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문跋文의 정의 및 유형에 대해 정리하고, 내가 유치원 교사(만5세 담당)라면 어떤 발문을 선택하여 유아와 상호작용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예를 들고, 그 이유를 써주세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문跋文의 정의 및 유형에 대해 정리하고, 내가 유치원 교사(만5세 담당)라면 어떤 발문을 선택하여 유아와 상호작용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예를 들고, 그 이유를 써주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문의 목적
2. 발문의 유형
가. 핵심발문과 과정처리 발문
나. 핵심발문의 제시
다. 과정처리 발문제시의 기법들

*창의적 사고력을 길러주기 위한 발문법*
Ⅰ. 질문의 필요성
Ⅱ. 좋은 발문의 조건
Ⅲ. 발문의 종류
Ⅳ. 수업 과정 중 발문 유형(예)
Ⅴ. 발문 처리상의 유의점
Ⅵ.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이디어만을 담아 명료하게 질문할 것,
■ 어조나 비언어적 행동을 진지하면서도 부드럽게 할 것,
■ 질문을 한 후 반응을 기다리는 시감을 좀더 오래 둘 것,
■ 질문을 던지는 것보다 더 중요한 점은 그것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임을 명심할 것 등이 지적되고 있다.
Ⅳ. 수업 과정 중 발문 유형(예)
수업 중 발문 유형은 수업 단계와 지도 요소에 따라 최적의 발문을 시도해야 한다. 사회과 수업 과정의 발문을 수업 단계별 및 지도 요소별로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1. 과제 확인, 목표 설정, 방법 구상을 위한 발문
■지난 시간에 공부했던 문제가 무엇이었나요?
■예습 과제는 무엇을, 얼마나 해 왔나요?
■이 시간에 무엇을, 어디까지 공부할까요?
■가장 중요하고 공통적으로 알아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요?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이 문제는 좀 이상한데, 왜 그럴까?
2. 문제 제기, 증거 제시, 개별 탐구, 자료 활용을 위한 발문
■각자 조사해 온 내용을 발표해 볼까요?
■앞에서 발표한 내용에서 알아 낸 것은?
■발표한 사항과 자기가 해 온 과제 내용을 비교해 봅시다.
■같은 점과 다른 점은 무엇 무엇입니까?
■여러 사람이 발표한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참고서나 자료를 살펴보고 다시 한 번 생각해 봅시다.
3. 문제 추구, 정보 교환, 종합 토론, 개념 정리, 법칙 발견, 결론 도출, 현실에의 적용을 위한 발문
■ 각자 자기가 해 온 과제를 좀더 깊이 생각해 봐요.
■ 소집단끼리 돌려 가며 묻고 가르쳐 주기로 할까요?
■ 00와 00을 비교해 봅시다.
■ 00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가려 볼까요?
■ □□는 몇 가지로 생각할 수 있나?
■ 만약 ~한다면 ~일 것이다. 그 증거를 찾아봅시다.
■ 더 좋은 생각은 없을까?
■ 증거 자료를 살펴보고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봅시다.
■ 아, 그러한 법칙이었구나!
■ ~해 봐요. 어떨까?
■ 이 사실에서 우리가 본받고 깨달을 점은 무엇입니까?
■ 00와 00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 □□는 무엇을 말하고 있나요?
■ 다른 경우에도 이 법칙을 활용해 봅시다.
■ 내가 앞으로 가질 마음과 태도는 어떠합니까?
■ 이 사건 속에서 새로 발견했거나 의문점은 무엇입니까?
■ 교과서나 자료를 이용해서 예습 과제를 가려 뽑아 해결해 봅시다.
4. 적용 및 발전, 예습적 과제 파악을 위한 발문을 직접 써 봅시다.
Ⅴ. 발문 처리상의 유의점
1. 성공적인 발언에 대하여는 칭찬과 격려로써 성공감을 가지게 한다.
2. 학습자의 발언이 미흡할 경우 구체적으로 틀린 곳의 친절한 지적과 시정 등 격려적인
측면에서 위축감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하며, 암시적인 재질문으로 학생 자신이 틀린 것을
스스로 찾아 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옳지 않은 답이나 의견이 나왔을 때 교사가 바로 정답을 제시하지 않고 다시 집단
사고에 붙여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어떤 학생의 반응은 받아들이고 어떤 학생의 반응은 받아들이지 않고 배척하는 등
불공정한 처리는 금물이며, 반응의 정오를 불문하고 일단 모두를 친절히 수용해야 한다.
5. 반응에 대한 응답은 가능한 한 생각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고 독촉하지 않도록
한다.
6. 발문은 아동의 경험과 지적 수준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Ⅵ. 맺는 말
좋은 질문이란 누구나 쉽게 배워서 언제든지 간편하게 써먹을 수 있는 처방과 같은 것으로 가볍게 여겨서는 아니 된다. 교사 질문의 효능 또는 성공 여부는 교사가 특정 질문의 형식에 얼마나 익숙한가에 의해 결정되기보다는, 오히려 논의의 대상이 되는 문제 혹은 영역에서의 정통함,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적 구조와 수준에 대한 통찰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논의한 정신을 내면화하여 필요한 경우에 지극히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고 문헌
양미경(1992). 질문의 교육적 의의와 그 연구 과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홍기칠(1999), 敎師의 質問類型과 효율적인 質問戰略. 敎育硏究 361호, pp.26-29.
Paul.R.W.(1990). Critical Thinking, Center for critical thinking and moral critque Sonorama state university.
Collins(1977). 교육학대백과사전(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편)에서 재인용
  • 가격3,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7.0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