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제조원][외제품사용여부][정보이용][복합원산지]원산지의 제조원, 원산지의 외제품사용여부, 원산지의 영향변수, 원산지의 정보이용, 원산지의 복합원산지, 원산지의 효과연구, 원산지의 효과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산지][제조원][외제품사용여부][정보이용][복합원산지]원산지의 제조원, 원산지의 외제품사용여부, 원산지의 영향변수, 원산지의 정보이용, 원산지의 복합원산지, 원산지의 효과연구, 원산지의 효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원산지의 제조원과 외제품사용여부

Ⅱ. 원산지의 영향변수
1. 국가에 관한 친숙도
1) Zajonc(1968)에 의한 심리학의 단순 노출 이론(mere exposure theory)
2) 특정 국가의 실상이 알려지는 경우 외국인이 가지고 있는 기존 편견이 변하게 된다는 것
2. 국가 제도에 관한 유사성 인식 정도
3. 국가에 대해 느끼는 위협 정도

Ⅲ. 원산지의 정보이용

Ⅳ. 원산지의 복합원산지

Ⅴ. 원산지의 효과연구
1. 제품특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
2. 제조국 특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

Ⅵ. 원산지의 효과
1. 품질지각에 관한 연구
2. 호의도에 관한 연구
3.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4. 연구의 제한점
1) 피험자가 대학생으로 한정
2) 실험이 상표명과 원산지를 피험자에게 직접 제시하는 방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
2. 제조국 특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
제조국 특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제품평가는 단지 그제품이 어느 나라에서 제조되었는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원산지 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제조국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경제적 발전정도, 정치적 환경, 문화적 환경, 신념체계의 유사성 정도 등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Tonberg, 1978).
Nagashima(1970)는 외국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갖는 이미지가 국가에 따라 다르며, 또 국가별 상품에 따라서도 다를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서독, 이태리의 전반적인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미국과 일본의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각 나라의 제품이미지가 서로 다른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또 미국인과 일본인에 따라서도 다른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Nagashima는 그 이유가 각 국가의 특성과 그 나라의 대표적인 제품 때문일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Cattin, Jolibert, 그리고 Lohnes(1982)는 미국과 프랑스 기업의 제품 구매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미국, 프랑스, 서독, 영국, 일본의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비교조사 하였다. 이 연구에서 미국인과 프랑스인은 자국 제품을 가장 좋게 평가하여, 선진국 국민은 자기나라 제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연구자들은 국가별로 제품이미지와 제품선호도가 차이가 나는 것을 미국인과 프랑스인이 해당 국가에 대해 가지고 있는 국가적 편견(National Bias)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우용(1980)이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미국, 일본, 대만, 그리고 우리나라의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주부들은 한국 및 대만제품에 비해 선진국인 일본 및 미국제품을 더욱 선호하며, 우리나라 여성 소비자에게 선진국 제품에 대한 허영(Positive bias)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Wang(1978)은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제조국 이미지 연구를 통해 제품 제조국의 정치적, 경제적 발전정도와 문화적 유사성이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는 정치적으로 불안하다든지 인권이 탄압받고 있다든지 혹은 독재국가라든지 하는 소위 정치후진국의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Shin(1993)은 경제적 발전정도, 문화적 유사성, 정치상황 등의 국가적 특성이 응답자들의 수입품에 대한 선호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고 응답자들은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발전해 있고, 문화적으로 유사하며, 민주주의 국가의 제품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이 특성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제품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Ⅵ. 원산지의 효과
패션제품을 기능성 중시 제품과 감성 중시 제품으로 나누어, 각 제품에 대한 단일 원산지 효과와 복합원산지 효과가 소비자의 품질지각과 호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질지각에 관한 연구
기능성 제품인 워크맨이 가격과 원산지의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즉, 고가 기능성 제품일 경우 저가 기능성 제품보다 상표국과 제조국을 일치시키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감성제품인 티셔츠의 경우는 가격과 원산지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감성제품의 원산지 효과에 따른 품질지각은 가격에 상관없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2. 호의도에 관한 연구
기능성 제품인 워크맨과 감성제품인 T-shirt 모두 가격과 원산지 효과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즉, 기능성 제품과 감성제품에서 소비자들은 저가격보다는 고가격의 제품을 선호하였고, 복합원산지 제품보다는 단일원산지 제품을 선호하였지만 가격과 원산지 효과가 함께 소비자의 호의도에 영향을 주자 못하고 있었다.
3.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기능성 제품인 워크맨과 감성 제품인 T-shirt 모두 가격과 원산지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고가의 제품에 대해서는 단일원산지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고, 저가의 제품에 대해서는 복합원산지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소비자는 고가의 기능성 제품일 경우 복합원산지 보다 단일원산지일 경우에 품질지각과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고, 저가의 기능성제품일 경우 단일원산지에 대한 품질지각은 높지만 복합원산지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고가의 감성제품에 대해서는 단일원산지의 구매의도가 높았으며, 저가의 감성제품에 대해서는 복합원산지의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고가의 기능성 제품인 경우 품질을 높게 평가한 제품에 대해 구매의도가 높지만, 저가의 기능성 제품인 경우 가격이 낮은 이점으로 인하여, 품질을 낮게 평가하더라도 구매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복합원산지인 의류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는 기능성 제품과 감성제품 모두, 높은 가격일 때는 단일원산지 제품을 제작하여 이미지를 중시하는 전략이 구매의도를 효과적이며, 낮은 가격일 경우 복합원산지 제품을 제작하여 원가를 낮추는 것이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이끌어내는데 효과적이라 하겠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살펴본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4. 연구의 제한점
1) 피험자가 대학생으로 한정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가진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2) 실험이 상표명과 원산지를 피험자에게 직접 제시하는 방식
실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설명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실물제시를 통한 실험으로 보다 실제적인 소비자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배성우 외 2명(2011), 원산지이미지 구성요인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사동천(2010), 농산물의 원산지표시, 홍익대학교법학연구소
신소현 외 2명(2008), 원산지 개념의 구성 차원이 소비자의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신한동(2007), 상품의 원산지결정에 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여신문(2009), 한·중 원산지 관리제도 비교연구, 경원대학교
최홍석(2004), 원산지 이론과 실무, 한국관세무역연구원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