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 의미, 독자반응이론 분류]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의미,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분류,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특징,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영향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 의미, 독자반응이론 분류]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의미,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분류,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특징,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영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의미

Ⅲ.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분류
1. Purves와 Rippere가 제시한 범주
1) 참여-몰입(Engagement-involvement)
2) 지각(Perception)
3) 해석(Interpretation)
4) 평가(Evaluation)
2. Odell과 Cooper가 제시한 범주
1) 개인적인(Personal) 진술
2) 기술적인(Descriptive) 진술
3) 해석적인(Interpretive) 진술
4) 평가적인(Evaluative) 진술

Ⅳ.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특징

Ⅴ.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어조를 띤 독서물은 개인적해석적평가적인 진술을 유발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텍스트의 난이도에 따라 독자의 의미 구성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장르에 따라서도 반응이 달라진다. Corcoran(1979)은 학생들의 반응 패턴의 차이가 나는 것은 장르의 차이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시는 이야기보다 반응이 더 불확실하다고 했다(Probst, 1991). 또한 Zaharias(1986)도 시는 기술적인 진술을 하게 하며, 짧은 이야기는 개인적 반응을 표현하게 한다고 결론지었다. 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삽화에 따라 아동들의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문학 작품의 삽화나 책 형식이 독자가 상징적 체계로서 예술을 이해하는 데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Short, 1995).
이와 같이 텍스트 요인이 독자의 반응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서, 문학 토의에서 문학 텍스트를 선정할 때, 내용, 장르, 난이도, 삽화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황 요인에 대해 알아보겠다. 독자와 텍스트의 교류에는 교사나 교실 분위기, 교수 전략 등의 상황적 요인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여 반응의 양상을 결정하게 된다. 먼저, 교사의 문학에 대한 태도, 교수 능력, 학생들을 격려하는 태도 등은 학생들의 반응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Miller(1988)는 교사가 텍스트를 유일한 의미를 가진 것처럼 행하면 학생들의 비판적인 사고와 토의가 제한을 받으며, 능동적이고 탐색적인 자세를 자극하면 학생들이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자신의 신념을 평가한다고 하였다(Roberts & Langer, 1991). 이는 교사가 문학교육에서 어떤 관점을 갖고 수업에 임하는가가 학생 반응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 주는 예이다. 또한 Mcculure(1985)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실험적이고 다양한 사고를 인정해 주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그리고 자기 스스로 반응할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Martinez & Roser, 1991). 이처럼 문학 수업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므로, 교사는 학생의 반응을 허용하는 교수 기술이나 허용적 분위기, 적절한 교수 용어를 구사하도록 유념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실에서 또래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심미적 반응을 존중하는 상황하에서 학생간의 상호작용은 문학 반응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Short, 1995:138). Helper와 Hickerman(1982)은 또래 학생끼리의 책에 대한 자연스런 대화가 학생들이 읽은 것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게 해 주고, 책의 내용을 상기하거나 조직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을 한다고 하였다(Martinez & Roser, 1991). 이처럼 또래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은 문학 반응을 좀더 확장시키고 수준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여기서 반응중심 문학교육에서 또래 학생과 반응을 서로 토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발견하게 된다.
참고문헌
송인영 : 독자반응이론에 따른 학습자 중심 역사수업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2003
이지희 : 독자반응비평이론을 활용한 소설교육 방안 고찰, 경희대학교, 2009
이종복 : 읽기교육에 있어서 문학적 접근: 독자 반응 이론,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06
이혜경 : 독자반응 이론에 있어서의 독자와 독서, 강릉원주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88
최택균 : 문학 독서지도의 이론과 실제 :독자반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학회, 2002
홍문희 : 독자반응 중심의 동시교육 방안 연구, 순천대학교, 2004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5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