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의 유래, 명칭,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와 전통민속,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의 기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의 유래, 명칭,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와 전통민속,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의 기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의 유래

Ⅲ.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의 명칭

Ⅳ.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와 전통민속
1. 전통놀이의 정의
2. 전통놀이의 특징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놋다리밟기(다리밟기, 기와밟기)의 기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의 문 밖 출입을 심하게 단속했으므로 부녀자들의 다리밟기는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위와 같이 다리밟기는 한때 무척 성행하여 3일 동안 남녀 가리지 않고 계속 크게 놀아져 왔던 것이다. 그리고 지금부터 그리 멀지 않은 때의 다리밟기의 모습은 양재연 의『한국의 풍속』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의 조사에 나타난 바로는 서울지방은 보름날 남자만이 답교를 하는데 서울안에 모든 다리를 건넌다는 것이다. 경기도 광주에서는 역시 보름날 새옷을 갈아입고 인근의 다리를 건너고 돌아온다. 부녀들은 음식물을 냇물에 던져 복을 빌기도 하고 남자들은 농악을 앞세우고 무동(舞童)을 서기도 하여 다리 위에서나 다리 근처에서 술자리를 베풀어 즐겁게 지낸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답교가 다릿병을 피하거나 일년의 액막이를 위하여 무미하게 다리 위를 왔다갔다하지 않고 흥겨운 놀이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점은 주목할 일이다. 그리고 다릿병을 막은 이외에 답교를 마치고 나서 입고 있던 저고리의 동정(襟)을 뜯어 그것으로 엽전을 쌓아 다리 밑 구석에 놓아두거나 다리 아래로 던져 버리든가 하는 신앙적 행위도 있고 또 오래 산다고 믿는 지방도 있다.
다리를 건너는 방법도 지방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서울과 같이 있는 다리를 모조리 건너기도 하고 열두 다리를 건너기도 한다. 다리 셋을 건너면 되는 지방이 있는가 하면 어떤 지방에서는 제일 큰 다리나 가장 오래된 다리를 자기의 나이 수대로 왕복하는 수도 있다. 이 때 또 지방에 따라 왕복을 1회로 치는 곳과 왕복을 2회로 간주하고 기수(奇數)의 연령일 때는 나머지 1회를 다리 아래로 해서 돌아오는 곳이 있다. 이밖에 다리를 건너는 동안 횃불을 들고 다니다가 그 횃불이 나이 수를 채울 때까지 꺼지지 않으면 행운이 오고 만약 불이 꺼지면 불길하다고 생각하는 지방도 있고 건너서 돌아오는 다리를 택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 신형식, 재미있는 우리 역사 이야기, 흙마당, 2007
◈ 심우성, 줄다리기와 놋다리밟기, 한국우편사업지원단, 1975
◈ 임재해, 놋다리밟기의 유형과 풍농기원의 의미, 한국문화인류학회, 1985
◈ 임재해, 강강술래와 놋다리밟기의 지역적 전승양상과 문화적 상황, 안동대학교, 1992
◈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 우리의 놀이문화 원형을 찾아서24- 놋다리밟기, 아툰즈, 2007
◈ 호원희, 놀자 노세 전통놀이 이야기, 토토북, 2012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