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적절한 행동을 학생들에게 그 행동이 나쁘다는 점을 인식하게 해주고, 학생들이 정신을 가다듬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학습과 관련되었을 때에는 학생들이 열심히 했는데도 불구하고 성취도가 나빠서 벌(자극)받았다고 가정해보자. 이 때 학생은 벌을 받음으로써 자신감이 상실되고 동기유발도 현저히 낮아질 것이다.(반응) 즉,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학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나는 벌의 사용에 개인적으로 반대한다. 물론 벌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을 올바른 길로 인내할 수 있다. 하지만 벌은 어느 의미를 가지든 학생들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학생을 수동적인 존재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즉, 학생을 위축하게 하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나는 벌의 사용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전적으로 벌의 사용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이 심한 잘못을 하였을 때는 벌을 주어야한다. 이 경우 벌을 주지 않으면 학생들은 자신의 한 행동에 대하여 반성을 하지 않고, 다시 그릇된 행동을 되풀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벌을 기본적으로는 반대하나, 학생이 큰 잘못을 하였을 때에는 반성의 의미로써 벌을 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범/법학]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및 적용
[인문과학]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시오.
반두라의 생애 주요개념 성격이론의 적용 사회인지적 이론의 평가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에 대한 비교분석(모든것)
반듀라의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 학습이론 Bandura 관찰학습 모델링
반듀라의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가능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시오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시오
사회학습이론의 개념과 반두라
기본 이론 개요와 학습이론과의 차이도 기술했으며, 사회학습이론의 실천과 적용 부문'까지 기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인 관찰과 모방이 현재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사회학습이론에 근거하여 아동이 특정 행동을 어떻게 습득하는지 설명.
사회학습이론 (인지과정과 상호결정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