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자원학부 식량자원 세미나 수업 - 농업 ․ 농촌의 가치 재발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 리 말

2. 경제 발전과 농업의 역할 변화

3. 농업․농촌의 기대되는 기능과 역할
 3.1. 산업적 기능
  3.1.1. 국민 식량의 안정적 공급
  3.1.2. 농촌인력의 고용 및 소득기회 제공
 3.2.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
  3.2.1. 국토자원의 보호와 환경보전
  3.2.2. 지역사회의 유지와 전통문화 보전

4. 미래 농업․농촌의 비전

5. 맺 음 말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제의 성장과 안정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농업은 부존자원의 부가가치와 고용을 창출하는 현지, 지역 산업이며, 농촌은 전통지역문화 계승터전, 정치사회의 안정기반이라는 사회문화적 인식이 필요하다. 급격한 이농은 도시의 주택난, 교통빈민문제 등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농촌은 우리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유산을 유지하는 뿌리이다.
다섯째, 농업이 미래지향적인 지식산업으로 변모해 나가야 한다. 특히 선진국에 비하여 토지자원 제약이 큰 우리 농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하는 길은 토지의존형 농업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첨단기술과 지식이 끊임없이 창조되고 응용되는 지식농업(knowledge-based agriculture)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미 신지식 농업인들이 그 선두에 나서고 있으며, 농업에 대한 직업 의식도 점차 바뀌어가고 있다.
미래의 농업은 비록 산업적 비중은 감소하지만 한사회공동체의 삶의 총체적 가치기여는 더욱 커질 것이다. 공익적 기능과 점점 중요해지는 공간적 기능, 쾌적함과 안전성의 요구가 그러하다. 즉 복합식품산업으로서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변모하게 되며, 농촌은 단지 식량생산의 공간이 아니라 국민과 함께 거주하는 다양한 산업공간 및 쾌적한 삶의 터전으로 자리잡게 되고, 농업인은 경영능력과 기업가정신을 갖추고 첨단기술 정보를 활용하는 전문경영인으로서 타산업 종사자 못지 않은 생활수준을 실현하게 될 것이다.
5. 맺 음 말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우리 농업은 국내외의 새롭고도 근본적 여건 변화 속에서 많은 과제에 당면하고 있다. 특히, 주목하지 않으면 안될 과제로서 농업의 절대적 산업규모의 축소 경향을 더 이상 지속하게 하지 않아야 하며, 이를 통하여 농촌이 안정된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발전해야 하는 필연성이 지적된다. 이러한 과제는 서로 보완 관계에 있는 동시에 농업을 둘러싸고 있는 국민 경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농업농촌의 역할은 농가 및 농촌 지역의 생산 공간에 주어지게 되는 기능으로서,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농업 생산이 국민의 식량 공급이라는 기능을 담당하면서 그 생산 주체인 농업인(경작자)에게 소득 기회를 제공하며, 나아가서 생산 활동을 통하여 그 생산 공간인 농촌 지역의 토지 및 수자원을 관리하는 동시에, 건전한 지역 사회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농업농촌에 주어진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담당해 왔던 것 보다 더욱 명확하게 분담되어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농가 및 지역마다 적극적인 자세로 책임 있게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국민 식량의 안정적효율적인 공급의 기능은 산업적인 측면이 강하므로, 이 역할은 경영 능력이 우수한 농가가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반면에 농업의 공익적 기능은 모든 농가에게 공통적인 사항이기는 하지만, 특히 국토 자원의 유지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운 지역의 농가가 담당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직접지불제도를 통하여 중산간지와 같은 조건불리지역의 농지를 관리하고 보전하는 기능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
더욱이 우리 농업은 세계 농업과도 보완 혹은 경쟁 관계에 있다. 세계 농업은 분업화(分業化)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시장 효율이나 경제 효율이 중시된다. 물론 농업이 효율만을 추구할 수는 없지만, 이것이 정당하다는 것은 부정하기 어렵다. 오늘날의 경제 체제에서 경제 효율을 부정하는 것이 얼마나 모순된 것인지는 최근 동구사회주의 경제가 붕괴된 사실을 보더라도 명확하다.
이러한 흐름을 간파하여 우리 농업은 어떠한 위치에 있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좌표를 명확하게 정립하여야 한다. 이는 정부만이 할 일이 아니며 할 수도 없는 성질의 것이다. 앞으로의 농업은 정부와 농업인 그리고 도시 소비자들이 책임과 의무를 분담하고, 농업에 주어진 기능을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비로소 지속적인 발전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고 확신한다.
나아가 소비자인 국민의 협력이 필요하다. 농업인은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품질을 높여 외국쌀과의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하겠지만, 궁극적으로 우리 농업의 존립은 소비자의 선택에 달려 있다는 점을 다시 새겨야 한다. 만일 국민들이 우리 농산물을 외면한다면 우리 농업이 설자리가 없는 것이다.
이제 21세기로 발돋움하여 새로운 천년을 향하는 우리 농업은 선진국가의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생명산업으로, 국토를 풍요롭게 가꾸는 환경산업으로, 그리고 농촌사회의 전통을 보전하는 문화산업으로 자리잡아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진현,「한국은 어떻게 가야 하는가: 국격국력 ...선진화를 위한 제2독립운동」, 매일경제신문사, 1993.
Wilfrid Legg 농업의 환경적 가치 OECD사례. 임송수 역 2000.
구로야나기 토시오 농산물 수입과 농업, 농촌의 가치의 손실 김태곤 역 2000.
우로자와 히로부미 농업, 농촌의 가치의 재발견 임정빕 역. 2000.
김진현 새시대 농업, 농촌의 가치 2000.
Kim Jin-Hyun, Reflections on Modern 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The University of Seoul, Vol1, Number 1 Spring-Summer, 1997.
농협중앙회 조사부,「올바른 농업관」, 농협리포트 통권 제12호, 1994.
장권열,「농업철학」, 향문사, 1988.
21세기 농정비전 작업반,「21세기 농업농촌 비전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C99-31, 1999.
한국개발연구원, 「지식기반경제 발전을 위한 종합계획 정책연구」, 1999.
한국농업경제학회,「농업의 재발견- 본질적 가치와 발전방향」, 도서출판 이진, 1995.
Hill, Johnson D. and Walter E. Stuermann,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of Agriculture, 이은웅 역, 향문사, 1988.
Thurow, Lester C. The Future of Capitalism, 유재훈역, 고려원, 1997.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