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문학][민속문학 정의][민속문학과 양][민속문학과 폴란드민속문학][민속문학 범위][민속문학 비평]민속문학의 정의, 민속문학과 양, 민속문학과 폴란드민속문학, 민속문학의 범위, 민속문학의 비평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속문학][민속문학 정의][민속문학과 양][민속문학과 폴란드민속문학][민속문학 범위][민속문학 비평]민속문학의 정의, 민속문학과 양, 민속문학과 폴란드민속문학, 민속문학의 범위, 민속문학의 비평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민속문학의 정의
1. 정의
2. 종류
3. 존재양상
4. 민속문학의 성격
5. 말의 뜻

Ⅲ. 민속문학과 양
1. 설화
1) 백양사(白羊寺)의 전설
2) 양의 가죽이 제일 무섭다
3) 양은 소와 사촌간
2. 판소리
3. 민요
4. 속담
1) 양 열 마리에 목자가 아홉이다
2) 양으로 이리를 부리게 한다
3) 양대가리 걸어놓고 개고기 판다, 양대가리 걸어놓고 말대가리 판다
4) 양으로 소를 바꾼다, 양 잃고 소 얻는다

Ⅳ. 민속문학과 폴란드민속문학

Ⅴ. 민속문학의 범위
1. 기록문학
2. 구비문학
1) 말
2) 노래
3) 이야기
4) 놀이

Ⅵ. 민속문학의 비평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하여 양자를 일치시켜야 한다. 즉 민속을 환타지라 한 던데스(A. Dundes)의 말이 기본적으로 문학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민속과 문학이 환타지라는 전제를 근간으로 할 때, 양자의 친연성은 더 공고해질 수 있다. 특히 문학이 작가의 경험을 언어를 통해서 환타지의 세계로 그려내는 것이라면, 민속은 오랜 집단적인 생활 경험을 전승문화라는 환타지의 형태로 생성해낸 것이다. 따라서 문학연구자와 민속학자는 현실 자체가 아니라 재창조된 대상에 대해 읽기를 시도하며, 그를 통해서 비로소 현실과 작품 사이에 끊임없이 교호하는 내적 과정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이전의 민속문학(folklore-and-literature)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그것들이 문학-발라드, 민담, 우화 등-으로서 연구될 수 있는 구비문학적인 텍스트나 민속을 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작품들에 대해서 일반적인 비평방법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우리의 경우 역시, 예를 들면, 설화나 민요 또는 탈춤이나 판소리와 같은 구비문학이나, 아니면 문학작품 속에 민속적인 소재가 담겨 있는 것에 대해 민속문학 연구라는 말을 사용하여 접근하면서도, 실제로는 일반적인 문학비평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한편 민속문학연구와 구비문학연구는 거의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물론 논자에 따라서는 민속문학은 민속학적 입장에서, 그리고 구비문학은 문학론적 입장에서 전승문학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분명히 준별한 예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구분이 선명하게 인지되어 왔던 것은 아니며, 그와 아울러 민속문학연구와 구비문학연구 역시 독자적인 방법론을 구축했던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경향으로 볼 때, 구비문학연구는 물론 민속문학연구 역시 방법론보다는 연구대상에 대한 지시 개념으로 보겠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문학민속학적 비평방법은 구비문학작품 또는 민속문학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방법이 아니다. 연구대상은 기록문학작품일 수도, 민속문학작품일 수도 있다.
송기숙의 소설에서 많은 민속이 중요한 화소로 채용되는 예를 우리는 허다하게 본다. 예의 당제, 우투리, 은내골 기행, 녹두장군, 그리고 최근 오월의 미소에 이르기까지 민속은 그의 작품세계에서 항상 중심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민속이 그의 작품 세계에서 큰 소재거리였다는 점에 대해서 거의 누구도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까닭은 여러 가지일 수 있다.
그 하나는 소설에 대한 민속문학적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한 그간의 실정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누군가 송기숙의 소설에 있어서 민속의 활용을 주목했다 하더라도 종래의 민속문학적 연구 행태로 보았을 때, 결국은 일반적인 문학비평방법을 활용하여 그의 작품을 연구하는 방향을 취했을 것이다.
다른 하나의 까닭은 “민중”이라는 개념의 부각이 오히려 민속에 대한 관심의 약화를 추인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민중과 민속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민속은 곧 민중의 문화인 것이다. 그러나 송기숙의 민중은 민속문화의 주체로서의 민중과는 다르다. 민속문화적 의미의 민중이 아니라, 정치경제적 의미의 민중인 것이다. 따라서 송기숙과 민중의 견고한 틀을 깨뜨리지 않은 한, 태생적으로 송기숙 소설에서의 민속은 부각되기 어렵다. 다시 말하면 송기숙 소설에서 민속이 주목받기 위해서는 소재적 차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성과 주제성에 이르기까지 민속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송기숙의 소설 오월의 미소에 민속적 소재가 채용되고 있지만, 그것은 단지 소재로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설 전체의 구성과 주제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보고자 한다.
“문학비평과 민속학 양자는 모두 문학이나 민속 텍스트에 있어서 의미의 파장을 낳은 복잡한 관계를 탐색하고 증명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해 왔다. 이 연구에서 나는 이들 두 현대적인 접근을 통합하는 해석 방법을 제안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방법-literary folkloristics-은 민속연행론과 탈구조주의, 그리고 독자수용론 등의 복합성(complexity)과 그들간의 유사성을 이용하는 해석상의 틀이다. 문학민속학적 연구는, 독자나 청자가 문학 텍스트나 민속 텍스트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의미 있는 암시로서 기능을 하는 여러 가지 개인적인 또는 집단적인 전통들을 확인하는 통합적인 비평방법을 일컫는다.“
문학민속학적 비평은 종래의 일반적인 문학비평방법에 예속된 민속문학적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한다. 그래서 그것은 소위 전통이라 일컬을 수 있는 민속이 작가에 의해서 그 작품 속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확인하면서, 그것이 독자에게 작품의 의미를 전달하는 데 기여하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작가와 독자가 함께 서 있는 전통이라는 지평을 작품해석을 위한 하나의 준거로 설정하는 것이다. 특히 민속적 텍스트가 문학적 텍스트에 소재로 채택되었을 때, 이들의 관계를 연계시키는 방법 또는 읽기 방식을 위해 민속을 텍스트를 지탱하는 중요한 콘텍스트로서 관심의 사정권 속에 끌어들여야 하는 것이다.
송기숙은 그의 오월의 미소에서도 민속을 중요한 화소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리랑이나 저승혼사굿이 그것이다. 이러한 민속이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는 현상만을 지적하는 것은 문학민속학적 비평이 아니다. 적어도 이러한 전통민속이 작품의 구조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밝히면서, 왜 필연적으로 그러한 자리에 민속이 선택될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진지한 물음에 답하고자 하는 것이 문학민속학적 비평방법일 것이다.
참고문헌
- 김헌선 외 1명(2002), 민속문학과 예술 : 언어예술적 측면에 근거해서, 비교민속학회
- 김영일(1997), 현대 사회 속의 전통적 민속 문학, 경상대학교
- 임동권(1988), 한국의 민속학 민속문학분야, 동양문학사
- 임재해 외 1명(2003), 민속문학의 교육적 기능과 문예 창조력의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 오만환(2008), 민속과 문학의 지평, 한국농민문학회
- Mark Peterson 외 1명(2009), 한국의 성 : 조선사회와 민속문학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간략한 검토, 한국국학진흥원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