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구조와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본문내용

발사빈도가 증가하면 박동수가 감소된다.
(5) 혈압
혈관의 이름에 따라 동맥혈압, 정맥혈압, 모세관혈압 등으로 구별된다. 보통은 동맥혈압을 뜻할 때가 많은데 이는 심장박동에 의해 변동한다.
혈압은 혈액을 순환시키는 원동력이다. 심실이 수축하여 혈액이 동맥 속으로 밀려나갔을 때의 혈압을 수축기압이라 한다. 심실이 확장하여 혈액이 밀려가지 않을 때에도 동맥벽이 탄력이 있어 혈액을 압박하고 있어 혈압이 0이 되진 않는다. 이때의 혈압은 이완기압이라한다. 그리고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의 차이를 맥압이라 한다. 심장으로부터 밀려나가는 혈액량이 증가하거나 동맥혈관의 탄성이 낮아지면 맥압은 증가한다.
일반인의 정상적인 수축기 혈압은 120mmHg, 확장기 혈압은 80mmHg, 평균동맥압은 100mmHg, 맥압은 40mmHg정도이다. 평균동맥압은 수축기혈압+이완기혈압×2/3으로, 심장주기의 압력-맥파곡선을 시간으로 적분하여 얻은 중간치이다. 맥파란, 혈액이 동맥계로 박출되어 대동맥이나 직경이 큰 동맥벽을 확장시켰을 경우 동맥벽에서 형성되는 진동파이다. 이러한 맥파를 말초동맥에서 촉지한 것이 맥박이며, 맥박의 횟수는 심박동수와 같다. 혈압은 식사와 자세, 운동상태, 정서상태, 통증, 카페인, 약물 등에 의해 계속해서 변화하는게 특징이다.
4) 심장기능 조절
(1) 신경절 조절
심장은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나 이 두 신경계만으로는 자발적인 흥분발사를 이루지 못하여 심장중추에 의해 이를 주관하고 있다. 심장중추는 연수에 위치하고 있으며 심박동을 촉진시키는 심장촉진중추, 심박동을 억제시키는 심장억제중추로 명확한 구분은 없으나 서로 인접하여 위치한다. 또한 이 외에도 혈관직경을 축소시키는 혈관수축중추, 혈관직경을 확장시키는 혈관이완중추가 있어 혈액순환을 조절한다.
(2) 심장반사
대뇌피질 또는 말초부위에서 받은 자극을 심장중추로 보내고, 심장중추에서는 흥분을 다시 말초신경을 거쳐 심장으로 보내어 심장활동을 조절한다. 이를 심장반사라 한다.
심장반사기전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동맥궁과 경동맥궁에 혈압변동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되는 압수용기가 있다. 혈압이 높아질 때 압수용기가 흥분하고, 이 흥분이 미주신경의 구심섬유를 거쳐 심장중추로 전도된다. 이때 심장촉진중추는 부교감신경의 원심섬유를 거쳐 심장을 억제시킴으로, 혈압은 낮아진다. 그로 인해 압수용기에서 흥분반사가 심장촉진중추로 올라오지 않아 다시 심장은 촉진적으로 조절된다.
내장에 분포되어 있는 내장신경이 흥분되면 반사적으로 심장의 박동수가 줄어들게되는데, 이것이 골츠반사이다.
안구를 양손 끝으로 눌러서 안구내압을 높이면 심장억제중추를 흥분시켜 심장을 억제적으로 조절하는데 이것을 아쉬너 반사 또는 안구압박반사라 한다.
심장 또는 대정맥의 내압이 높아지면 심장에 촉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사기전이 있다. 이것을 메인브리지 반사 또는 심방반사라 한다.
피부에 분포되어 있는 감각신경들을 과도하게 자극하면 이들이 흥분을 일으켜 구심성 신경으로 전도하여 심장중추에 영향을 미치고 반사적으로 심장을 억제적으로 조절한다. 이는 여름철 해수욕을 위해 더운 환경에서 찬 바닷물로 갑자기 뛰어드는 경우 심장마비가 일어나는 기전이다.
(3) 고위중추성 조절
사람의 희노애락을 주관하는 중추는 대뇌피질에 있어 중추가 흥분되면 심장에 영향을 미쳐 심장을 촉진적 또는 억제적으로 조절한다. 화를 내거나 흥분할 경우 얼굴이 붉어지고 심박동수가 증가되는 것, 슬플때 심장이 억제작용을 하여 졸도하거나 얼굴이 매우 창백해지는 것은 이 조절에 의한 것이다.
(4) 액성조절
혈액내 화학물질 또는 호르몬의 변동에 의해 심장이 조절되는 기전을 액성조절이라 한다. 대동맥궁과 경동맥체 부위에는 화학 수용기가 있는데 이 수용기는 혈액내의 탄산가스분압이 높아지고, 산소의 분압이 동시에 낮아지면 이것이 하나의 자극이 되어 흥분발사를 한다. 이 흥분발사는 심장 억제중추를 억압하므로 심장촉진중추의 영향을 받게된다.
Ⅲ.
※참고문헌※
1. 소명숙 외(1997), 인체생리학, 고문사, pp.177~191.
2. 이승아 외(2009), 인체생리학, 현문사, pp.174~184.
2. 데릭 홀(2007), 인간의 몸, 에코리브르, pp.28~30.
3. 손정태 외(2006), 기본간호학(Ⅲ), 현문사, pp.715~726.
4. 최정신 외(2005), 기본간호학(Ⅲ), 형설출판사, pp.388~410.
5. 이성호 외(2009), 인체해부학, 현문사, pp.193~213.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0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2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