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교 (Mission)
2) 선교체, 선교행위 (Missions)
3) 복음화 (Evangelization)
4) 기독교화 (Christianization)
2) 선교체, 선교행위 (Missions)
3) 복음화 (Evangelization)
4) 기독교화 (Christianization)
본문내용
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에서는 사복음서의 마지막에 기록된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참조 마 28:18-20, 막 16:15, 눅 24:46-49, 요 20:21, 행 1:8)들을 단순하게 이해하여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땅 끝까지 전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에큐메니칼 입장에서는 선교를 이해할 때 사회적 구원에 역점을 둔다. 즉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드는 운동과 고통으로부터 사회를 구원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세상을 구원하기 위한 중요한 세 가지 요소들, 즉 1) 현 상황에 대한 사회 정치적인 분석 (a socio-political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2) 가능한 한 참여하고자 하는 선한 의도 (a good intention to get as involved as possible), 3) 기술적인 노하우 (technical know-how)가 절실하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가 유의해야 할 것은 이 세상이 그 자체의 깊은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열쇠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의 삶과 사역에서 선교의 방향을 찾을 수 있고, 세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마태복음 9장과 10장을 보면, 세상의 문제들에 대한 예수의 해답에 대해 네 가지의 특징들을 볼 수 있다.
첫째로, 예수는 온 성과 촌으로 다니면서 복음을 전파하고 치유사역을 하였다(마 9:35). 그것은 그의 사명과 사랑, 무엇보다도 승리하는 능력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이 고통하는 세상에 임하게 하는 것이었다.
둘째로, 우리는 최초로 세상의 진정한 필요인 예수님의 긍휼을 본다(마 9:36). 그의 긍휼은 목자없이 유리하고 방황하는 양무리 들의 절망적인 모습을 추수할 많은 곡식으로 덮혀 있는 소망의 들판의 비젼으로 변화시킨다. 이 세상의 이러한 필요들은 바로 하나님의 나라의 승리를 얻기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이 고통 받는 세상은 예수님의 역동적인 구원의 능력 앞에 항상 열려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로, 예수님은 그의 제자들에게 선교사역을 위해 자원 할 것을 말씀하지 않으시고, 추수하는 주인에게 추수할 일군을 보내어 주시도록 기도하라고 말씀하셨다(마 9:38).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그의 구원의 계획을 위해서 스스로 선택한 종들을 불러 세우고 계신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넷째로, 예수님은 그의 사역을 위해서 그의 제자들 가운데서 열두 제자를 선택하여 사도로 세우시고, 그가 행하셨던 동일한 사역을 수행하도록 파송하셨다(마 10:1-5).
Peter Beyerhaus는 다음과 같이 선교의 개념을 말하고 있다.
첫째, 선교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다(A Mission which Glorifies God). 우리는 하나님의 다스리심을 영화롭게 하며, 그분의 구원의 역사를 온 세상에 증거 하도록 부르심을 받고 보내심을 받았다. 선교의 우선적인 관심은 사람이 아니요, 하나님 자신인 것이다. 오늘날 이러한 사실이 종종 간과되고 있고, 때때로 부정까지도 되고 있다. 선교는 세상의 대변인이 되는 것이 아니요, 세상에서 하나님의 대변인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 구약성경에서 우주 종말적인 비젼의 극치는 모든 열방들이 하나님을 찬양할 것이라는 말씀인 것이다. 신약성경에서 예수님은 이 땅에서의 그의 사역을 요약하여, “내가 아버지를 이 세상에서 영화롭게 하였다”(요 17:4)고 말씀하셨고, 그는 임박한 죽음과 부활을 앞두고, “아버지여 창세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던 영화로서 지금도 아버지와 함께 나를 영화롭게 하옵소서”(요 17:5)라고 기도하셨다.
그리하여 예수님은 그의 사명대로 십자가에서 죽기까지 복종하심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셨고, 이에 하나님은 예수님을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시며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빌 2:8-11)라고 사도 바울은 말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통치는 모든 원수들이 다 예수님께 복종한 후에 라야 온전히 다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선교의 전체 역사는 시편 110:1절,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로 네 발등상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우편에 앉으라 하셨도다”의 말씀의 점진적인 성취라고 요약 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선교는 영원한 구속을 주는 것이다 (A Mission which Brings Eternal Redemption).
Thesis 2: We are called and sent to save all men from the eternal and temporal consequences of their apotasy from God. 이 명제는 선교신학 형성에 있어서 비 인간화의 경향에 대해서 안전장치가 될 것이다. 신약성경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예수님의 존엄한 명칭가운데 하나가 구세주(Soter; Savior)이다. 그의 사역의 목표는 구원한다는 동사나 구원이라는 명사로 더 자주 묘사되고 있다. 에큐메니칼 선교학자들은 “오늘의 선교(Salvation Today)\"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들은 때때로 구약성경에 나오는 샬롬(Shalom)이란 말을 지금 현세에서의 평화, 조화, 번영의 실현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것들은 의심할 여지없이 사람들이 간절히 소원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들의 소망의 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도록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점을 인식하면서, 신약성경에 더 중요한 다른 차원에서 구원의 개념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두 단어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 첫 번째 단어가 죄로 말미암아 영원히 죽을 수 밖에 없는 죄인들의 구원과 관계된 Soteria 이다. 다른 단어는 하나님의 진노 말미암아 영원히 죽을 수 밖에 없는 인간과 하나님과의 화해를 의미하는 eirene (peace) 인데, 오직 하나님의 아들, 예수그리스도의 희생적인 죽으심만이 죄인들로 하여금 이 진노를 피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선교는 악한 마귀를 내
그러나 에큐메니칼 입장에서는 선교를 이해할 때 사회적 구원에 역점을 둔다. 즉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드는 운동과 고통으로부터 사회를 구원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세상을 구원하기 위한 중요한 세 가지 요소들, 즉 1) 현 상황에 대한 사회 정치적인 분석 (a socio-political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2) 가능한 한 참여하고자 하는 선한 의도 (a good intention to get as involved as possible), 3) 기술적인 노하우 (technical know-how)가 절실하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가 유의해야 할 것은 이 세상이 그 자체의 깊은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열쇠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의 삶과 사역에서 선교의 방향을 찾을 수 있고, 세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마태복음 9장과 10장을 보면, 세상의 문제들에 대한 예수의 해답에 대해 네 가지의 특징들을 볼 수 있다.
첫째로, 예수는 온 성과 촌으로 다니면서 복음을 전파하고 치유사역을 하였다(마 9:35). 그것은 그의 사명과 사랑, 무엇보다도 승리하는 능력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이 고통하는 세상에 임하게 하는 것이었다.
둘째로, 우리는 최초로 세상의 진정한 필요인 예수님의 긍휼을 본다(마 9:36). 그의 긍휼은 목자없이 유리하고 방황하는 양무리 들의 절망적인 모습을 추수할 많은 곡식으로 덮혀 있는 소망의 들판의 비젼으로 변화시킨다. 이 세상의 이러한 필요들은 바로 하나님의 나라의 승리를 얻기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이 고통 받는 세상은 예수님의 역동적인 구원의 능력 앞에 항상 열려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로, 예수님은 그의 제자들에게 선교사역을 위해 자원 할 것을 말씀하지 않으시고, 추수하는 주인에게 추수할 일군을 보내어 주시도록 기도하라고 말씀하셨다(마 9:38).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그의 구원의 계획을 위해서 스스로 선택한 종들을 불러 세우고 계신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넷째로, 예수님은 그의 사역을 위해서 그의 제자들 가운데서 열두 제자를 선택하여 사도로 세우시고, 그가 행하셨던 동일한 사역을 수행하도록 파송하셨다(마 10:1-5).
Peter Beyerhaus는 다음과 같이 선교의 개념을 말하고 있다.
첫째, 선교는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다(A Mission which Glorifies God). 우리는 하나님의 다스리심을 영화롭게 하며, 그분의 구원의 역사를 온 세상에 증거 하도록 부르심을 받고 보내심을 받았다. 선교의 우선적인 관심은 사람이 아니요, 하나님 자신인 것이다. 오늘날 이러한 사실이 종종 간과되고 있고, 때때로 부정까지도 되고 있다. 선교는 세상의 대변인이 되는 것이 아니요, 세상에서 하나님의 대변인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 구약성경에서 우주 종말적인 비젼의 극치는 모든 열방들이 하나님을 찬양할 것이라는 말씀인 것이다. 신약성경에서 예수님은 이 땅에서의 그의 사역을 요약하여, “내가 아버지를 이 세상에서 영화롭게 하였다”(요 17:4)고 말씀하셨고, 그는 임박한 죽음과 부활을 앞두고, “아버지여 창세전에 내가 아버지와 함께 가졌던 영화로서 지금도 아버지와 함께 나를 영화롭게 하옵소서”(요 17:5)라고 기도하셨다.
그리하여 예수님은 그의 사명대로 십자가에서 죽기까지 복종하심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셨고, 이에 하나님은 예수님을 지극히 높여 모든 이름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시며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빌 2:8-11)라고 사도 바울은 말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통치는 모든 원수들이 다 예수님께 복종한 후에 라야 온전히 다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선교의 전체 역사는 시편 110:1절, “여호와께서 내 주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 원수로 네 발등상 되게 하기까지 너는 내 우편에 앉으라 하셨도다”의 말씀의 점진적인 성취라고 요약 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선교는 영원한 구속을 주는 것이다 (A Mission which Brings Eternal Redemption).
Thesis 2: We are called and sent to save all men from the eternal and temporal consequences of their apotasy from God. 이 명제는 선교신학 형성에 있어서 비 인간화의 경향에 대해서 안전장치가 될 것이다. 신약성경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예수님의 존엄한 명칭가운데 하나가 구세주(Soter; Savior)이다. 그의 사역의 목표는 구원한다는 동사나 구원이라는 명사로 더 자주 묘사되고 있다. 에큐메니칼 선교학자들은 “오늘의 선교(Salvation Today)\"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들은 때때로 구약성경에 나오는 샬롬(Shalom)이란 말을 지금 현세에서의 평화, 조화, 번영의 실현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것들은 의심할 여지없이 사람들이 간절히 소원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들의 소망의 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도록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점을 인식하면서, 신약성경에 더 중요한 다른 차원에서 구원의 개념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두 단어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 첫 번째 단어가 죄로 말미암아 영원히 죽을 수 밖에 없는 죄인들의 구원과 관계된 Soteria 이다. 다른 단어는 하나님의 진노 말미암아 영원히 죽을 수 밖에 없는 인간과 하나님과의 화해를 의미하는 eirene (peace) 인데, 오직 하나님의 아들, 예수그리스도의 희생적인 죽으심만이 죄인들로 하여금 이 진노를 피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선교는 악한 마귀를 내
추천자료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그리스도인의 생활원리
가족 상담 연구
청소년 교육과 CCM
치유목회
21세기를 맞는 한국교회 목회비전과 그에 따른 목회방향
삼위일체론
성격장애에대한목회상담학적이해와대응
박형룡 박사의 생애와 사역
기독교인의 정치참여
[기독론][기독론 역사적 맥락][기독론 주제][칭호][구원론][성육신][기독론 방법]기독론의 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변천과정
[마음, 마음 개념, 마음 구조, 마음 발전, 마음과 자폐장애마음이론, 마음과 질병, 자폐장애...
초대교회 교부들을 통한 정통적 삼위일체론의 발전과 의의
[취미와예술B형] 교재의 2장 “현대인의 삶과 취미”의 2절 “취미와 사회적 인간 심층놀이”에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