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놀이의 종류와 기원, 놀이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전통놀이

1. 윷놀이
2. 투전 (鬪錢)
3. 사방치기
4. 강강술래
5. 그네뛰기

본문내용

들어 놓고, 그 위에 올라서거나 앉아서 몸을 앞뒤로 왔다갔다 하는 형식이 대표적이다. 이 밖에도 상자형 그네, 4줄을 달아 마주보고 앉는 그네, 여러 명이 동시에 탈 수 있는 그네 등 종류가 다양하다.
그네의 어원은 ‘근’으로서 끈[繩]의 놀이[戱]를 뜻하는데, 《재물보(才物譜)》에는 근의, 《한림별곡(翰林別曲)》 《악장가사(樂章歌詞)》 《두시언해(杜詩諺解)》 《훈몽자회(訓蒙字會)》 등에는 글위, 《역어유해(譯語類解)》에는 그邨, 《동문유해(同文類解)》에는 그리, 《춘향전》에는 근듸 등으로 나와 있고, 지방에 따라서 근데 ·근듸 ·군데 ·군듸 ·근의 ·군의 ·그리 ·구리 등의 사투리가 있다.
그네뛰기 풍습은 고대 그리스 등에도 있었는데, 여자들은 봄이 되면 성적인 생산의 의미나 풍작의 주술로 그네를 탔다.중국에서는 북방민족의 놀이가 춘추전국시대에 제(齊)나라에 들어왔으며, 한(漢)나라 때에는 궁중 후정에서 즐겼고, 당(唐)나라에서도 한식(寒食)의 절속(節俗)과 더불어 민간에서 여자의 놀이로 발전하여 반선희(半仙戱)라 하였다. 한국에서는 기록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궁중이나 상류사회에서 성행한 것을 알 수 있다. 《송사(宋史)》에는 고려 현종(顯宗) 조파사(朝派使) 곽원(郭元)의 소언(所言)에 “단오유추천(端午有贖韆)”이라 하였고, 《고려사》 <최충헌전(崔忠獻傳)>에는 단오추천에 문무 4품(品) 이상이 추천놀이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최이전(崔怡傳)>에는 천 수백 명이 모여 기악백희(伎樂百戱)를 하였는데 그네도 뛴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시대에 이미 상하를 통하여 추천이 활발하였고 특히 송도(松都)의 추천은 성대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양반층에서 그네를 멀리하였다. 유교적인 윤리관을 내세운 양반들은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보는 가운데 젊은 여자들이 전신을 공중에 드러내고 안간힘을 쓰는 일이 점잔과 체통을 지켜야 하는 그들의 비위에 거슬려 딸이나 부인들에게 경원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여전히 성행하여 단오절만이 아니고 서울과 시골에서는 평상시에도 그네를 즐겼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 의하면 단옷날에 남녀가 그네를 뛰는 것이 서울이나 시골이 같지만, 특히 평안도 지방이 가장 활발하고, 이때 사람들은 고운 옷에 좋은 음식을 차리고 모여 즐기는 것이 설날과 대략 같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북쪽으로 올라갈수록 단오놀이가 성행하였다. 그네는 흔히 동네 어귀에 있는 큰 느티나무나 소나무 등의 큰 가지에 매어놓고, 동네 사람들이 수시로 나와서 뛰어놀았는데, 대개 4월 초파일을 전후로 매어놓고 5월 단오절에 이르는 약 한 달 동안 계속되며, 특히 단옷날에는 그네대회를 열었다. 대회에서는 높이 올라가는 것으로 승부를 결정하며, 그네 앞에 높이를 재는 장대를 세우고 장대 위에 방울을 매달아놓고 뛰는 사람의 발이 방울을 차서 울리도록 하고, 방울소리의 도수로서 승부나 등수를 결정한다. 그네는 혼자 뛰기도 하지만 두 사람이 마주 올라서서 뛰기도 한다. 오늘날 체육기구로서 학교 ·유치원에 설치되어 있고, 유아를 위한 실내용 그네도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93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