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별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림별곡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생명력을 유지한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성주, 「翰林別曲 考究」, P.92.
또한 경기체가의 대표작인 한림별곡은 당대의 특징을 섬세히 반영하여, 고려시대의 생활상을 아는데 중요한 작품으로 손꼽힌다. 김동욱, “한림별곡에 대하여”,「고려가요 연구」, 새문사,1982. P.17.
이렇듯 한림별곡이 국문학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양주동의 주석 이래 아직도 작자와 제작연대에 대한 확실한 답이 없고 해석이 분분하다.
한편 한림별곡 내용분석에 대한 의견에 정답이 없는 것만큼, 이 작품을 둘러싼 연구자들의 시각도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보인다. 기존 문학연구에서 한림별곡은 비판적 대상으로 지적되었다. 조선 중기 이퇴계는 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跋)에서 “한림별곡의 긍호방탕함을 비판하면서 이에 대체할 온유돈후한 작품으로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을 창작한다.”고 전했다. 이퇴계, <도산십이곡발>,『퇴계집』43권,『한국문집총간』30, 민족문화추진회, P.468.
또한 “경기체가는 오로지 한학자(漢學者)들이 산수를 자오(自娛)하고 희락(喜樂)하는 가운데 생겨난 퇴폐적 문학일 것이다. 조윤제,『한국문학사』, 탐구당. P.91.
”라는 비판이나 “일정한 틀 속에서의 난해한 한자어 어휘들의 나열, 내용과 형식의 단조로움, 화자의 감정이 지나치게 노출되었다거나 내적 긴장의 결여 등, 문학성이 뛰어나지 못하다. 최용수,「한림별곡 연구의 현황과 전망」,『한민족어문학』37, 2000. P.3.
”는 부정적 평가는 한림별곡을 비롯한 경기체가에 대한 전반적 평가였다.
하지만 근래에 와서는 위의 부정적 평가에 대해 “이 노래가 퇴폐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최씨 정권에 참여하면서 새롭게 진출한 문인들이 신흥사대부의 선구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득의에 찬 기상을 자랑스럽게 나타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조동일, 『제 3판 한국문학통사2』, 1994, P.196.
”라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또 “한림별곡은 정과정(鄭瓜亭曲)에서 악곡이 비롯되었고, 노랫말도 1차적으로는 정과정의 영향을 받아 6구체가 중첩되는 연장체를 이루게 된 것이다. 따라서 한림별곡의 기원은 악곡과 노랫말의 양면에 걸쳐 전적으로 우리의 향악과 문학적 토양위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아야한다. 양태순,「고려 속요에 있어서 악곡과 노랫말의 변모양상」,『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이회문화사, 113-114쪽.
”라고 한림별곡이 전통문학의 계승자임을 주장하는 논문도 발표되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03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