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의 역사 12장 도시 변화와 건축의 근대성 모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건축의 역사 12장 도시 변화와 건축의 근대성 모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근대도시로의 전환
Ⅱ. 식민통치 시설의 확산
Ⅲ. 민족자본과 기독교세력의 서양식 건축
Ⅳ. 농촌지역 주택의 변모
Ⅴ. 새로운 건축기술 수용의 제약

본문내용

은 약 20호 집들이 야산을 끼고 모여 있으며, 마을 입구에
하나의 큰 솟을대문이 세워진 점을 볼 수 있다.
2. 주택의 변화Ⅱ
* 개별 주택에서도 이 시기 농촌의 주택은 새로운 면모를 보였다.
- 주택의 전체 규모가 커졌고, 특히 실내 공간의 확장 경향이 두드러졌다.
* 경기도 화성군의 안재홍 생가
- 과거의 구조에 변화를 가미하여 부엌과 안방 사이에 반칸 정도의 틈을 만들어 부엌에서 직접
대청으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 경기도, 충청남도 일대 농촌 가옥
- ㄱ자형의 안채와 문간채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취하는 튼ㅁ자 형태를 취하는 집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 풍수지리설이나 역서에 입각한 양택서(陽宅書)의 출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 그 이후 서울 등 일부 대도시에서는 한국인이 짓는 양옥집 또한 등장하기 시작함.
Ⅴ. 새로운 건축기술 수용의 제약
1. 기술의 차단 : 한국인 기술자는 20세기에 들어 서양식 건물의 기술적 통로가 완전히 차단되고 만다.
* 한국인 기술자들은 신기술과의 접촉을 포기하고 농촌으로 물러나 한옥의 재생산에 머무르게 된다.
* 근대적 건축기술인 포트란드 시멘트 및 판유리, 서양식 둥근 못이 도입되면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건축물들이 지어지기 시작하였지만, 이 기술들은 일본인에 의해 독점되어 있었다.
* 1907년 한국정부는 공업전습소를 설치하여 새로운 기술 교육을 전담하고자 했고, 그 안에는
목공과도 들어있었다.
-그러나 시기상 교수진 전원이 일본인이었으며, 일본 식민 지배를 위한 하부 기술자 육성을
목적으로 운영될 수 밖에 없었다.
* 1920년까지 근대적 건물 설계 업무는 완전히 차단되어 있었으며, 건설업의 경우 일본인의 독점은
더욱더 심했다.
* 자재에 있어 목재는 공급 방식이 다양하며 한국인들에게는 어느 정도 활기를 띈 분야였다.
- 농촌 지역에서 한옥 건설의 비교적 활발히 전개되었기 때문에 목재 유통도 어느 때보다
활기를 띠었다.
* 도량형의 통일은 한국인의 건축 활동을 크게 위축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는데, 일본에서
사용하는 도량형으로 바꾸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기술자들은 근대적인 건물에 참여하기 위해서
도량형 집기를 구매해야 하는등 한국 기술자에게는 또 하나의 장벽이었다고 생각된다.
* 한국 기술자들은 눈앞에 보이는 변화하는 새 시대의 물결을 따라가지 못하고, 재래의 건축 세계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기에 이 시기는 역사상 최악의 시기였다고 평가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