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도회, 흑도회 결성내용, 흑도회 결성과정, 흑도회 활동, 흑도회와 흑도, 흑도, 민주운동, 사회운동, 조선시대, 일본]흑도회의 결성내용, 흑도회의 결성과정, 흑도회의 활동, 흑도회와 흑도 분석(흑도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흑도회, 흑도회 결성내용, 흑도회 결성과정, 흑도회 활동, 흑도회와 흑도, 흑도, 민주운동, 사회운동, 조선시대, 일본]흑도회의 결성내용, 흑도회의 결성과정, 흑도회의 활동, 흑도회와 흑도 분석(흑도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흑도회의 결성내용

Ⅲ. 흑도회의 결성과정

Ⅳ. 흑도회의 활동

Ⅴ. 흑도회와 흑도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대성황을 이루었다. 특히 이날 집회는 17명의 강사 중 堺利彦 大杉榮 小牧近江 등 저명한 일본 사회주의자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또 금 10전의 입장료를 받았는데도, 조선인 청중이 5백 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 같은 사실로 비추어 이 규탄대회는 국내외의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되었을 뿐 아니라, 조선 및 일본의 진보진영과 아나-공산계가 연대한 첫 대중투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대단히 크다. 이런 상황변화에 놀란 경찰서장은 불온하다는 이유로 박열의 연설 도중 강제 해산시켰고, 대회는 시위대와 경찰의 출동으로 수명의 검거사태를 빚었다.
신농천학살사건의 진상조사와 규탄대회, 그리고 《흑도》지의 발간은 흑도회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규탄대회 이후 흑도회 이름하의 활동은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들다. 정확한 내부사정은 알 수 없으나, 사건조사와 대회개최 과정에서 박열과 김약수-백무 사이의 마찰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박열은 그 후 10월 신농천사건을 보고하기 위해, 또 의열단원 金翰을 통해 폭탄을 유입할 목적으로 일시 귀국하였다. 서울에서 그는 李康夏 등과 黑勞會를 조직해놓고 다시 동경으로 돌아왔다. 박열이 폭탄테러를 구상하고 있던 시기, 김종범, 백무 등 일부 신농천학살사건 조사위원들은 ‘재일조선인노동자상황조사회’를 발전시켜 12월 1일 조선노동자동맹을 결성하였다. 이같이 각기 다른 활동방향을 찾는 두 세력은 당시 일본 사회운동계의 아나-보르 사상논쟁에 휩쓸려 흑도회 해체에 이르게 되었다.
Ⅴ. 흑도회와 흑도
회의 기관지인 흑도는 ‘흑도회 잡지부’에서 발행한 공식 기관지임을 밝혀 더욱 주목된다. 이 신문은 4면으로 7월 10일자 창간호에 이어 8월 10일자로 2회 발간되었다. 발행인 겸 편집인은 朴烈, 발행소 역시 그의 집 주소로 되어 있다. 때문에 기관지 간행은 사실상 朴烈과 그의 일본인 처 金子文子에 의해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朴烈은 애초 8면 발행을 계획하고 6월부터 유지 방문, 광고모집에 들어갔다. 그는 광고수입이 얼마 걷히지 못하자, 각계 유지들을 찾아가 돈을 꾸거나 위협하는 방식으로 발간비용을 조달했다.
이들이 발행한 기관지《흑도》를 통해 볼 때, 당시 흑도회의 이념은 반일사상을 비롯해 스튀르너의 개인적 아나키즘과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 바쿠닌의 직접혁명론 등이 지배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전 회원이 참여했을 창간사와 선언문에서는 스스로 ‘철저한 자아주의자들’임을 밝힌 동시에 ‘상호부조’를 강조하였다. 또 일본 사회주의자들의 관심과 유대를 호소하면서 기고와 광고를 통해 이를 적극 반영하였다.
Ⅵ. 결론
단체는 자신들이 견지하는 사상을 보급하는데 주력하는데 급급하여 재일조선인의 민족운동을 주도할 정도의 역량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구체적인 민족운동의 움직임은 2.8독립운동 외에는 전무한 상태였다. 그러나 초보적인 단계이기는 하였지만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을 계층을 초월해서 결속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는 사실은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토양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명섭, 1920연대 초기 재일 조선인의 사상단체 : 흑도회·흑우회·북성회를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한일민족문제연구, 2001
◇ 김명섭, 흑도회의 결성과 활동(1921-1922), 단국대학교사학회/사학지, 1998
◇ 루돌프 폰 예링 저, 윤철홍 역, 권리를 위한 투쟁, 책세상, 2007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한국민주화운동사 1, 돌베개, 2008
◇ 유시현, 1920년대 전반기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1990
◇ 최기영, 한국 근대 계몽사상 연구, 일조각, 2003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