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문학, 구비문학 의미, 구비문학 종류, 구비문학 대상, 구비문학 필요성, 구비문학 장점]구비문학의 의미, 구비문학의 종류, 구비문학의 대상, 구비문학의 필요성, 구비문학의 장점, 구비문학의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 문학, 구비문학 의미, 구비문학 종류, 구비문학 대상, 구비문학 필요성, 구비문학 장점]구비문학의 의미, 구비문학의 종류, 구비문학의 대상, 구비문학의 필요성, 구비문학의 장점, 구비문학의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구비문학의 의미

Ⅲ. 구비문학의 종류
1. 삼국시대
2. 조선조
3. 20C
4. 해방 후
5. 한국 구비문학의 갈래
1) 한국 구비문학의 보편적 갈래
2) 한국 구비문학의 특징적 갈래
3) 한국 구비무학의 특수성을 띠는 갈래

Ⅳ. 구비문학의 대상
1. 서사양식
2. 서정양식
3. 희곡양식
4. 전설양식

Ⅴ. 구비문학의 필요성

Ⅵ. 구비문학의 장점

Ⅶ. 구비문학의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태론적 위기는 전자문화의 보편성과 일방적 문화 유통으로 해소할 수 없다. 전지구가 하나라는 기본적 총체성에 입각해서 아득한 옛날부터 축적한 구비문화의 개별적 총체성을 인정하는 데서 전자문화의 결함을 교정할 수 있는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전 지구적 차원의 총체성은 사람과 다른 생명체, 인간과 자연, 민족과 문명, 문명과 문명의 호혜균등한 교섭을 전제로 했을 때에 구현되리라 생각된다. 이와 같은 총체성은 이미 보편적 사고를 전제로 하고 있는 신화에서 충분하게 구현한다. 소수민족에서부터 큰 민족에 이르기까지 신화가 없는 곳은 없다. 신화는 신화적 사고를 기반으로 삼고 있는데, 이 신화적 사고는 사람과 동물,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를 기본적 전제로 삼고 있다. 이 총체성으로부터 지혜를 얻어서 다가오는 21세기의 위협에 대처해야 할 것이다.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구비문화의 재발견과 학문적 연구의 진정한 결과가 이제 21세기를 위해서 봉사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하겠다.
21세기 구비문학은 크게 두 가지 임무를 자각한 사람에 의해서 보존되고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21세기 총체성을 거시적으로 자각하고 전 세계에 걸쳐서 존재하는 구비문학적 자산을 수집하고 번역하며 정리하는 작업이 중요한 과제라 생각한다. 전자도서관의 개념과는 다르게 스스로가 정보 창출의 주역이 되어서 소수민족의 구어에서부터 세계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나라의 구비문학을 원어로 이해하고 우리말로 정리하는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 학문적 수명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연구 인력을 분산시키고, 전 세계를 담당하는 개별 민족 전문가가 이제 나와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전 지구적 차원의 총체성은 이와 같은 노력을 기울였을 때에 구현될 수 있겠다.
둘째, 자연학문의 분석과 신화적 사고의 통찰이 조화롭게 연결될 수 있는 사례를 선택해서 이야기, 노래, 놀이 등의 차원을 다각도로 연결시켜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구비문학의 전통적 갈래와 현재적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는 현재적 갈래를 총괄적으로 정리해야 한다. 구비문학의 전통은 케케묵은 것이 아니다. 아무리 케케묵은 것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이 대상을 바라보는 신선한 감각을 지닌 사람에 의해서 발견되고 해설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전통은 낡은 것이 아니다. 또한 전통은 시대의 각질을 다르게 뒤집어 살 수 있다. 구비문학의 현재적 갈래가 곧 그와 같은 사례이다. 전자문화의 시대에도 구비문학이 여전히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구비문학은 자연학문의 분석과 인문학문의 통찰을 미분화된 상태로 체현하고 있는 적절한 대상이므로 이들로부터 문화의 진정한 가치를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1세기 구비문학의 연구와 교수법은 19세기의 학문 방법론과 20세기의 학문 방법론을 결합시키는 데서 모색된다. 통시적 학문과 공시적 학문이 전 세계적 사례에 주목하면서 필요한 논리와 예증을 갖출 때에 온전한 것이 될 수 있다. 21세기 구비문학의 운명은 소멸 일변도로 치닫겠지만, 21세기 구비문학은 연구자와 교수자의 자각에 따라서 정신문화의 자산으로 거듭날 것이다.
참고문헌
1. 강만복, 구비문학의 구술성을 활용한 매체언어 교육방안, 부경대학교, 2009
2. 김대행, 현대 사회와 구비문학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002
3. 임재해, 구비문학의 연구동향과 세기적 전환의 기대, 한국민속학회, 2000
4. 조동일, 구비문학의 미래,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구비문학회, 2004
5. 조동일, 구비문학과 구비철학, 한국구비문학회, 2006
6. 정승기, 사용자 제작 컨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 : 구비 문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7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