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DM(Diabetes Mellit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사정+간호진단 ,계획, 수행 결과도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DM(Diabetes Mellit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사정+간호진단 ,계획, 수행 결과도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간호과정 양식
가. 건강사정
1) 대상자의 기능적 건강양상
2) 대상자의 건강력
3) 신체검진
4) 경구 비경구적 투약 및 정맥주사
5) 진단검사(혈액검사, 소변검사, 대변검사)
6) 진단검사(방사선 검사, 핵의학 검사, 초음파 검사 등)
7) 기타 진단검사(내시경 검사 등)

본문내용

염, 대장염, 호산구성 백혈병, 위암, 난소종양, 폐암, Addison질병, Hodgkin질병
감소: 심한긴장, 월경, 말단비대증, ACTH. cortisone. epinephrine 과다분비
BASO
1.4
0~2 %
증가: 용혈성 빈혈, 궤양성 대장염, 혈소판혈증, 점액수종
감소: 아나필라틱 반응, 급성감염, 알러지반응
ANC
4.62
[10^6/㎕]
절대호중구수 면역력의 지표로 쓰임 최소 1000이상시 cheomotherapy 할 수 있음
감소 : 면역력저하, 500이하는 역격리
ESR
26▲
0~11
mm/hr
증가: 세균성감염, 감염, 결핵 ,2차매독
감소: 채혈시 응혈된 것이 섞일때,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은 경우,
fructosamine
661▲
0~296umol/L
증가 : 당뇨병, 신부전증, Alchol중독
감소: 용형설 빈혈, 약물에 의한 용혈
1~3주의 혈당 농도를 반영한다.
HbA1C
13.7▲
4.4~6.4%
3~4개월간 혈당 농도를 나타낸다
종합의의 : 후락토사민은 혈청단백이 포도당과 결합한 것인데, 혈청단백의 반감기가 약 17일이므로 후락토사민치는 과거 17일간의 혈당치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측정시부터 과거 1-3주간의 평균혈당치를 반영하며 식사나 다른 여러 외부 조건에 변동이 없으므로 당뇨병의 장기적인 치료의 조절지표이다. 적혈구 내 당화혈색소(헤모글로빈인 HbA1c(A1C))는 지난 3~4개월간 혈당 농도를 나타낸다. 적혈구의 수명이 120일 정도 이므로, 이 검사는 그 기간 동안의 혈중 포도당 농도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대상자는 평소에도 혈당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항목
결과
(11/22)
정상치
임상적의의
T.protein
4.7
6.0~8.0
[g/dL]
증가 - 탈수, 용혈, 운동, 스트레스, 간질환
Albumin
4.7
3.5~ 5.2
[g/dL]
간질환의 지표로서, 삼투압을 조절하며, 호르몬, 빌리루빈, 약물의 운반기능을 갖음
Glucose
391▲
70 ~ 110
[mg/dL]
공복시 혈당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자극을 받아서 유리됨
AST
(SGOT)
11
0 ~ 40
[IU/L]
간과 심장에 고농도로 존재.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상해와 간상해 후에 혈중농도가 높음. 급성췌장염, 용혈성빈혈, 심한 화상, 급성신장질환,골근육 질환과 상해시에도 증가. 근육주사 후에도 증가할 수 있음
ALT
(SGPT)
12
0 ~ 45
[IU/L]
간에 가장 많으며 신장 심장, 골근육에도 있음. 일반적으로 장애가 있을시 SGPT가 증가함. 이 효소는 간세포 질환에 특히 예민
T. bilirubin
0.22
0.2 ~ 1.2
[mg/dL]
증가: 후천성 황달, 간전성 황달, 포합빌리루빈의 배설 장애
감소: 용혈성 빈혈
BUN
13.0
5~ 20
[mg/dL]
Blood Urea Nitrogen은 암모니아를 배설하기 위해 요소싸이클을 통해 배출 되는 것으로서, 섭취단백량, 요소합성량, 배설량에 의해 좌우되는 신장기능의 지표
Creatinine
0.42
0.5 ~ 1.2
[mg/dL]
간, 신장에서 형성되어 근육에 분배되어 고에너지 합성물로 변화
Na
135
135 ~ 145
[mEq/L]
증가 : 중증당뇨환자, 고장식염수의 과잉투여
감소 : 수분과잉, 위장관손실
K
4.8
3.5 ~ 5.5
[mg/dL]
증가 : 배설장애(신질환), 발열, 기아
감소 : 체온저하, 위장관손실, 부신피질 과형성
cl
97
100 ~ 110
[mg/dL]
증가 : 탈수, 호흡성알카리증, 대사성 산증
감소 : 수분과잉, 소화액 상실, 이뇨제사용
Total cholesterol
237
150~240
[mg/dL]
증가: 알콜성 지방간, 당뇨병, 뇌염
감소: 중즈간실질장애, 간경변, 바세도우씨병, 갑상선기능항진증
HDL
cholesterol
52
30~85
[mg/dL]
증가: 혈중에 증가하는 것은 좋은 상태, 사추니 이후 여성, 체중감소, 적당한 음주 후, 담도폐쇄, 갑상선 기능저하증, 당뇨증
감소: 비만, 고혈증, 당뇨병, 담석증, 허혈성 심질환, 흡연, 뇌동맥경화
LDL
cholesterol
183▲
65~155
[mg/dL]
증가: 급만성 간염, 심근경색, 악성종양, 백혈병, 신질환
감소: 급성간염, hypoxia
Trigly
ceride
281▲
50~200
[mg/dL]
증가: 알콜성 지방간, 당뇨병, 뇌염
감소: 중즈간실질장애, 간경변, 바세도우씨병, 갑상선기능항진증
* Blood Chemistry test
종합의의 : 대상자는 LDL, TG수치가 평균수치보다 높으므로 당뇨병을 의심할 수 있다.
* 소변검사
항목
결과
(11/22)
정상치
임상적의의
Specific .Gravity
1.020
1.003-1.030
증가: 당뇨병, 신증, 체액상실
감소: 중증의 신장 손상, 소변량 증가
pH
5.0
4.5~8.0
증가: 검사물을 오래두었거나, 감염의 결과
감소: 호흡성 대사성 산증
Nitrite
-
negative
요로감염증의 여부를 진단, 양성이면 세균학적 검사가 재 요구된다.
Protein
Trace
negaive, Trace
증가: 사구체신염, 전신성 홍반성낭창, 신증후군, 신장질환, 외상, 중증빈혈, 복부종양, 갑상선기능항진, 심장병, 장협착
Glucose
+++
negative
당뇨병이나 신장의 포도당 재흡수가 낮아지는 신역치 저하를 의미
Ketone
+
negative
수술전, 임신, 당뇨병, 산증, 심한 구토, 기아
Bile
-
negative
증가: 간염, 간기능저하, 간세포 질환, 담도협
Urobili
-
negative, Trace
증가: 사구체신염, 전신성 홍반성낭창, 신증후군, 신장질환, 외상, 중증빈혈, 복부종양, 갑상선기능항진, 심장병, 장협착
RBC
*
0-4/HPF
출혈은 결석, 방광염, 종양, 사구체신염, 결핵, 신생검이나 손상에서 비롯됨
WBC
0-1
0-4/HPF
백혈구수치 상승(농뇨)은 요로계 감염이나 염증 의미
* 종합의의 : 소변에 케톤이 있으므로 에너지원으로 지방이 이용되고있으며 단백질이 소량 검출되었고 glucose 정상적으로 하루에 150mg미만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대상자는 소변 내의 단백질이 미량으로 발견
  • 가격1,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5.02.15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64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