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 근육 생리에 관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부생리] 근육 생리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해부생리] 근육 생리에 관해



Ⅰ. 서 론

Ⅱ. 본 론
 근육의 종류
 근섬유의 구조
  a. 근육의 구조
  b. 수축의 조절
  c. 근력의 생체역학
 근육의 특성
 근육의 활동전압과 수축
  a. 근육의 활동전압
  b. 근육의 활동전압 발생과정
 골격근의 구조
  a. 근 형태의 예
  b. 근 구조에 따른 근의 기능
 골격근의 미세구조
  a. 근육의 구성
 근수축과 이완의 기본적 구조
 신경과 골격근 섬유의 흥분
  a. 막 전위
  b. 활동전위
  c. 신경연접
 근섬유의 종류
  a. Slow
  b. Fast, Fatigue Resistant
  c. Fast Fatiguable
  d. Fast Intermediate
 근방추
  a. 근방추의 구조
  b. 근방추의 구심섬유
  c. 근방추의 운동섬유
  d. 사지의 위치와 운동의 지각에 대한 근방추의 역할
  e. 근방추에 의한 반사 - 신장반사
 운동 단위
  a. 근수축 강도의 단계(gradation of strength of muscle contraction)
 근의 길이와 장력의 관계
  a. 자극된 근 섬유의 길이-장력 곡선
  b. 능동 불충분(active insufficiency)
  c. Different Fiber Lengths
  d. Different Physiologic Cross-sectional Areas
 Joint Moment Arm
 비 대
  a. 신경학적 원인(neural Response)
  b. 유전학적 원인(Genetic Response)
  c. 단백질 합성(Protein Synthesis)
 근 수축의 특성
  a. 연축(twitch)
  b. 강축(tetanus)
  c. 가중(summation)
  d. 긴장(tonus)
  e. 강직(contarcture)
  f. 사회 강직(rigor mortis)
  g. 마비(paralysis)
 근 수축의 종류
  a. 등척성 수축(Isometric)
  b. 구심성 수축(concentric)
  c. 원심성 수축(eccentric)
  d. 등속성(isokinetic)
  e. 등장성 수축(Isotonic)
 골격근의 문제
  a. 위축 (muscular atrophy)
  b. 근육통 (muscle soreness)
  c. 근피로 (muscular fatigue)
  d. 근경련 (muscle cramp)
  e. 근이영양증 (muscular dystrophy)
  f.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Ⅲ. 결 론

본문내용

여 전신에 위축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지방에 가장 많이 소실되며 다음에는 근육이 소실된다.
* 압박 위축 : 압박 위축은 어떠 조직에 일정한 압박이 가해져 발생하는 것으로 장기 침상안전에서 빈발하는 욕창이다. 주로 신체의 돌출부에서 압박이 심해져 괴사가 일어난 것이다.
b. 근육통 (muscle soreness)
근육통은 근육에 통증이 생기는 현상으로 일반 근육통과 국소 근육통으로 구분하며 그 원인이 완전하게 규명되지는 않고 있지만 근육 내에 젖산이 쌓이면 근육통이 생기게 된다고 한다. 근육이 운동할 때에는 에너지가 필요하고 근육 수축과 같은 기계적인 일을 할 때, 인체 세포가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에너지원은 ATP이다. ATP를 만들기 위해 체내의 글리코겐과 지방산이 사용되고 이것은 에너지를 만들 때 부산물로서 젖산이라고 하는 물질을 만드는데 이것이 근육 내에 쌓여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과도한 운동이나 자극이 오면, 우리 몸이 자기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통증 물질을 만들어 더 이상의 무리가 오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경고 신호라고도 볼 수 있다. 일반 근육통 (general soreness)은 격렬한 운동 후 광범위하게 근육통이 나타났다가 대개는 3~4시간이 지난 후 사라지는데 원인은 광범위한 대사산물생성 (diffuse metabolic waste product)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국소 근육통 (local soreness, lameness)은 격렬한 운동 후 움직이기가 어려울 정도로 해당 근육에서 심한 통증과 딱딱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운동 후 12시간이 지난다음 나탔다가 다음날 더욱 심해지기도 하며 4-6일이 지나 증상이 없어진다. 국소 근육통의 원인은 근섬유 또는 근초(sarcolemma)의 파열에 따른 것으로 본다.
c. 근피로 (muscular fatigue)
근육의 활동으로 인해 다음 반응능력이 감소되는 현상을 근피로라 하고, 대개는 근육에 불쾌감 및 통증이 따르며, 근피로의 발생기전은 근육의 수축양상에 따라 다르다. 등장성수축 (isotonic contraction)에서는 과도한 근수축으로 대사산물 특히 젖산 (lactic acid)의 축적과 에너지원의 고갈로 피로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등장성수축을 많이하는 동적 작업 (dynamic work)에서는 근피로없이 최소한 8시간 작업할 수 있는 수준인 endurance performance limit 이상으로 작업하면 대사산물의 분해 및 에너지원을 회복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되지 않아 근피로가 발생한다. 등척성수축 (isometric contraction)에서는 근장력을 특정수준으로 유지하지 못할 만큼 오랜 기간 등척성수축으로 근피로가 생기며 이는 혈류량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사람의 근육은 최대 100% 등척성수축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2~3초, 최대 등척성수축의 50%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은 1분, 15%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 10분 이상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등척성 수축을 주로하는 정적 작업 (static work)에서는 최대 등척성수축의 15% 이상의 크기로 무리하게 작업하면 근피로가 나타난다.
신경근피로 (neuromuscular fatigue)는 신경-근 흥분전달과정에서 아세틸콜린의 생산 및 유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생기는 것으로 특히 큰 운동단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근피로가 나타나는 부위는 신경근접합부로 알려져 있다.
근육이 소모되어 크기가 감소한 것을 근위축이라 하며, 근육의 흥분성이 소실되어 수의적으로나 반사적으로 수축을 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근육의 무게, 단면적, 섬유직경의 감소 등과 같은 구조적인 변화와 글리코겐함량, 단백함량, 단백합성능, 수축능력, 미토콘드리아활성 등의 저하와 근섬유내 지방량 증가와 같은 기능적인 변화가 초래된다. 근위축은 신경절단, 석고고정 및 관절 핀고정, 지체현수, 건 의 절단, 인대손상 및 관절질환, 뇌손상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야기된다.
d. 근경련 (muscle cramp)
근경련은 자발적으로 통증성 근수축이 유발되는 현상이다. 근경련은 비복근(calf), 발 (foot), 다리 (leg &thigh) 등과 같은 몸무게가 실리는 근육에서 흔히 발생하며, 잠을 자다 갑자기 나타나기도 하고, 근피로 상태에서 가볍게 근수축을 하거나, 과도한 근수축 후, 심한 운동 후에 근경련이 발생한다. 근경련은 특별한 원인이나 전조가 있는 경우도 있으나 전혀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
근경련의 원인은 과도한 발한에 따른 염분부족으로 인한 전해질균형의 장애, 혈류량 감소, 콜린에스테라아제 (cholinestherase)의 국소 축적 또는 결핍 등이다.
e. 근이영양증 (muscular dystrophy)
근육이 점진적으로 약화되는 질환이다. 근육내 결합조직 증가나 근섬유의 지방조직으로 대치되면서 근섬유가 퇴행하게 된다. 보통 유전적 경향이 높다고 한다.
f.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신체 면역계에 비정상적 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며 주로 신경근 연접에서 Ach의 분해작용이 촉진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극도의 근육약화가 일어나게 된다.
Ⅲ. 결 론
신경의 전달(임펄스)은 신경근 접합부에서 신경전달물질을 유리하여 운동종판의 활동전위를 발생시킨다. 이 활동전위는 SR구조에 칼슘이 유리되면서 T세관을 통해 근필라멘트로 전해져 근 수축을 유도한다. 근육은 특성화된 수축 단백질로 인해 의미 있는 운동을 만들어 내며 뼈, 건, 인대에 의해 형성된 관절 내에서 일을 한다. 이러한 수축은 PCSA, 섬유의 길이, 근육의 형태, 관절의 각이나 부착 부위에 따라 기계적 이득이 변하게 된다. 수축은 운동신경계의 명령이 근육의 신경종말 전달되어 근의 수축량과 수축률을 조절하게 되면서 일어나게 된다. 신경학적 문제가 있어 이완 마비가 있을 경우 근육에 신경자극이 없어져 위축이 오기 되며 주로 이러한 현상은 견관절에 불완전성과 탈구 등이 일어난다. 또 강직(spastic)으로 인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근육은 단축되고 관절은 구축이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나 진행 상황에 맞춰 치료를 해야 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