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수정 파동과 <교과서 포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행『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수정 파동과 <교과서 포럼>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언(序言)
Ⅱ. 사태의 추이
 1. 내력
  (1) 2008년 10월
  (2) 2008년 11월
  (3) 2008년 12월
  (4) 2009년 그 이후
 2. 검인정 교과서란?
Ⅲ. 『한국 근현대사(금성)』, 어떠한 점이 문제 되었는가?
 1. 북한 교과서를 무비판적으로 수용?
 2. <교육과학기술부> 제시안 및 <국사편찬위원회> 출판물과의 비교
Ⅳ. <교과서 포럼>과 『대안 교과서』
 1. 저자 분석
 2. <교과서 포럼>의 『대안 교과서』발행 취지 및 특색
 3. 서술 상의 문제
  (1) 무책임한 서술
  (2) 단절된 한국의 근현대사
  (3) 내용 편중
  (4) 기타 문제
 4. 『대안교과서』, 현행 교과서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Ⅴ. 결언(結言)

본문내용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력 양성 운동(무장력, 비 무장력)에 대한 서술을 상대적으로 결여하고 실상 성과도 미비한 이승만의 외교 정책을 상대적으로 크게 부각시켰다. 그러면서도 이승만의 외교 정책이 한국의 독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서술은 무책임하게도 없었다.
다섯째, 역사를 연속상의 흐름으로 보는 오늘날의 역사학계에서는, 시대구분론을 크게 맹신하지 않는다. 논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시대구분론을 차용하거나,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기 위해 임의로 시대성을 부여하기는 하지만, 역사 자체를 불연속상의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본서의 서술은 한국의 근세 사회에 대한 자세한 고찰 없이 소농 중심의 사회라고 못 박거나, 마치 1876년 개항과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계기로 전혀 바뀔 수 없었던 것이 크게 변혁을 이룬 것처럼 서술하고 있다. 여섯째, 정부의 통계 자료를 제시하여 마치 실증사학인 것처럼 포장하고 있으나, 그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원문 인용이 부족하다. 즉, 사료를 제대로 비판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대안 교과서』는 교과서로 채택될 자체 역량이 없다. 교과서 진술 자체가 역사적인 사실과 다르거나, 설명이 현저하게 미흡할 뿐더러, 역사 연구의 기본적인 원리인 사료 비판조차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논조가 흐지부지하다.
따라서, 『대안 교과서』는 학생 스스로 이용하기에는 다소 위험한 요소들이 많다. 사실(史實)을 곡해할 가능성도 있고, 사실(史實) 이면에 존재하는 배경이나 맥락 등을 간과하고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또한 사료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안 교과서』이용 시, 전문 역사 연구자나 역사교육학 교육을 전문적으로 받은 교사의 구독(購讀) 지도가 필요하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밝힌 <교과서 포럼>의 결성 배경이나, 금번에 그들이 자행한 『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수정을 요구한 것은 그야말로 몰상식한 일이다.
Ⅴ. 결언(結言)
이상과 같이, 현행『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수정 파동의 진행 양상과 그 갈등의 중심에 있었던 현행 교과서 저자들과 정부 당국, 또 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한 <교과서 포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논란의 중심이 되었던 『한국 근현대사(금성)』교과서는 현재 저자들의 <가처분 금지 신청>에도 불구하고, 저자들의 모든 권리가 기각된 채, <교육과학기술부>의 수정 요구에 따라 전면 수정되어 출판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교과서 수정 요구를 철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 중이지만 현실적으로 실현이 불가능해보인다. 이로써 이념 편향 논란을 일으켰던 『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수정 파동은 일단락(?)되었다. 이에 대해 저자인 김 한종 한국 교원대 교수 등은 2011년부터 사용하게 될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편찬에 불참을 선언하고 있다.
『한국 근현대사(금성)』교과서는 2008년 10월 국정감사 당시, 북한의 통사서인 『현대조선역사』의 내용을 그대로 베꼈다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진술 상 많은 부적절한(?) 문구가 문제시되어 수정을 명령받았다. 그러나, 기실은 『현대조선역사』의 내용을 적절한 인용 형식을 사용하여 인용한 것이었고, 부적절한 문구 역시 <국사편찬위원회> 출판물과 비교했을 경우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럼에도 출판사 대표에 의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한 안에 따라 일괄적으로 수정 조치되었다.
이 문제에서 주목할 것은 <교육과학기술부>만이 유일하게 교과서 검정권을 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포럼>등의 일부 단체가 현행 교과서 저자들에게 교과서 수정 권고안을 제시했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전문 역사 연구가라기보다는 우리 사회의 기성(旣成)층을 확보하고 있는 일부 유력인사에 불과하다. 그들이 현행 역사교과서의 대안으로써 제시한 『대안 교과서』는 실상, 역사연구의 기본적인 원칙조차 지켜지지 않아 현행 교과서의 대안으로서 자리 잡을 수 없다. 그럼에도 그들은 끊임없이 교과서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그들이 비교적 최근에 결성되었고, 현 정권의 성립과 거의 맞물려 『대안 교과서』를 편찬해 냈다는 것 역시, 이 문제와 결부시켜 생각해 볼 일이다.
이제 일선 교육현장에서 맹활약하는 기존 역사교사들은 물론이고, 역사 교사를 준비하는 우리들 역사교육학도들 역시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때이다. 『대안 교과서』와 같은 ‘엉터리 역사책’이 시중 문고에서는 현행 검인정 교과서와 같은 칸에서 팔리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대안 교과서』에서 주장하는 ‘엉터리 내용’은, 중고등학교 국사교육을 제대로 받은 이상 충분히 반박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아직 사관(史觀) 형성이 미흡하기 때문에 역사 학습의 기본적인 원리를 잘 모른 채 ‘교과서’의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쉽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제법 건전한 사관을 흔들리지 않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리들이 노력해야 한다.
첫째, 역사는 단절된 형태가 아니라 연속된 형태임을 각인시켜야 한다. 이로써, 학생들은 역사의 맥락 속에서 특정한 사실(史實)을 비교적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역사를 공부하는 목적에 대해 학생들이 충분히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는 비단 기존의 역사철학을 인용하는 차원이 아니다. 학생들 스스로가 역사를 배우는 것이 어떠한 것인가를 고민해 보고, 역사 학습의 목적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역사 인식에 있음을 깨닫게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본주의(人本主義)와 상식에 입각한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 역사 서술에서 주어는 항상 인간이 차지한다. 역사의 진행방향은 인간이 어떻게 인간답게 살아가는가에 있다. 즉, 인간 스스로가 존엄성을 자각하고 획득해 나가는 데 있는 것이다. 어쭙잖은 통계 자료를 통해 경제 성장이 있었음을 증명하더라도, 그 경제성장이 역사의 주체인 인간에게 되돌아가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예를 들어 일제의 식민 정책은 아무리 경제 성장 등으로 좋게 포장하려 해도, 무력에 의해 사람들을 강점한 이상, 반 인본적인 처사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인본주의(人本主義)사관은 지금껏 알려진 거창한 담론들이 아닌, 바로 인간의 상식에서 출발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4.1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2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