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한시와 서사한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정한시
1) 삼국, 통일신라기
2) 고려 전기
3) 무신의 난, 고려 후기
4) 조선 전기
5) 조선 후기
2. 서사한시
1) 고려말 서사한시
2) 조선조 서사한시
3) 백성의 고통을 그린 서사시
4) 남녀의 사랑을 묘사한 서사시
5) 여인의 비극적 생애를 그린 서사시
6) 결론

본문내용

국사기>소재 가실과 서씨녀의 일을 그린 이광사의 <파경합>이 있다. 3인칭 객관적 시점을 사용하여 내용이 완전히 서사적으로 재구성되고 확장되었다.
이 작품에서 달 측의 적극적인 신의에 대한 강조와 승리는 고전적인 전통 위에 있는 것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여성이 수동적인 위치에서 능동적으로 자기주장을 펴는 위치로 변모된 데에는 그 시대적 의미가 상당히 채색된 느낌을 받는다. 또한 신의의 고귀함을 더욱 부각시켜 감동적으로 그린 것은 신의보다 물질에 더 경도되는 당시 세태를 경계하는 작가 이광사의 뜻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5) 여인의 비극적 생애를 그린 서사시 중에는 정약용의 <도강고가부사>가 있다. 눈이 어두운 아버지에게 속아 늙고 포악한 소경에게 시집가게 된 한 아름다운 18세 처녀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 것이다. 주인공 자신보다 나이 많은 전처 자식들과 남편의 학대에 견디다 못해 친정에 돌아와 “다시는 여자의 도리 돌보지 않으렵니다”라고 절규한다. 그러나 어머니의 간곡한 말씀을 듣고 시가로 가지만 결국 며칠 후에 다시 집을 나와 중이되고, 이 사실을 알게 된 소경이 거짓으로 소장을 올려 관가로 끌려가게 된다.
살기 어려울 때 여자가 중이 되는 것은 많은 작품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여자의 도리는 상관하지 않겠다 하고 스스로 중이 되는 소경 아내의 행동은 자의식이 뚜렷하고, 그렇기 때문에 어머니의 개가 권유에 귀를 막고 “차마 들을 수 없군요”라고 하는 거부는 사대부 여인들의 열절에 대한 지향과는 차이가 있다. 그것은 시인이 이시의 핵심을 여인의 열절보다 도덕관의 타락에 귀결시키고 있는 점에서도 보여진다. 이작품에서 단순히 청자 또는 방관자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시인은 구경꾼들의 웅성거림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그의 시각을 전달하고 있는데, 이들의 비판은 이욕에 눈이 어두운 아버지에게 집중되어 있다.
결론
조선조 후기 범인 특히 여성 서사시는 5언고시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고 장시란는 점이 특색이다. 이것은 당시 산문화 추세, 소설문학의 성행 등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것은 서사 한시의 내용이 당시 소설과 여러 측면에서 상당히 궤적을 함께 하는 점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또 한편 서사시의 내용이 하층백성을 주인공으로 하여 신분의 붕괴, 도덕관의 상실, 여성 수난, 비극적 결말 등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등, 소설에 비해 문학의 사실성에 한층 근접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자못 심대하다.

키워드

서정,   한시,   서사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