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문학예술][북한 문학예술의 이론][문학중심문예]북한 문학예술의 개념, 북한 문학예술의 종류, 북한 문학예술의 사회적 역할, 북한 문학예술의 정책, 북한 문학예술의 이론, 북한 문학예술의 문학중심문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문학예술][북한 문학예술의 이론][문학중심문예]북한 문학예술의 개념, 북한 문학예술의 종류, 북한 문학예술의 사회적 역할, 북한 문학예술의 정책, 북한 문학예술의 이론, 북한 문학예술의 문학중심문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북한 문학예술의 개념

Ⅲ. 북한 문학예술의 종류

Ⅳ. 북한 문학예술의 사회적 역할

Ⅴ. 북한 문학예술의 정책
1. 북한헌법(1998. 9. 5) 제52조
2. 문학예술의 기능적 측면 강조

Ⅵ. 북한 문학예술의 이론
1. 주체문예이론
2. 종자론
3. 군중예술론

Ⅶ. 북한 문학예술의 문학중심문예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학을 제외한 각 장르의 작품의 기본 줄거리를 문학을 통해 창작하기 때문이다.
북한의 모든 예술은 서사가 있어야 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창작 원칙에 따라 현실을 반영해야 하고, 예술작품을 통해 인물의 성격 발달과정, 즉 일반인에서 혁명가로서 발전하는 모습, 변화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문학, 영화, 연극, 가극과 같이 서사를 포함할 수 있는 장르는 물론이거니와 무용이나 가요에서도 인간성의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문학은 바로 작품에서 이야기하는 주제(종자)를 창작하는 가장 기본적인 예술인 것이다. 북한 문화예술에서는 형사화할 수 있는 대상은 제한되어 있다. 김일성 주석의 항일무장혁명투쟁기 시절 창작했던 작품이나 그 시기를 배경으로 창작한 작품,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위대한 사상적 면모를 그린 작품, 사회주의 건설을 위해 땀 흘리는 노동자, 전쟁 시에 보여준 인민들의 간고한 투쟁, 사회주의 위대성을 표현한 작품, 남조선 사회에 대한 비난이나 제국주의의 모순을 표현한 작품으로 한정된다.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이야기 줄거리가 완성되고 검열을 통과하면 다른 장르에서는 이를 해당 장르로 옮기는 것이다. 이 기본 줄거리를 만드는 것이 작가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용이라고 해서 무용의 특성을 발휘한 작품보다는 문학적 주제를 어떻게 무용으로 옮길 것인가가 문제가 되며, 음악에서도 음악적 특성을 살리는 작품보다는 주제를 잘 표현할 수 있는 가의 방법론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따라서 북한 문화예술은 작품 제목만으로는 어떤 작품을 이야기 할 수 없다.
북한의 대표적인 작품인 <피바다>를 예로 들어보자 <피바다>는 김일성이 창작한 작품으로서 1936년 여름 처음 공연되었으며, 1960년대 말~1970년대 초 여러 ‘예술형식’으로 옮겨졌다. 1969년에는 영화 <피바다>로, 1971년에는 가극 <피바다>로, 1972년에는 장편소설로 각각 옮겨졌으며, 교향곡 <피바다>, 가요 <피바다> 등으로 창작되었다.
Ⅷ. 결론
북한의 문학 및 예술작품은 김일성 주체사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구현했느냐에 따라 작품의 완성도가 결정된다고 보아도 과언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5대 혁명가극과 5대 혁명 연극은 북한 예술의 처음이자 끝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체 사상의 창시자라는 김일성이 30년대에 이 작품을 직접 만들었고, 김일성 후계자인 김정일이 70년대 들어 이들의 재창조 작업을 관장 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북한에서는 이 일련의 작품들이 ‘불후의 명작’으로 일컬어지고 있고, <피바다>, <꽃피는 쳐녀>등은 무대 예술로써만이 아니고 소설로, 그리고 영화로 만들어 지기도 했다.
표면적으로 이 작품들은 권선징악(勸善懲惡)을 내세우지만, 구체적으로 볼 때 계급성, 혁명성, 정치성 이념을 기초로 해서 폭력혁명과, 계급투쟁을 부각하는 것으로 일관돼 있다.
물론, 계급성혁명성 등은 김일성의 주체사상이라는 외피아래 미화돼 있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에서는 이상하리만치 이 작품들의 실체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채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오히려 찬양하는 현상까지 빚고 있다.
그 원인은 작품들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가치관이 서 있지 않기 때문임을 두말할 나위 없다.
참고문헌
* 김갑철, 북한학개론, 문우사, 1990
* 김대행,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사상사, 1992
* 남인숙, 북한의 체제유지를 위한 사회문화적 배경, 통일문제연구19집, 1993
*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Ⅰ), 고려원, 1990
* 아놀드 하우 저, 백낙청 역,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창작과 비평사, 1996
* 어른스트 피셔 외 지음, 예술의 새로운 시작, 지양사, 1985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9.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