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체적 성장
1) 신장과 체중의 변화
2) 신체비율의 변화
3) 골격의 발달
4) 근육의 발달
5) 치아의 발달
2. 생리적 기능
1) 수면
2) 수유와 이유
3) 배설과 배변훈련
3. 뇌와 신경계의 발달
1) 뇌의 구조와 기능
2) 신경계의 발달
3) 대뇌피질의 발달
4. 운동기능의 발달
1) 대근육 운동
2) 소근육 운동
3) 운동기능 발달검사
4) 운동기능의 발달에 관한 세가지 관점
5. 감각과 지각의 발달
1) 감각과 지각
2) 시각
3) 청각
4) 후각
5) 미각
6) 촉각
7) 통합감각
참고문헌
1) 신장과 체중의 변화
2) 신체비율의 변화
3) 골격의 발달
4) 근육의 발달
5) 치아의 발달
2. 생리적 기능
1) 수면
2) 수유와 이유
3) 배설과 배변훈련
3. 뇌와 신경계의 발달
1) 뇌의 구조와 기능
2) 신경계의 발달
3) 대뇌피질의 발달
4. 운동기능의 발달
1) 대근육 운동
2) 소근육 운동
3) 운동기능 발달검사
4) 운동기능의 발달에 관한 세가지 관점
5. 감각과 지각의 발달
1) 감각과 지각
2) 시각
3) 청각
4) 후각
5) 미각
6) 촉각
7) 통합감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달
① 소리탐지능력은 출생전부터 어느 정도 가능
② 출생 후에는 인간의 음성이 영아의 감정을 움직이고 언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기 시작
③ 영아의 듣는 능력은 보는 능력과 동시에 발달, 양자를 협응시키려는 반응을 보임
④ 듣는 능력에 문제가 있으면 이후의 언어발달에도 영향을 미침
(4) 출생 전후의 영아의 소리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부학적, 생리학적 요인
① 외이, 이도, 고막, 중이강, 그리고 중이에서 인후로 통하는 유스타키오관 등은 출생 전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아동기동안 크기와 모양이 변함
② 이소골: 매우 빠르게 성장
임신 15주경: 성인의 트기에 달함
임신 25주경: 골격의 형성이 완성
③ 달팽이관
임신 25주경에 크기 완성
임신 32주경 감각세포의 유형이 성인의 것과 유사해짐
출생 무렵: 달팽이관의 해부학적 구조와 신경분포가 완성
(5) 신생아의 말소리 구분
① 생후 2주: 사람의 목소리와 다른 소리를 구분
② 생후 3주: 낯선 사람이나 어버지의 목소리보다 어머니의 목소리에 민감하게 반응
③ 출생 1개월: ‘바’음과 ‘파’음 같은 음소의 구별이 가능
④ 2개월: 서로 다른 목소리에 다르게 반응, 같은 사람이 내는 다른 음색의 목소리 구분
⑤ 4-6개월:
소리가 나는 방향을 정확하게 알아봄
낯익은 목소리를 구별
음악을 들으면 좋아함
(6) 신생아 청력연구
① 뇌파측정법을 이용한 신생아 청력 연구
신생아는 작은 소리 듣지 못함 - 출산과정에서 내이도로 침투된 양수 때문
양수가 제거되면 신생아도 소리의 크기, 음조, 지속시간, 소리가 나는 방향, 주파수 등을 구별할 수 있음
높고 강한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
신생아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크기
ⅰ. 성인보다 10-25 데시벨 높음
ⅱ. 음의 강도가 강할수록 심장 박동률이나 몸동작이 증가
② 습관화 실험
영아에게 같은 소리를 반복해서 들려주고 영아가 그 소리에 흥미를 잃으면, 다른 소리로 바꾸어 들려줌
영아가 새로 바뀐 소리에 반응을 보이면, 영아가 소리의 변화를 감지하였음
6개월 된 영아는 10데시벨 정도의 차이도 구분할 수 있음
③ 선호실험-소리에 대한 민감도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다름
6개월 영아: 낮은 소리나 중간소리보다 높은 소리를 더 잘 들음 - 성인이 영아에게 말할 때 높은 소리로 말하는 이유
고주파의 음에 대한 미감도-4, 5세경 절정 - 영아는 사람의 목소리 특히, 여성의 목소리를 선호
④ 빨기반응 측정법
영아는 낯선 여자의 목소리보다 어머니 목소리를 들었을 때, 외국어 보다는 모국어를 듣고서 젖꼭지를 더 많이 빰
태내에서 청각적 경험이 출생 후 영아의 듣기 선호에 영향을 줌
4) 후각
(1) 여러 가지 냄새를 식별
(2) 영아의 얼굴표정과 신체의 움직임으로 반응 알아봄
① 바나나냄새, 딸기냄새-기분좋은 표정
② 생선냄새- 약간 싫어함
③ 썩은 달걀 냄새-고개 돌리거나 얼굴을 찡그림
(3) 모유를 먹는 경우, 엄마의 젖냄새 구분. 생후 6일된 신생아에게 엄마 젖을 묻힌 수건과 한번도 사용 않은 수건을 제시하였을 때, 신생아는 엄마 젖 냄새가 나는 쪽으로 고개를 돌림
5) 미각
(1) 신생아는 단맛, 쓴맛, 신맛, 짠맛을 구분
(2) 2-3개월: 특정한 맛에 대한 기호가 생기고, 특정한 맛에 대한 거부현상을 보임
(3) 4개월: 신생아기때 싫어하던 짠맛을 좋아하기 시작 - 이유식에 대한 준비로 해석
(5) 영아기말: 미각이 예민해짐
① 음식에 대한 선호가 급격히 발달 - 다양한 음식을 제공
② 영아기 이후에 새로운 음식을 잘 먹으려 하지 않음
6) 촉각
(1) 촉각: 영아가 성인과 갖는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쓰다듬어 주거나, 등을 토닥토닥 두드려주면 아기를 재울 수 있음
(2) 생후 6개월: 촉각을 이용하여 주변 탐색
① 처음에는 입술과 입을 사용하고, 나중에는 손을 사용함
② 촉각은 영아가 자신의 환경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중요한 수단-인지발달에서 중요
(3) 첫돌 무렵: 영아는 손의 감촉으로도 익숙한 물체를 알아봄
(4) 온도에 대한 반응
① 체온보다 높은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에 민감
② 낮은 온도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몸을 활발히 움직임
(5) 통각의 발달 : 마취하지 않은 신생아의 포경수술-심장박동수와 혈압 증가, 높은 울음소리
7) 통합감각
(1) 통합감각: 어떤 감각을 통해 익힌 물체를 다른 감각에 의해 알아보는 능력
(2) Piaget의 통합이론(enrichment theory)
① 여러 가지 감각은 출생시 분리되어 있음
② 감각기관이 독립적으로 성숙해야만 여러 감각기관으로부터 정보를 비교해서 통합할 수 있음
③ 어떤 물체가 어떤 모습으로 보이고, 어떤 소리가 나며, 만졌을 때 느낌이 어떠한지에 대한 경험이 쌓인 후에야 감각간의 지각이 가능
(3) Gibson의 분화이론(differentiation theory)
① 감각은 출생시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감각 간 지각이 출생시부터 가능함
② 영아들은 어떤 자극이 제시되었을 대 모든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그 자극을 탐색함
(4) 통합감각에 대한 실험
① 6개월된 영아를 대상으로 매끄러운 젖꼭지 또는 울퉁불퉁한 젖꼭지를 보여주지는 않은 채 하나를 빨개하고, 두 개의 젖꼭지를 보여주면, 자신이 빨았던 젖꼭지를 더 오래 바라봄
② 생후 1년 쯤 된 여아를 대상으로 각기 분절음 또는 계속음을 들려주고 점선과 실선을 보여줌-분절음을 들었던 영아는 점선을 오래 보았고, 계속음을 들었던 영아는 실선을 더 오래 봄
③ 3개월된 영아가 어머니 목소리가 들릴 때는 어머니를 더 오래 쳐다보았고, 아버지 목소리가 들릴 때는 아버지를 더 오래 쳐다봄
→ 감각간 지각능력은 출생시부터 존재하는 것임
참고문헌
정옥분 저,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3
권민균, 문혁준 외 저, 아동발달, 창지사 2012
이대식, 여태철 외 저, 아동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 학지사 2010
아경희 저,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교문사 2010
손혜숙, 오애순 외 저, 아동발달론, 양서원 2012
Fergus P. Hughes 저,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2012
정정옥, 김광자, 영유아 교사를 위한 최신 보유학 개론, 교육아카데미 2012
① 소리탐지능력은 출생전부터 어느 정도 가능
② 출생 후에는 인간의 음성이 영아의 감정을 움직이고 언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기 시작
③ 영아의 듣는 능력은 보는 능력과 동시에 발달, 양자를 협응시키려는 반응을 보임
④ 듣는 능력에 문제가 있으면 이후의 언어발달에도 영향을 미침
(4) 출생 전후의 영아의 소리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부학적, 생리학적 요인
① 외이, 이도, 고막, 중이강, 그리고 중이에서 인후로 통하는 유스타키오관 등은 출생 전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아동기동안 크기와 모양이 변함
② 이소골: 매우 빠르게 성장
임신 15주경: 성인의 트기에 달함
임신 25주경: 골격의 형성이 완성
③ 달팽이관
임신 25주경에 크기 완성
임신 32주경 감각세포의 유형이 성인의 것과 유사해짐
출생 무렵: 달팽이관의 해부학적 구조와 신경분포가 완성
(5) 신생아의 말소리 구분
① 생후 2주: 사람의 목소리와 다른 소리를 구분
② 생후 3주: 낯선 사람이나 어버지의 목소리보다 어머니의 목소리에 민감하게 반응
③ 출생 1개월: ‘바’음과 ‘파’음 같은 음소의 구별이 가능
④ 2개월: 서로 다른 목소리에 다르게 반응, 같은 사람이 내는 다른 음색의 목소리 구분
⑤ 4-6개월:
소리가 나는 방향을 정확하게 알아봄
낯익은 목소리를 구별
음악을 들으면 좋아함
(6) 신생아 청력연구
① 뇌파측정법을 이용한 신생아 청력 연구
신생아는 작은 소리 듣지 못함 - 출산과정에서 내이도로 침투된 양수 때문
양수가 제거되면 신생아도 소리의 크기, 음조, 지속시간, 소리가 나는 방향, 주파수 등을 구별할 수 있음
높고 강한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
신생아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크기
ⅰ. 성인보다 10-25 데시벨 높음
ⅱ. 음의 강도가 강할수록 심장 박동률이나 몸동작이 증가
② 습관화 실험
영아에게 같은 소리를 반복해서 들려주고 영아가 그 소리에 흥미를 잃으면, 다른 소리로 바꾸어 들려줌
영아가 새로 바뀐 소리에 반응을 보이면, 영아가 소리의 변화를 감지하였음
6개월 된 영아는 10데시벨 정도의 차이도 구분할 수 있음
③ 선호실험-소리에 대한 민감도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다름
6개월 영아: 낮은 소리나 중간소리보다 높은 소리를 더 잘 들음 - 성인이 영아에게 말할 때 높은 소리로 말하는 이유
고주파의 음에 대한 미감도-4, 5세경 절정 - 영아는 사람의 목소리 특히, 여성의 목소리를 선호
④ 빨기반응 측정법
영아는 낯선 여자의 목소리보다 어머니 목소리를 들었을 때, 외국어 보다는 모국어를 듣고서 젖꼭지를 더 많이 빰
태내에서 청각적 경험이 출생 후 영아의 듣기 선호에 영향을 줌
4) 후각
(1) 여러 가지 냄새를 식별
(2) 영아의 얼굴표정과 신체의 움직임으로 반응 알아봄
① 바나나냄새, 딸기냄새-기분좋은 표정
② 생선냄새- 약간 싫어함
③ 썩은 달걀 냄새-고개 돌리거나 얼굴을 찡그림
(3) 모유를 먹는 경우, 엄마의 젖냄새 구분. 생후 6일된 신생아에게 엄마 젖을 묻힌 수건과 한번도 사용 않은 수건을 제시하였을 때, 신생아는 엄마 젖 냄새가 나는 쪽으로 고개를 돌림
5) 미각
(1) 신생아는 단맛, 쓴맛, 신맛, 짠맛을 구분
(2) 2-3개월: 특정한 맛에 대한 기호가 생기고, 특정한 맛에 대한 거부현상을 보임
(3) 4개월: 신생아기때 싫어하던 짠맛을 좋아하기 시작 - 이유식에 대한 준비로 해석
(5) 영아기말: 미각이 예민해짐
① 음식에 대한 선호가 급격히 발달 - 다양한 음식을 제공
② 영아기 이후에 새로운 음식을 잘 먹으려 하지 않음
6) 촉각
(1) 촉각: 영아가 성인과 갖는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쓰다듬어 주거나, 등을 토닥토닥 두드려주면 아기를 재울 수 있음
(2) 생후 6개월: 촉각을 이용하여 주변 탐색
① 처음에는 입술과 입을 사용하고, 나중에는 손을 사용함
② 촉각은 영아가 자신의 환경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중요한 수단-인지발달에서 중요
(3) 첫돌 무렵: 영아는 손의 감촉으로도 익숙한 물체를 알아봄
(4) 온도에 대한 반응
① 체온보다 높은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에 민감
② 낮은 온도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몸을 활발히 움직임
(5) 통각의 발달 : 마취하지 않은 신생아의 포경수술-심장박동수와 혈압 증가, 높은 울음소리
7) 통합감각
(1) 통합감각: 어떤 감각을 통해 익힌 물체를 다른 감각에 의해 알아보는 능력
(2) Piaget의 통합이론(enrichment theory)
① 여러 가지 감각은 출생시 분리되어 있음
② 감각기관이 독립적으로 성숙해야만 여러 감각기관으로부터 정보를 비교해서 통합할 수 있음
③ 어떤 물체가 어떤 모습으로 보이고, 어떤 소리가 나며, 만졌을 때 느낌이 어떠한지에 대한 경험이 쌓인 후에야 감각간의 지각이 가능
(3) Gibson의 분화이론(differentiation theory)
① 감각은 출생시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감각 간 지각이 출생시부터 가능함
② 영아들은 어떤 자극이 제시되었을 대 모든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그 자극을 탐색함
(4) 통합감각에 대한 실험
① 6개월된 영아를 대상으로 매끄러운 젖꼭지 또는 울퉁불퉁한 젖꼭지를 보여주지는 않은 채 하나를 빨개하고, 두 개의 젖꼭지를 보여주면, 자신이 빨았던 젖꼭지를 더 오래 바라봄
② 생후 1년 쯤 된 여아를 대상으로 각기 분절음 또는 계속음을 들려주고 점선과 실선을 보여줌-분절음을 들었던 영아는 점선을 오래 보았고, 계속음을 들었던 영아는 실선을 더 오래 봄
③ 3개월된 영아가 어머니 목소리가 들릴 때는 어머니를 더 오래 쳐다보았고, 아버지 목소리가 들릴 때는 아버지를 더 오래 쳐다봄
→ 감각간 지각능력은 출생시부터 존재하는 것임
참고문헌
정옥분 저,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3
권민균, 문혁준 외 저, 아동발달, 창지사 2012
이대식, 여태철 외 저, 아동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 학지사 2010
아경희 저, 아동발달과 부모교육, 교문사 2010
손혜숙, 오애순 외 저, 아동발달론, 양서원 2012
Fergus P. Hughes 저, 놀이와 아동발달, 시그마프레스 2012
정정옥, 김광자, 영유아 교사를 위한 최신 보유학 개론, 교육아카데미 2012
추천자료
유아의 행동에 관하여
정보처리이론-지각발달
감각/지각기능의 변화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놀이의 중요성 및 놀이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상 사례 연구 case study - DSM-IV-TR, 감각지각장애(환청)
영유아 신체 및 지각발달
영유아교수방법론 - 영유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놀이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을 논하시오.
[영유아기 지각발달] 영유아의 지각발달(유아기 지각발달)
영아기 지각발달 - Gibson(깁슨)의 지각발달이론(생태학적 접근), 영아기 시각능력 및 청각능력
[아동기 인지발달] 학령전기 아동의 인지발달 - 학령전기(아동전기)의 지각발달 및 기억발달(...
[영아기 지각발달] 영아기 지각측정방법, 영아기의 지각(영아의 시지각발달 및 소리지각발달)
[유아기발달] 유아기 지적발달 - 유아기 지각발달, 기억발달, 개념발달, 사고발달, 언어발달,...
영아기 지적발달(영아기 시각발달, 지각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