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게임ddd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모바일게임 1
1-1. 스마트 환경에서 모바일게임의 정책수요 및 지원방향 1
1) 모바일게임 산업의 최근 동향 1
2) 모바일게임 업계의 정책수요 조사 3
3) 모바일게임 산업의 지원방향 6

본문내용

테스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위탁형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QA)을 지원하는 것도 중소 게임업체의 게임 퀄리티 향상에 매우 유용
- 스마트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업체들이 적응하는 데에는 시간과 학습이 필요한 동시에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테스트를 바로바로 할 수 있는 테스터(테스트인력)도 다수 필요하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최근 변화를 반영한 교육을 추진
○ 이전 추진한 사업이나 제도를 검토하여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지원사업 운용이 될 수 있을 것임
- 업계에서는 이전에 추진했던 사전제작 지원사업 등을 통해 내외부 인건비를 활용할 수 있었다는 점에 만족감이 높았음(인터뷰 조사결과)
- 병역특례 제도 역시 큰 효과가 있었고 현재도 지원이 가능하다면 고급인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5) 경영/ 홍보·마케팅 지원사업
가. 홍보·마케팅 지원
○ 개발과 마케팅 등을 자문해주고 관리해주는 상설 전문 컨설팅 제도로서 (가칭) ‘경영 멘토링’ 서비스 필요
- 차세대 모바일게임업체의 경우에는 대부분 중소업체로 구성되어 있어, 경영 및 해외진출 등에 대한 경험이나 역량이 부족한 편
- 경영상의 문제점과 의문점에 대해서 신속하게 답변 받을 수 있는 관리(카운슬링)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경영 및 해외진출 자문 외에 공동 회계 관리, 법률 자문, 등급심의 자문 등을 포함하는 것도 유용
※ 10여만 원 비용의 회계사 자문에 대해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업체의 경우 여러 업체가 공동으로 출자하고 이에 대한 관리를 지원한다면 비용절감 가능
※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 게임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와 관련한 복잡한 특허권에 대한 절차 및 자문 지원
- 1인의 전문가가 2~3개의 업체를 관리하는 형태로 ‘밀착형 카운슬링 프로그램’ 혹은 ‘기업 코디네이터 프로그램’ 등으로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
○ 소비자의 피드백 및 트렌드에 대한 주기적인 정보 제공 필요
- 다수의 게임이 수시로 업로드되는 오픈마켓 특성상 즉각적인 소비자 반응과 시의성 있는 업데이트는 매우 중요한 요인
※ 현재 게임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일일이 들어가서 아이튠즈 앱스토어 등을 개별기업들이 관찰해야하는 상황
- 소비자들의 피드백이나 랭킹 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련 정보 제공 필요
※ 해당 게임에 대한 정보 외에 상위 랭크되는 게임들의 특성과 변화 및 트렌드에 대한 정보도 지원 필요
○ 스마트기기용 모바일게임에 맞는 B2B 프로그램 마련
- 온라인상 B2B 사이트 구축(기존 게임 B2B 사이트 활용 가능) 및 오프라인 형태의 대기업·중소기업간 주기적인 미팅·상담회 등의 네트워킹 기회 마련
※ 기존 온라인게임 업체는 유능한 모바일게임 업체와 연계를 필요로 하고, 모바일게임 업체의 경우도 대형 업체와의 네트워크를 원하는 상황
- 오픈마켓상의 트래픽 상승 등을 위한 서로 다른 분야의 업체 간의 크로스 마케팅도 큰 호응을 얻고 있으므로, 이를 위한 업계 간 네트워크 효과는 매우 중요
- 해외 현지에 있는 광고에이전시 등 유관기관(업체)와의 연계를 지원하여 지역(국가) 맞춤형 마케팅 기회 제공하는 방안도 고려
※ 차세대 모바일게임의 특성을 고려한, 해외 퍼블리셔와 네트워킹 기회 제공(차세대 모바일게임 전문 수출상담회 등)
나. 언어 및 테스트의 현지화 지원
○ 게임에 대한 압축적이고 세련된 고수준의 언어 현지화 지원
- 오픈마켓 게임 등은 해외진출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수많은 게임과 어플리케이션 중 부각이 되기 위해서는 쉽고 친절하며 세련된 언어 활용이 관건
※ 해외 진출한 스마트폰게임의 경우 상위 랭크되더라도 언어 현지화가 미흡하여 평가(별점)가 낮아지고 악평을 받는 경우가 많이 발생
※ 해외 진출한 업체들의 애로사항으로 ‘언어 현지화’가 높은 비중 차지하고, 국내 전문번역기관에 의뢰한 경우도 매끄럽지 못한 경우가 빈번하다는 업계 의견이 있음
- 게임 소개 및 설명 관련 : 실제 미국 게이머가 사용하는 단어와 차이가 있어 해당부분에 상당한 지적을 많이 받음
- 이용자들의 문의 대응 관련 : 해외에서 날아오는 수많은 메일들에 실시간으로 적절한 대응 및 답변을 하기 어려움
- 세련되고 유창하며 현실적인 언어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전문가 혹은 전문기관(국내외)과 계약을 체결, 언어 현지화 지원 필요
※ 수출지역의 언어 외에 문화적인 측면 반영을 위해, 지역별 현지인·현지 번역기관들과의 계약 형태로 추진하는 방안도 유용함
- 언어 현지화 지원사업의 언어 범위와 지원방식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임
※ 언어 범위 : 영어 중심 또는 아시아 및 유럽국가 등 다양화
※ 지원 방식 : 번역 지원 또는 번역비 지원 등
○ 게임의 지역별(문화권별) 적합성 증대를 위한 테스트 현지화 지원 필요
- 업계에 따르면 게임 내용에 대한 테스트도 한국인 테스터와 외국 테스터의 반응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
※ 국내인에겐 당연한 메타포(은유)가 외국인들에겐 생소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나 자료 역시 많지 않음
- 외국인 테스트 인력과 로컬라이징 인력과 관련, 해외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테스트 등을 지원
다. 법률 및 카운슬링 지원
○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에는 현지 법률문제에 대한 이해와 이를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소규모 업체일수록 법률적인 문제에 대해 취약하여, 저작권 부분에서도 추후에 문제가 커진 후에야 인지하는 상황도 발생할 우려
- 카운슬링 프로그램 혹은 코디네이터 프로그램에 해외 법률 가이드를 포함
○ 스마트환경에 대한 트렌드 파악 및 지원사업 점검을 위한 포럼 운영
- 급격하게 변화하는 스마트환경 변화속도를 고려하여, 정기적으로(분기별 등) 트렌드 이해 및 지원사업 방향 검토 등을 위한 전문가 포럼 운영
○ 보안 관련 이슈에 대한 대응도 필요
- 최근에는 대부분 네트워크 서비스로 개발되기 때문에 보안이나 관리 이슈가 매우 많이 발생하므로, 관련 정보 제공 및 상담 등의 지원 필요
○ 스마트환경 관련 특성을 고려, 부처 간 연계체계 구축도 필요
- 문화부 내에 관련 사업 및 지경부 등 타 부처와의 연계를 통해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형태가 필요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9.26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