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김유정의「동백꽃」과 황순원의「학」을 중심으로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김유정의「동백꽃」과 황순원의「학」을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 속 인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작품 전반적 사건의 구성을 통해 상황적 배경이 이념체제로 인하여 절친했던 지기가 대립하고 학 사냥을 통해 결국 그 대립을 해소하는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작품에서 ‘저 쪽 벌 한가운데에서 흰 옷을 입은 사람들이 허리를 굽히고 선 것 같은’ 학 떼들이 살고 있는 배경은 앞으로 사건의 전개에 대하여 암시하는 역할을 한다. 교과서의 꼼꼼히 읽기에서도 이러한 ‘학’의 상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하게 한다.
「학」의 공간적 배경은 ‘마을 안 → 동구 밖 → 고갯길 → 고갯마루 → 벌판’으로 변화한다. 이것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다시 낮은 곳으로 바뀐 것이며, 마을 안이라는 제법 넓은 곳에서 좁은 고갯길로, 그리고 다시 넓은 벌판으로 바뀐 것이기도 하다. 이렇게 높고 낮음의 변화, 좁고 넓음의 변화는 인물들 간의 갈등의 변화 양상과 긴밀하게 대응된다.
꼼꼼히 읽기의 탐구 부분에서는 이처럼 배경을 수직적 공간과 수직적 공간의 측면에서, 축소지향적 공간과 확대지향적 공간의 측면에서 다루어 배경에 대한 분류를 좀 더 심도있게 다룬다.
소단원 구성과 시점에서처럼 인물과 배경에서도 꼼꼼하게 읽기 부분에 비해 표현하기 부분은 가르치고자 했던 이론과 불부합하는 측면이 있다. 상황을 주고 그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 때 어떤 행동을 취하게 될지 생각해보고, 자신을 주인공으로 하는 짤막한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학생들에게 과제로 주어졌을 때 인물과 배경이론을 대입시킬 수 있을 만큼의 지도가 덜 된 과제라고 생각한다.
Ⅲ결론
학창시절의 문학 수업을 기억하면 작품을 읽고 문학작품의 아름다움과 교훈을 느끼기보다 줄거리, 작가, 갈래, 배경, 시점, 주제 등을 배우고 줄줄 외웠던 기억이 난다. 과도한 분석주의 교육의 산물이 우리 세대였기에 문학 교과서의 활동과 과정 또한 과도한 분석 위주로 되어있었다고 기억했다. 그런데 막상 공교육의 교육과정이 끝난 지금에 와서 문학교과서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니 우리 문학교과서가 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독자에게 주는 가치의 측면에서, 문학사의 측면에서 전반적 문학의 특성을 다룸에서 학생들의 문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는 탄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교과서의 좋은 점들이 속속들이 보였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어쩔 수 없이 입시위주 교육 습관에 의해 과도한 분석위주의 수업만이 이루어졌던 듯 싶어 아쉬움이 많았다. 또한 실제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이론과 분석위주의 단원은 심도있게 이루어졌고, 문화와의 관계, 역사속 문학의 측면, 문학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가치의 측면을 다룬 단원에서는 전자와 비교했을 때 얕게 가르쳐졌던 것 같다.
문학 수업 뿐 아니라 문학 교과서에서도 아쉬운 점을 찾을 수 있었는데 단원학습의 ‘표현하기’ 부분이 그러하다. 학습 목표와 동떨어진 표현하기는 학생들이 문학 이론을 창작에 적용시킬 수 없게 함으로서 문학교과의 중요성을 단순히 입시의 도구로만 생각하게 하는데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이론과 실제의 부합은 문학 교과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22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4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