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 하였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 하였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
유학은 중국인들의 삶의 근본이었기에 과학은 이 막강한 패러다임을 이길 수가 없었다.
즉, 중국인들은 수 천 년 간 유지되어온 자신의 삶의 근본을 부정할 수 없었기에 과학을 통해 기존 사회구조를 뒤엎고 새로운 사회구조를 만들려 하지 않았다.
또 중국은 폐쇄적 사회구조였기 때문에 외국의 신사상, 신문물을 수용하려 하지 않고 유학 중심의 봉건사회를 유지하려 했다.
원시과학구조의 사회화 조건을 구비했던 시기는 거대한 변환기였던 전국시대후한말기남북조후기 이렇게 세 시기이다.
유가가 한대 이후 중국 정통사상으로서 독자적 위치를 확보하면서 묵가는 물론 과학까지도 억제되었고 결국은 묵가와 과학은 소멸되었다.
이후 후한 말기에 ‘제 2의 학술부흥기’가 일어났지만 원시과학구조의 씨앗이 시종 형성되지 못했기에 과학 구조는 성장하지 못했고, 묵가는 일시적 번영에도 불구하고 다시 급속히 그 모습을 감추었다.
남북조 후기에는 유가와 도가가 상호보완구조를 형성해 부정성의 확산효용은 결국 유가사상 만을 정통으로 한 채 묵가와 도가로 하여금 흔적도 없이 사라지게 했다.
이렇게 해서 당송시기에 비록 과학기술은 높은 수준에 도달했지만 중국봉건사회 국가 지닌 한계를 벗어나진 못했다. 이런 사회구조 속에서 근대과학구조는 형성되지 못했다.
서양이 기존 사회구조와 반대되는 성격을 지닌 새로운 사회구조를 통해 부정성의 확산 효용을 일으킨 반면 중국은 기존 사회구조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새로운 사회구조를 통해 부정성의 확산효용을 일으키려 했다.
즉, 유가와 도가는 모두 과학에 대해 부정적 입장이었기 때문에 유가의 문제점을 도가가 비판한다고 해도 과학의 사회화 부분에 대해서는 유가와 동일한 입장을 취했다.
이 때문에 근본적 사회구조는 변화가 없고 유교중심의 봉건사회가 계속 유지 될 수밖에 없었다.
또, 빈번한 정복전쟁 때문에 중요한 과학이론 서적들이 많이 손실되고 파괴되어 기존사상을 대체하는 새로운 사상이 나타났다고 해도 그 이론적 근거가 미약하거나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근대과학구조는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사회구조 속에서만 형성되었다.
즉, 근대과학구조가 사회구조와 격리된 채 외부에서 형성될 경우에는 뿌리내릴 땅이 없기 때문에 패러다임 기능을 형성하지 못하고, 특히 과학구조의 사회화는 각종 장애로 인해 결국에는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중국의 봉건적 사회구조를 고치지 않는 한, 근대 과학의 수립을 위한 조건을 구비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중국인들에게 근대서양과학기술은 너무 급진적이라서 받아들이기엔 어려운 점이 있었다.
무엇보다 서양은 식민지 개척을 목적으로 중국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서양과학기술을 소개했다. 그래서 중국은 개방적으로 서양종교와 기술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또, 중국 지배계층은 서양과학기술의 필요성을 굳이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전통과학 기술은 중국의 여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다양한 요소들에서 복합적 영향을 받으며 근대 과학 구조로 형성되지 못하고 서양 과학 기술에 뒤쳐지게 되었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3.17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