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영화산업 경제적 분석, 현황, 성공요인, 영화 산업의 구조, 성과, 전망, 과정, 특징, 경제적 효과, 현황, 관리, 역할, 시사점, 미래 전망 조사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선정 이유 및 개요

2. 영화산업의 구조(분류)

3. 한국 영화산업의 경제적 규모 및 현황
1) 영화 산업 매출액 현황 및 경제구조 분석
2) 영화 산업 수출 및 수입 현황
3) 영화 산업 종사자 수 현황 및 분석

4. 국내 영화산업 정책의 성과와 현안
1) 국내 영화산업 정책의 변화
2) 현재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문제점과 정책적 개선방향

본문내용

%의 한국영화 점유율, 전체관객 1억5백만 명 육박(국민 1인당 관람횟수 2.27), 스크린 수 385백여개 증가, 1500만 달러의 수출이라는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수익성 미흡과 다양성부족, 유통 및 상영 환경의 낙후성, 제작 기술과 해외 마케팅의 부진, 지방자치단체진흥사업과의 연계성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참여정부에 들어서서 정부는 중점 추진과제의 주요 골격은 유지하면서, 세부진흥사업 에서 확대유지, 개선·폐지·검토 등의 사업 조정 등을 거쳐 ‘한국영화진흥종합계획(2003~2007년)’을 발표하였다. 이에 힘입어, 2006년 110편의 제작편수, 64.2%의 한국영화시장점유율, 1억6천3백8십5만 명의 관객 수(국민 1인당 관람횟수 3.4),1조 128억 원의 매출액, 1,847개의 스크린 수, 2,451만 달러의 수출 등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하지만, 한국영화 제작 규모의 대형화와 광역 개봉(Wide Release) 방식의 일반화로 인해 일부 대작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저예산 독립, 예술영화 등 다양한 영화의 제작과 상영을 어렵게 하였고, 영화 현장인력의 열악한 처우문제는 우수인력의 영화산업 이탈과 영화제작 현장의 갈등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이미 성장기에 접어든 한국 영화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인프라 구축 및 제도적 개선을 통해 산업 선순환 구조의 창출과 영화산업의 다양성확보, 지속적 투자환경 조성, 우수 영상인력 유치를 위한 처우 개선과 전문성 제고, 디지털시네마 기술 변화 대응 등의 정책과제들이 제시된 바 있다.
이후 정부는 2006년 10월 23일 ‘영화산업중장기발전계획(2007~2011년)’을 발표했다. 세계 5대 영화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관객 점유율 50%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국영화의 다양성 확보, 한국영화에 대한 안정적 투자환경 마련, 영화인 복지,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력 제고, 한국영화의 해외진출 확대, 지역 영상산업 균형발전, 영화산업 환경 변화에 맞는 법과 세제 개선 등의 6대 중점 추진 과제를 발표하고 현재까지 추진되고 있다.
2) 현재 우리나라 영화산업의 문제점과 정책적 개선방향
여전히 한국 영화산업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정 수준의 고용을 담보하는 20억 원 이상으로 제작된 영화가 매년 60~80편대를 유지하던 것이, 2009년의 경우 44편으로 줄어 다수 현장 인력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는 국내 영화산업이 안정적인 구조가 아닌 언제든 변화 할 수 있는 불안한 구조 위에 있으며, 고용의 문제 또한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임을 상기시킨다. 더불어 블록버스터와 저예산 영화로 양분화 된 제작 구조로는 안정된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고, 한국영화의 소재, 장르, 규모의 다양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중견 제작사들의 활발한 활동을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규모의 영화 제작을 위해 전략적 투자자에게 의지하는 현재 자본조달 구조를 개선하여 다각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3D영화에 대해 발 빠르게 정책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나, 기존 제작비 2배 이상의 비용이 필요한 3D 입체 영화의 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시장 여건이 형성되었는지, 혹은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담보하고 있는지 등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면밀한 연구과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영화경쟁력의 근본인 스토리나 인력에 대한 지원은 전체 예산의 1~2%로 3D를 포함한 다른 부분의 예산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영화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획개발 및 스토리 창작 등 기초 분야에 대한 지원 확대는 여전히 절실한 상황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7.08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5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