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문화와 역사 {일본군 위안부, 독도, 을미사변(명성황후시해사건), 6.25 한국전쟁, 아편전쟁, 유교, 율령, 임진왜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시아 문화와 역사 {일본군 위안부, 독도, 을미사변(명성황후시해사건), 6.25 한국전쟁, 아편전쟁, 유교, 율령, 임진왜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본군 위안부 ............................................. 2 page.

2. 독도 ........................................................ 2~3 page.

3. 을미사변(명성황후시해사건) ................................. 3~4 page.

4. 6.25 한국전쟁 .............................................. 4 page.

5. 아편전쟁 .................................................... 5 page.

6. 유교 ........................................................ 5~6 page.

7. 율령 ......................................................... 6 page.

8. 임진왜란 .................................................... 7 page.

본문내용

로 개인니 아나라 공동체적인 존재로 태어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개인주의를 일종의 ``악덕``으로 여긴다. 이는 유교가 개인주의에 토대를 둔 서양과 다른 복지철학을 갖고 있음을 추측케 해준다. 그리하여 그것은 개인주의가 많은 문제점으로 노정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되돌아보게 해줄 것이다. 유교는 물질복지를 중시하지만, 그것도 궁극적으로는 정신복지를 지향한다. 복지를 행복이라는 말로 바꾸어 말한다면, 유교는 진정한 행복이 물질이 아니라 정신에서 나온다고 생각한다. 그 ``정신``은 사랑. 의로움, 예절 등 도덕가치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그리하여 유교의 복지정신은 사람들이 도덕적으로 조화롭게 살아가는 사회를 이상으로 꿈꾸었다. 그것이 실현하고자 했던 가정적 하회의 이사이 이를 잘 말해준다.
7. 율령
율령? 고대 국가의 법률. ‘율’은 형벌 법규이고, ‘령’은 행정 법규를 말한다. 삼국 시대 중앙 집권 체제가 정비될 무렵, 법률을 만들어 통치 기반을 확립하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백제 고이왕(3세기), 고구려 소수림왕(4세기), 신라 법흥왕(6세기) 때 율령을 반포하였다.
율령 관련기사_백제의 율령 반포 시기와 그 변천(2012.학술논문.전덕재)
백제는 5세기 후반 개로왕대에 16관등제와 衣冠制를 정비하고, 왕의 子弟와 宗族을 지방의 籤魯에 파견하여 지방의 지배층을 국왕 중심의 일원적인 관등체계에 편제하였다. 아울러 당대(當代)에 개별 가호 단위로 부세를 부과하는 수취체계를 정비하였다. 백제가 개로 왕대에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를 정비하였으므로 이때에 율령을 반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인다. 6세기전반 무령왕대에 한성함락의 후유증을 극복하고 지배체제를 재정비하면서 율령을 개정하였다고 추정되나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이후 사비시대 의관제(衣冠制)와 연령등급제도(年齡等級制度)의 운영을 통하여 북제(北齊)와 북주(北周)를 비롯한 북조(北朝)의 율령을 수용하여 다시 한번 율령을 개정하고, 630~640년에 무왕(武王)이 당의 6부제(部制)를 참조하여 6좌평제(佐平制)를 새로 제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형율 규정 가운데 일부를 개정하였음이 확인된다.
8. 임진왜란
임진왜란?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 1차 침입이 임진년에 일어났으므로 '임진왜란'이라 부르며, 2차 침입이 정유년에 있었으므로 '정유재란'이라 한다. 하지만 임진왜란 하면 일반적으로 정유재란까지 포함시켜 말한다. 이 왜란을 일본에서는 '분로쿠(文祿)·케이초(慶長)의 역(役)'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만력(萬曆)의 역(役)'으로 부른다.
임진왜란 관련기사_임진왜란 원흉들의 최후 (2009.11.25)
임진왜란은 일본이 평화스럽던 조선을 침략하여 온국토를 양민들의 피로 물들게 하고 수많은 조선인들이 일본으로 끌려가 한 많은 삶을 살게 한 피맺힌 전쟁이었다. 조선은 통일된 법치국가인 선비들의 나라였고 일본은 자신들끼리 죽고 죽이는 땅뺏기 전쟁으로 단련된 나라였으며 신무기인 조총까지 있었으니 애당초 상대가 안 되는 전쟁이었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이 혜성처럼 나타나 뛰어난 전략으로 해상권을 장악하고 보급로를 차단하여 23전 전승의 빛나는 승리로 일본인에게 영원한 수치감을 안겨주었고 초근목피로 연명하면서도 저항하여 일본이 스스로 철수하게 만들었다.
일본은 속전속결로 오직 조선왕인 선조의 항복을 바라며 한양만을 노리고 쳐들어왔으나 임금은 항복을 거부하며 몽진하고 일본과는 달리 백성들이 의병을 조직하여 대항하며 전쟁이 길어지자 해상 보급선이 끓어져 우왕좌왕하다가 히데요시가 죽자 자멸하고 말았다.
무릇 나라마다 영웅을 미화하지만 나는 이순신 장군이 만들어진 영웅이라는 시각을 거부한다. 난중일기를 보면 얼마나 그가 고뇌하고 백성들과 부하들의 안위를 걱정하는 인간적인 장군이었는지 알 수 있다.
러일전쟁을 승리로 이끈 일본의 해군제독 헤이하찌로가 그를 칭찬하는 일본언론에 “ 영국의 넬슨 제독은 나의 비교가 되겠지만 조선의 이순신 장군에 비하면 나는 조족지혈” 이라고 말하며 이순신 장군을 군신으로 모셨고 그 비석이 남아있다는 사실 정도는 우리 국민 모두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전쟁승리가 지상목표인 일본무사들에게 이순신의 전승은 충분한 자존심을 세운 것이며 전쟁을 직업으로 삼던 자들이 압도적인 군사와 장비로도 이순신 장군과 조명 연합군에게 패퇴한 것은 그들에게 수치심을 안겨주기에 충분한 전쟁이었다는 것을 분명히 저들에게 각인 시켜야 한다.
  • 가격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8.09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