으로 활성화시키려 한 것, 文宗이 私學이 設立을 권장하였던 것은 이러한 私的 敎育의 傳統이 강한 狀況에서 취해진 정책이었다.
이러한 高麗 前期의 敎育狀況을 감안한다면, 高麗 中期에 國子監의 位相이 강화되고, 敎育體制가 形成된 것은 學校의 運營方式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變化는 고려인들이 기존의 敎育에 대한 觀念 대신에, 새로운 敎育體制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敎育에 대한 觀念을 받아들였음을 의미한다. 즉 이 時期의 고려인들은 예전처럼 敎育을 私的인 活動으로 규정하던 觀念에서 벗어나, 敎育을 公的인 課業으로 認識하고, 그러한 認識을 實現시키는 制度를 만들어갔던 것이다.
참고문헌
금충열 : 고려유학사, 고려대출판부, 1984
박기현 : 손에 잡히는 고려이야기
이병도 : 한국유학사, 서울, 아세아문화사, 1987
이용하 : 교육시장 개방과 교육기관의 국제화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제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1998
이문원 : 고구려의 교육기관, 서울 : 중앙대학교『논문집』제27집, 1983
한기언 : 한국교육사, 서울 : 박영사, 1983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9.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0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