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무기화학공업][신흥공업국][북한공업][일본공업][홍콩공업][인도공업]공업과 무기화학공업, 공업과 신흥공업국, 공업과 북한공업, 공업과 일본공업, 공업과 홍콩공업, 공업과 인도공업 (공업, 무기화학공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업][무기화학공업][신흥공업국][북한공업][일본공업][홍콩공업][인도공업]공업과 무기화학공업, 공업과 신흥공업국, 공업과 북한공업, 공업과 일본공업, 공업과 홍콩공업, 공업과 인도공업 (공업, 무기화학공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공업과 무기화학공업
1. 소다공업
1) 가성소다
2) 소다회
2. 무기안료공업

Ⅲ. 공업과 신흥공업국

Ⅳ. 공업과 북한공업
1. 철강공업
2. 비철금속 공업
3. 기계 및 기타공업

Ⅴ. 공업과 일본공업

Ⅵ. 공업과 홍콩공업

Ⅶ. 공업과 인도공업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흥공업화 국가이거나 지구에 속하며 중국은 자원과 시장의 대국이다. 그러므로 그들지간에는 매우 강한 의뢰성과 호상 보충관계가 존재한다.
중국대륙과 한국. 일본 및 홍콩지구를 대표로 하는 동아 4방은 지리상접근된 부동한 국가와 지구로 조성된 유기적인 경제군체이다. 그들은 문화전통. 정치제도와 경제정책 등 제방면에서 상호근사한점이 있는가하면 또한 구별점이 있다. 그들의 공동한점은 모두 고속과 지속적인 증장을 하였고 그 기초는 제조업의 신속한 확장이며 정부주도형 시장경제발전 모식이며 제조업산품이 수출향도적전략을 실시하고 있다.
3국 및 홍콩지구의 기본지표 비교. 그들의 공업발전정도는 일정한차이가 있다. 세계은행의 표준에 근거하면 중국, 한국, 홍콩과 일본은 각기 저수입·중등수입과 고수입의 국가(지구)이다. 3국 및 홍콩지구 인구 당 평균 국내총생산치는 중국 672달러, 한국 9621달러, 홍콩 24485달러, 일본 33346달러로 분별된다.
3국 및 홍콩지구 공업발전의 핵심은 제조업이다. 1980년 국내총생산치 가운데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례는 각기 다음과 같다. 중국41%, 홍콩지구24%, 일본29%, 한국28%. 이 비례는 좀 변화되였다. 그중 홍콩지구 제조업 비례의 하강폭도가 비교적 크다.
3국 및 홍콩공업증장 속도. 80년대 이래 3국 및 홍콩지구의 공업은 비교적 좋은 증장세를 기본상 보전하였다. 그중 중국의 공업증장속도가 가장 빨랐고 다음은 한국이다. 일본공업증장은 1980~1990년간은 국내생산총가치의 증장속도보다 빨랐고 1990~1997년간은 국내생산총가치 증장속도보다 낮았다. 국내투자와 공업증장은 상호관령성을 갖추고 있다.
80년대 이래 중국의 개혁개방에 따라 무역조건이 개선되였으며 중국 대륙과 한국, 일본 및 홍콩지구지간의 무역과 합작이 신속히 발전되였다. 1980년. 중국대륙의 수출입 무역액은 겨우 381억 달러, 그중 일본과의 무역액이 86억 달러, 한국과의 무역액이 1.83억 달러, 홍콩과의 무역액이 53.8억 달러였다. 1998년에 이르러 중국대륙의 수출입 무역액이 3239억 달러로 증장 되였다. 그중 일본과의 무역액이 578.9억 달러로 6배 남짓이 증장되었다. 한국과의 무역액이 212.6억 달러로 100여배 증장, 홍콩과의 무역액이 451.1억 달러로 8배 남짓이 증장되었다. 중국대륙과 한국. 일본 및 홍콩지구지간의 무역증장속도는 기타 국가와의 무역증장속도를 훨씬 초과하였다.
Ⅶ. 공업과 인도공업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때까지 영국은 인도의 공업화에 반대해 왔다. 영국은 인도와의 사이에서 완전히 상호 보완적인 분업 구조를 형성하려고 했다. 인도에 대해서 보호 관세의 부과를 허용하지 않았다. 인도의 수입 관세는 5%였다.
제1차 세계대전을 경과하면서 인도에 대한 경제 정책은 크게 바뀌었다. 그것은 인도를 하나의 독립된 경제 단위로 파악하고, 인도 경제의 자립적인 재생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공업화 정책을 바꾼 것이다. 이유로서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로 인도에서 인도인의 자치권이 강화된 것이다. 1919년에 新印度統治法이 공포되었고, 상하 양원으로 구성된 입법 의회가 만들어졌는데, 자치주의적 제도가 갖추어지면서, 인도의 공업을 보호하는 정책을 펴기 시작했다.
둘째로 영국의 인도에 대한 공산품 공급 능력이 감소한 것이다. 영국은 인도가 외국 상품의 수입 시장이 되는 것보다는 인도의 공업을 육성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다. 인도에 공업화가 이루어지면 외국 상품의 인도 진출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도의 국민 운동을 무마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인도 총독부는 입법 의회의 지원을 얻어서 인도의 공업을 보호하는 정책을 펴게 되었다. 1916년 이후 관세율이 인상되기 시작했다. 일반 관세율이 1916년 이전에 5%였지만, 1931년에는 21%로 상승했다. 1924년에 製鐵工業保護法이 제정되었다. 영국 제품 구매 정책이 완화되었고, 열등하더라도 값이 싼 물건, 조건이 동일할 때에는 인도에서의 가공도가 높은 물건을 구매하도록 되었다.
1920년대 중반 이후의 농업 불황 이후 한국의 산업 정책이 바뀌었다. 당시의 총독 우가기 가즈시게는 한국을 독자적인 재생산 단위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는일본의 블록 분업적 입장으로부터 보면 일본을 精工業 지대로 하고, 조선을 粗工業 지대로 하고, 만주를 농업 지대 및 원료 지대로 하여, 3자가 서로 협력하는 것이 3자 각각의 특장과 이익을 최선으로 보호하고 보증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총독부가 주목한 것은 한국의 대규모 수력 발전 자원이었다. 그런데 조선에 있는 소규모의 자본으로서는 대규모의 전력 사업을 펼 수 없었다. 총독부는 일본 대자본의 유치를 적극 꾀했다.
京城商工會議所는 한국 내부의 자본의 육성에 힘써 줄 것을 주장했다. 예를 들면, 공업 시험소의 육성, 일관된 공업 정책 확립, 보조금 지급, 농업과 동일한 수준의 저리 자금 공급, 관세의 편의 보장, 공업 과세 경감 등이었다. 朝鮮市街地計劃令(1934)과 같은 공업 지구를 정비하는 일반적인 정책을 펴기는 했지만, 한국 내부의 자본에 대한 총독부의 적극적인 배려는 없었다. 총독부 정책의 중심은 일본의 대자본을 유치하는 데에 있었다.
1930년대 후반에 위의 양상은 더욱 강화되어 갔다. 1936년의 朝鮮産業經濟調査會, 1938년의 時局對策調査會 등을 거쳐서 1939년 1월에 일본 정부가 확정한 生産力擴充計劃要綱은 대만, 만주, 일본, 한국, 화북에 걸쳐서 생산 설비의 합리적 배치를 계획한 것이었다.
참고문헌
◎ 만극이, 아호달편저, 홍콩, 중국이 직면한 도전, 신화출판사, 1998
◎ 손연수, 무기화학공업 촉매화학공업, 대한화학회 / 화학과공업의진보, 1983
◎ 안종철, 북한 공업경제의 특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학회, 1997
◎ 이영희, 극소전자기술혁명과 노동의 변화 : 일본 및 서구에서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사회,1990
◎ 전창호, 개혁·개방 이후 인도 공업의 발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부설지역정보센터, 1996
◎ 정일용, 종속적 발전모형으로서의 신흥공업국, 한국외국어대학교, 1984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