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의미, 근거,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경향, 수행,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단계적 실수,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 유무념공부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의미, 근거,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경향, 수행,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단계적 실수,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 유무념공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의미

Ⅲ.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근거

Ⅳ.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경향
1. 유마의 불이선
2. 혜능의 일상삼매와 일행삼매
3. 지눌의 사위의
4. 휴휴암좌선문의 무시선 사상

Ⅴ.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수행
1. 집심
2. 관심
3. 무심
4. 능심

Ⅵ.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단계적 실수
1. 점진적인 동시선으로
2. 정기적인 기간 설정
3. 다양한 수행법의 활용
4. 시비리해의 마음대조

Ⅶ. 원불교 무시선법(원불교 무시선)의 유무념공부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이 처한 현실에 도움을 주는 선이 된다. 상시일기법의 유무념 대조속에서는 일신의 수도상 유무념의 공부를 원만히 마치면 인생의 요도를 남음 없이 실현하여 작업의 성사 유무에 표준을 두는 것이 그 중심사상이다.
이런 점에서 경계속에서 수도하는 것은 경계 가운데 담긴 일을 공정하고 원만하게 실현하자는 데에 의미가 있다. 즉 이것은 작업취사를 중점으로 하는 유념공부의 소중성을 설했다고 본다. 때문에 유념은 동시의 경계속에서 성사할 수 있는 필수불가결한 소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생의 요도 가운데 천지보은 조목으로 응용무념의 도 를 설명하였고 보시 중에 무상보시를 설하고 동중서가 정기의이불모기리하며 명기도이불계기공이라 한 것은 무념지덕을 역설한 것이다.
또한 대종사는 천지의 식은 상없는 가운데 나타나는 식이며 공정하고 원만하여 사사가 없는 식으로써 이는 곧 무념 가운데 행하는 식임을 설명하였고 또 이 회상을 창립하는 길 중의 한 조목으로 응용무념의 도를 들었으며 사업을 하는 데에도 무념으로 하여야만 무루의 복이 쌓인다고 하였다. 또한 정산종사는 유념보다 무념이 더 크나니 유념의 공덕에는 유루의 복이 오고 무념의 공덕에는 무루의 복이 옴을 말했고 진리의 보응도 무념 가운데 자연히 되는 것 을 말함으로써 무념공부의 소중성을 강조 했다.
따라서 정산종사는 유념공부는 주로 육근이 동할 때 대중해야 할 것이요, 무념공부는 주로 육근이 정할 때 대중해야 할 길이라고 보면서 염염무념은 시정시공부요, 사사명사는 시동시공부라 유념무념이 각수의하니 대도탕탕무소애라 하였다. 즉 유무념공부는 유념할 자리에는 반드시 유념하고 무념할자리에는 반드시 무념하다가 오래 오래 순숙되면 유념 가운데 무념하고 무념가운데 유념 하여 유무념간에 원만히 수행하는 무시선을 성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무시선은 평상심을 지니기 위한 공부법으로 경계에 부동함은 태산과 같이하고 자심의 청정함은 허공과 같이 하는 수행길을 가르치고 있다. 따라서 자심을 청정하게 하는 공부와 경계에 부동하게 하는 무시선 공부의 단계적 방향을 다음과 같이 크게 네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챙기는 마음으로써 이 단계에서의 무시선은 주의하는 공부심이라 할 수 있다.
둘째는 대중심으로써 한결같은 노력과 정성으로 천만경계 가운데 처하여 생활하되 항상 편안한 마음을 가지려는 대중을 세워가는 단계이다.
셋째는 일체경계에 맡기는 단계로써 무위자연으로 돌아가 진리에 계합하는 공부 ,경계 앞에서 본연심으로 돌아오는 마음을 갖는 단계이다.
넷째는 마음을 마음대로 하는 단계로써 어느 경계에서도 능히 부동하고 능히 활용할 수 있어 동하여도 동하는 바가 없고 정하여도 정하는 바가 없이 그 마음을 작용하라 한 것이 바로 이 단계이다. 즉 천만 경계속에서 자심을 활용할 수 있는 큰 능력이 생기게 하는 단계이다. 곧 이러한 무시선의 단계적 방향도 유념 무념을 아우르는 데에서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무시선은 동정간에 유념무념이 서로 어우러져야만 성취할 수 있고 성불과 성사를 아우르는 원만한 수행법으로 자유활용되어 지난날 유념중심공부와 무념중심공부의 편벽된 길을 지양해서 오직 유념 무념을 자재하는 선법이 된다 하겠다.
Ⅷ. 결론 및 제언
오늘날 우리들은 과거 어느 때 보다도 다양하고 복잡한 현실 구조속에 살고 있으므로 이 현실에 대응하고, 적응하는 실천강령도 또한 중요한 점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그 문제 해결의 핵심인 일원상 진리를 실천 수행하는 길이 일상수행의 요법에 있으며 이것은 곧 일원상 수행과 일상수행의 요법 일, 이, 삼조가 근원적으로 서로 일치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일원상의 수행」장에서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알고 그 마음을 양성하며, 그 마음을 사용하는 공부를 하자는 것이 다름 아닌 견성, 양성, 솔성하는 공부길이요, 또한 일상수행의 요법 일, 이, 삼조의 자성의 정을 세우는 공부가 곧 양성이요, 자성의 혜를 세우는 공부가 곧 견성이며, 자성의 계를 세우는 공부가 곧 솔성임을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상수행의 요법 일, 이, 삼조에 나타난 심지경계삼학의 의의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았고 다음에 삼학과 경계, 무시선에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중시해야 할 사항은 경계속에서의 공부이다. 경계란 육근에 대한 육경을 이름하여 경계라 할 수 있으며 그 육경은 그 상황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것을 정산종사는 순경, 역경, 그리고 공경으로 나누어 자신의 마음을 유혹하는 경계인 순경은 마치 육군과 같고, 자신의 마음을 거슬리게 하는 경계인 역경은 마치 해군과 같으며, 자신의 마음을 게을러지게 하는 경계인 공경은 마치 공군과 같아서 이 세 가지로 밖에서 침노하는 적군을 막아야 하듯이 스스로 경계를 막아야 하는 원리를 밝힌바 있다. 따라서 경계에 대하여 우리의 심신을 어떻게 응용해야 하는가에 관해서 살펴보면 경계를 대하기전에 응용하기 위한 준비공부를 할 것이며, 경계를 당해서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는 공부를 할 것이며, 경계를 당한 뒤에는 대조하는 공부를 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경계를 따라서 작업하는 것은 마치 고기를 잡으려는 어부가 물을 찾아야 하듯이 물을 떠나서 고기를 잡으려는 것은 곧 망상에 불과한 것이다. 이것은 마치 경계없는 곳에서 살려고 하는 것은 마치 태양없을 때 자란 버섯과도 같아서 태양이 창공에 나타나면 버섯은 일시에 시들어버리는 것처럼 우리는 경계속에서 자성의 본래를 회복하고 성사하는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성장(2011), 원불교 단전주선의 실제와 무시선의 관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김순임(1995), 원불교 무시선의 사상선적 성격 Ⅱ,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이정원(1987), 원불교 무시선의 연구, 신룡교학회
▷ 최광현(1998), 원불교 무시선과 목우도의 비교, 한국원불교학회
▷ 최광현(1997), 진산 한기두박사 정년기념 특집 원불교 교화의 제문제」 : 제2편 원불교 교리와 사상 원불교 무시선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한기두(1982), 무시선법의 연구 : 선의 원리를 중심하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67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