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 인터넷매체언어와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 - 인터넷과 인터넷매체언어 및 국어교육, 인터넷의 구조와 구성원리, 인터넷의 매체 언어성과 문식성의 확장 (인터넷 매체 언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교육] 인터넷매체언어와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 - 인터넷과 인터넷매체언어 및 국어교육, 인터넷의 구조와 구성원리, 인터넷의 매체 언어성과 문식성의 확장 (인터넷 매체 언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터넷, 인터넷매체언어 그리고 국어교육

2. 인터넷의 구조와 구성원리 

3. 인터넷의 매체 언어성과 문식성의 확장

본문내용

인쇄매체 중심의 이러한 개념은 매체의 발달과 매체 의존적인 언어생활에 비추어 볼 때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매체의 언어 사용 현상을 국어교육의 일부로 수용하고 이를 반영하기 위해 교육적인 고려를 하게 된다면 인터넷매체언어에 대한 국어교육적 수용은 정보 문식성에 대한 이해 범위의 확대와 언어정보 재창출로 연결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인터넷매체언어의 문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표상적 의미작용을 감지하고 획득하는 방법과 상호작용 언어활동에 대한 탐구작업이 뒤따라야 한다. 또한 인터넷매체언어는 단순히 ‘국어’의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할 사회적 기호이며 상호소통 매커니즘의 전언체로 파악하여야 한다. 가령 플래시(flash) 기법에 의해 만들어진 언어형상물이나 배너형 애니메이션은 인터넷 상에서 구현되는 독특한 언어현상이다. 이것은 기존의 매체 언어관에서 보면 설명하기 곤란한 부분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무시할 수는 없는 것이기에 어떤 방식으로든 적절한 의미를 부여해야 할 것이고, 국어교육적 차원의 활용 방법의 모색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국어교육의 영역 또한 말하기/듣기/읽기/쓰기/문학/국어지식으로만 범주화할 것이 아니라 보기(watching)에까지 확장해야 한다. 흔히, 영상물을 보는 것을 읽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으나, 인터넷매체언어의 경우 읽기 전에 보는 행위가 먼저 수반된다. 컴퓨터 화면 속의 많은 프레임, 그 속에 현란하게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배너, 하이퍼링크되어 있는 수많은 문서들, 사용자는 해독(decoding)과 이해(comprehension)라는 인지적 활동에 앞서 단순히 보고 느끼고 선택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하게 된다. 보기와 선택(selection)은 약간의 시차를 두거나 거의 동시적으로 행해지며, 이해는 선택된 문서(document)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가령 검색 엔진을 통해 ‘국어교육’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고 엔터(enter) 키를 쳤을 때, 다음 화면에는 ‘국어교육’에 관한 수많은 문서들이 나열된다. 이때 나타나는 ‘국어교육’에 관한 문서들은 검색 로봇이 추출한 것이기 때문에 문서가 위치하는 경로에 관한 간단한 소개가 전부이다. 그것만으로는 내용의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 단지, 보여지는 것 중에서 그 어떤 것을 선택해야만 원하는 문서가 제시되고 그 다음이라야 비로소 읽기가 가능하다.
이런 가설의 성립은 인쇄 매체언어와 인터넷매체언어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매체언어성을 갖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가령 진흙을 이용한 각명문자(刻銘文字)와 인쇄문자 사이에 읽기 방식에 차이가 있듯이 인쇄문자와 인터넷 언어 사이에도 차이가 있다는 인식이다. 진흙, 종이, 전자서판이라는 쓰기 도구의 차이는 언어 형상성뿐만 아니라 전언성의 차이를 수반한다. 궁극적으로 볼 때 언어는 도구의 형질에 지배되며, 새로운 도구의 출현은 새로운 언어의 창출로 이어진다. 문제는 인쇄매체 중심의 읽기관의 입장에서 인터넷매체언어를 이해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읽기 방법의 창출을 시도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필자는 후자의 입장을 견지하며, 그런 점에서 보기와 읽기는 기능 분화되어야 하며 인터넷매체언어에 대한 읽기 또한 인쇄매체 읽기와 동일하게 다루어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인터넷매체언어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잘 보는 방법에 관한 훈련이 필요하다. 잘 본다는 것은 잘 선택한다는 의미로, 잘 선택하기 위해서는 인터넷매체언어의 구성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매체 친숙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인터넷매체언어에 있어서는 보기 과정도 문식성 확대에 필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