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P (신경언어프로그래밍) - 용어해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LP (신경언어프로그래밍) - 용어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ing) : 한 가지 표상체 조직을 다른 표상체 조직으로 빈사를 바꾸어 구상하는 과정이다.
-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변화의 과정입니다.
41. 접근단서 (Accessing cure) : 어떤 표상체 조직을 생각하는 데 사용되는 방아쇠 역할을 하고 그것을 지적해주는 데 도움이 되는 미세한 행동이다. 정형적인 단서 활용으로는 움직임, 음성의 톤과 음률, 신체 자세와 몸짓, 호흡형태를 들 수 있다.
-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데에 있어서 그 사람이 그 때에 어느 감각적 표상 체계를 사용되는지를 알아내는 것과, 아울러 그의 언어 패턴, 눈동자 접근 단서는 핵심 열쇠입니다. NLP이론은 무의식적 눈동자 움직임은 그 시기에 어느 감각 체계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고 주장하는데, 눈동자의 움직임은 마음의 눈 속에 비디오 영상을 돌리고 있는지(시각적), 내면의 오디오 테이프를 듣고 있는지(청각적), 또는 느낌(촉감)에 집중하는지를 드러내며, 후각과 미각은 습관적으로 촉감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42. 정보 검색 행동 (Information retrieval behavior) : 저장되고 기억된 정보를 인출하는 데 관계된 뇌 진행의 증상적인 작용과 제스처이다. 즉, 눈 동작이나 호흡형태 및 몸자세 등을 포함하고 있다.
- 무의식적인 제스처를 통해 심리에 대해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정보가 없습니다.
43. 조감? 지도제작? (Mapping) : 사람이 사용하는 단서의 도식이나 선호하는 표상조직 혹은 그 계급을 결정하고 알아낼 수 있는 과정이다.
- 새가 높은 하늘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처럼 한 눈에 관찰할 수 있는 것을 조감이라고 합니다. 매핑이란, 어떠한 한 사람의 행동이나 화법 등 그 사람에 대한 것을 관찰하고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도식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44. 종속모형 (Submodality) : 감각기관이 제각각 지각하는 특수감각의 질적인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시각적 종속모형은 색상, 모형, 움직임, 밝음, 거리 등이 있고, 청각적 종속모형은 음폭, 장단, 고저 등이 있고, 촉감은 압력, 체온, 위치, 구조감지 등이 있다.
- 우리의 감각기관이 인지하는 복합적인 형태를 분류하는 모형입니다.
45. 참조 색인 (Referential Index) : 문장에서 사람이나 사건 혹은 사물이 행동을 받거나 행동을 하게 되는 동사를 누락시키거나, 확정시키지 않거나, 일반화 하거나, 역전시키는 메타모형 위반을 의미한다.
※ 구체적인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
46. 청각 : 듣는 것과 관계되거나 듣는 감각을 말한다.
- 위 내용 이상의 추가시킬 부분이 없습니다.
47. 촉감 (Kinestetic) : 몸 감각을 일으키는 모든 종류의 외부 촉각이나, 내부 순환이나, 정서적인 것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감정을 총괄해서 사용한다.
- 시각과 마찬가지입니다.
48. TOTE : Miller와 Galanter 및 Pribram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모든 행동을 지도하는데 사용되는 기초 피드백 환선 (test-operate-test-exit)으로서 검증-작동-검증-탈출의 연쇄성을 나타내는 술어이다.
- T.O.T.E. (Test-Operate-Test-Exit) Model
목표를 설정하여 그것을 달성하도록 행동하지만, 상황은 항상 변화하므로 그것을 피드백 하여, 목표와 현실과의 차이를 없게 하도록 수정하면서 목표로 향하여 가도록 수행하는 전략입니다.
T.O.T.E.모델의 핵심 3 단계 : 효과적인 목표의 달성 방향으로 실행하고 / 목표를 향하여 움직이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 또는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알기 위한 점검을 행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 ‘긍정적인 피드백’ 을 줄 수 있는 경우, 조작은 문제에 대한 ‘대응’ 활동을 하게 합니다.
49. 표상구조의 수위권 (Primacy) : 사람이 자신의 경험을 진행시키고 구상하는데 다른 감각보다 감각기능을 조직적으로 더 쓰는 것을 말한다. 근본 표상조직은 여러 가지 성격적 특성과 학습의 능동감이나 가능성을 결정짓게 된다.
※ 정보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초두 효과를 뜻하는 것일까요? 표상구조의 수위권 이라는 말은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50. 표상체계 (Representational system) : 문자 그대로 경험의 표상을 지칭한다. 시각조직, 청각조직, 촉각조직, 디지털 조직, 후/미각 조직을 포함하고 있다.
- 표상체계란 개인이 느끼는 정보를 표현하는 감각양식입니다.
시각조직을 살펴보자면, 한 사진을 보면서 *색이 바랜 듯 누런 빛깔을 띠는 조그마하고 귀여운, 아기자기한 집이 물에 떠있는 듯 너무 예쁘다. / * 차분하게 흘러가는 강물소리를 들으며 고요한 분위기를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등의 다른 표현을 할 수 있고 이것을 캐치해서 같은 표상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면 도움이 된다는 뜻입니다.
51. 피상구조 (표면구조?) (Surface structure) : 뇌 속에 저장된 실제적인 감각적 표상체를 묘사하거나 지탱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나 단어이다.
- 표상체계를 통해 받아들인 정보가 심층구조에서 표층구조, 즉 표면구조로 언어화 되어 표현될 때를 말합니다.
52. 피상구조 (Surface structure) : 심층구조에서 인출해낸 의사소통의 말이나 글을 일반화 왜곡 및 삭제의 과정을 사용하여 표현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 위에 적은 추가내용과 동일합니다.
53. 효율성 형태 조건 (보기 좋은 상태?) (Well-formedness condition) : 효과적이고 환경적으로 걸맞는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만족스러운 조건을 형성하는 것이다. NLP에서 특정 목적으로 조화가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말로 서술되어야 한다.
- 일종의 지향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 전제조건(?)을 사용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자세한 정보는 나오지 않아 이상의 정보를 추가할 수 없었습니다.
▶ NLP 반장님께서 보내주신 원본 자료의 단어 해석과 실제 정보와의 괴리가 있고, 용어들이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기에 찾지 못한 것도 많고 내용도 허술한 것 같습니다. 이 점 죄송합니다.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6.27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5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