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의 정의와 특징 및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조사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2. 고급 문화는 대중 문화와 어떻게 타협하고 있나


3. 대중 문화에서 왜 청소년이 중요한가


4. 신세대는 어떤 감각 구조를 가지고 있나


5. 청소년들은 왜 스타를 숭배하나

본문내용

그것이 사실이라면 심각한 세대 갈등을 낳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책임을 TV세대에게만 물을 순 없다. TV 세대의 새로운 감각 구조가 갖고 있는 그 나름의 장점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 구세대는 그저 신세대를 개탄만 하는 독선적이거나 게으른 자세에서 벗어나 신세대의 감각구조와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공부해야 할 것이다. 세대 갈등의 해결을 위해선 그 편이 더 실천적이다.
(5) 청소년들은 왜 스타를 숭배하나
팬이라는 우상 숭배 집단의 수는 프랑스, 영국, 미국에서는 전 인구의 5%내지 6%에 달한다고 추정돼 왔다. 물론 팬 관리는 오래 전부터 영화사의 주요 업무 중 하나였다. 이에 대해 미국의 영화학자인 L.쟈네티는 이렇게 말한다.
비중 있는 스타는 일주일에 3천 통의 팬 레터를 받는 게 보통이었고, 그런 편지의 양이 인기를 정확하게 반영한다고 생각했다. 영화사는 이런 편지를 처리하는 데 연간 2백만 달러를 소모했는데 이런 편지의 대부분은 배우의 자필 사인이 들어간 사진을 부탁하고 있다. 배우의 인기도는 스타에게 열성적으로 몰두하는 팬 클럽의 수효에 의해 측정되기도 한다. 1934년 무렵 이런 클럽은 모두 5백 35개가 있었고 그 회원의 총수는 75만 명이 넘었다. 이 기간에 가장 많은 팬 클럽을 가지고 있었던 스타는 클라크 게이블, 진 할로우, 그리고 조안 크로포드였는데, 이들 모두 스타의 고향 인 엠지엠 사와 계약을 맺고 있었다. 게이블의 팬 클럽만 해도 70여 개였는데 이는 그가 1930년대의 최고의 남자 배우로서 왕좌를 누렸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영화 팬들은 광신적인 스타 숭배에 대해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드가 모랭은 스타 예배 라는 표현을 썼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각 스타의 발 밑에 하나의 예배당 즉, 하나의 클럽이 자연스럽게 설립된다.열광적인 회원이 2만 명도 넘는 루이스 마리아노 클럽처럼 어떤 것은 커져서 대성당이 된다. 아메리카에서는 각각의 교회가 대성지인 할리우드를 정기적으로 순례한다. 영화제란, 스타가 친히 자신의 개선식에 강림하는 신의 축제이다. 그때에는 열정이 열광으로 숭배는 광희로 바뀔 수 있다. 잡지, 사진, 팬 레터, 클럽 순례, 의식, 영화제, 이것들은 스타 숭배의 기본적인 제도이다. 어떤 편지는 똑같은 영화를 130번 보았다고 단언하고 있다. 그 편지들은 찬사이며,
환희이며, 황홀이며, 신앙 고백이다.
그러나 스타 예배 는 꼭 자연스러운 현상인 것만은 아니다. 그런 예배를 받기 위한 대단히 조직적인 전도 활동이 스타들에 의해 전개되고 있다. 오늘날엔 브룩 쉴즈도 아마 그런 팬 관리를 잘하는 스타들 중의 하나일 것이다. 어린이 포르노 배우로 출발한 그녀는 그녀가 태어나자마자 이혼해서 혼자 딸을 키운 어머니의 탁월한 사업 능력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그녀의 어머니는 브룩 쉴즈 회사를 설립해 팬 관리 는 물론 브룩 쉴즈를 하나의 기업으로 키우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 브룩 쉴즈의 어머니가 딸을 착취한다는세간의 비판에 대해 브룩 쉴즈는 그런 착취는 내가 원하는 바라고 응수한다.
물론 팬들의 스타 숭배는 활자 매체의 가십들은 부산물이 아니라, 스타 시스템 을 키우는 플랑크톤 이라고 말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언론은 원칙적으로 대중 문화의 감시자이고 선도자이어야 하지만 현실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언론 자체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중 문화와 손을 잡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아니,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언론 자체도 대중 문화의 일부이다. 언론과 대중 문화의 관계는, 미국의 할리우드 스타와 언론이 초기부터 공생 관계를 맺어 왔다는 데에서 분명히 들어난다.
오래 전부터 할리우드에선 가십을 지배하는 자가 할리우드를 지배한다. 는 말이 통용되어 왔다. 할리우드의 그러한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 내려오고 있다. 오히려 오늘날엔 활자 매체가 그 자체의 생존을 위해 더욱 스타를 판매하는 일에 혈안이 되어 왔다. 신문들은 날이 갈수록 연예기사의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연예 기사는 주로 스타에게 집중되고 있다. 텔레비전도 예외는 아니어서 스타를 중심으로 집중되고 있다. 텔레비전도 예외는 아니어서 스타를 중심으로 하여 제작되는 연예 정보 프로그램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정규 뉴스
시간에마저 연예 뉴스라는 미명하에 스타 초대석을 아련해 스타의 자질구레한 사생활을 뉴스 로 다루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우리 나라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일간지들의 치열한 증명 경쟁은 연예 기사를 대폭 늘리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스포츠 신문과 연예 잡지의 경우엔 스타들 덕분에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소년용 잡지의 경우엔 스타들 덕분에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소년용 잡지들도 그러하다. 대표적 중고생잡지인 [하이틴] 93년 7월호의 경우, 총59건의 기사 중 39건이 연예 관련 기사고, 나머지 20건 중 10여 건은 애독자 엽서 추첨 등 잡지 제작에 의례적으로 끼는 난이며, 나머지도 다이어트. 패션 관련 기사로 채워져 있다.
우리 나라에서 팬들의 우상 숭배는 주로 청소년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건 우리 대중 문화에서 청소년의 비중이 그만큼 크고 활자 매체들이 청소년의 스타 숭배를 적극적으로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여러 가지 제약 속에서 살아야 하는 청소년들에겐 스타에게 푹 빠져드는것 이상으로 현실을 잊어버리게 하는 해 주는 게 없다. 현실이 불만스럽고 고민이 많은 청소년일수록 스타에 대한 집착이 더욱 강할 수 있다. 그런 청소년들은 사실은 자신을 속이고 있는 것이다. 스타와 대중 문화 자체를 적대시해 온 일부 기성 세대에게도 책임이 있다. 어떤 이유에서건 현실이 못마땅할 때에 현실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욕구는 반드시 나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문제는 그러한 현실 도피 욕구를 어떻게 보다 건전한 여가 활동으로수용할 수 있는냐 하는 것이다. 그러한 여가 활동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은 채 스타에 집착하는 일부 청소년들은 아무리 꾸짖어 봐야 소용이 없다. 그리고 그 스타가 어떤 존재인지 그 실체를 알리는 대중 문화 교육이 전혀 없는 것도 문제다. 스타는 알맞게 좋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타는 알맞게 좋아하는 게 바람직하다.

키워드

대중문화,   청소년,   정의,   특징,   영향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1.02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8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