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의식과 자기개념(자기의식의 이중성, 사회와 자기, 현상학적 장과 자기개념, 문화와 자기의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기의식과 자기개념(자기의식의 이중성, 사회와 자기, 현상학적 장과 자기개념, 문화와 자기의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기의식과 자기개념

I. 자기의식의 이중성

II. 사회와 자기

III. 현상학적 장과 자기개념

IV. 문화와 자기의식

본문내용

자의 성선설이 나옴으로 해서 유가는 비로소 인간을 만물과 구별하고, 도덕의 총부로 보는 천지지성 또는 천명(天命)과 연결시킬 수 있는 근본이 선 것이다.
실로 맹자 사상의 핵심은 성선설에 있으며, 다른 문제에 대한 입장들은 모두 성선설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우주만물에 대한 인간주체화'가 공맹을 거치면서 철학적 체계화에서 이론적으로 확립됨으로써 유가는 비로소 보편학으로서의 유학적 체계와 보편이념으로서의 유교적 의의를 완전히 갖추게 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가사상을 분석해 볼 때, 이완재(1988)가 유가경
전(儒家經典)에서는 "자아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명확한 답변을 한 곳
이 없다고 한주장이 일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의하면 첫째, 그
물음 자체가 유가학문적 발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실천의 이
론에 근거를 깔고 있는 유가적 탐구는 '내가 무엇을 할 것인가?"또는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물었지 단순한 객관적, 지적
대상으로서 자아가 무엇인가를 묻지 않는다.
둘째는 유가사상의 배경을 이루는 사회적, 역사적 특수성이 유가사
상에 자아개념을 낳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오랜 역사를 농업 위주의
국가로 지낸 국가에서는 농업경영은 집단적인 인력을 요한다. 따라서
집단적인 공동생활이 요구되는 공동체 생활 속에서 개체는 전체 속에
매몰되어 버리고 개체적인 자아가 발전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비해 서양에서는 일책이 성서적인 인간관에 영향을 받아 비록
신에 의해서 '신의 형상(Imago Dei)'으로 창조된 인간이지만 창조주 신
의 의지에 거역할 수 있는 인간상이 확립되는 가운데 인간 개체의 독자
성이 강조되었다. 집단보다도 개인주의가 강조되고 개인의 독자성이
강조되고 있는 사실을 부각시키고 있는 오늘날 서구에서의 자아에 대
한 연구에서도 이러한 측면을 찾아 볼 수 있다.
예컨대, 그린월드와 프랫카니스(Greenwald & Pratkanis, 1984)는 자
기개념에 대한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동양과 서양에서 자기개념에 대
한 이해의 차이를 역사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면서 자기개념은
어떤 면에서 크게 2가지 모습으로 분류된다고 하였다. 즉, 개인 스스로
가 보는 자신의 독특한 특성, 상태, 행동의 인식에 근거한 사적 자기
(Private self)와 일반적 타인이 보는 나에 대한 견해의 인식에 근거한
공적 자기(Public self) 및 특정 내집단 성원들이 보는 나에 대한 견해의
인식에 근거한 공적 자기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트리안디스(Thandis, 1989)는 집단주의 사회에서는
이 중에서 집단적 자기개념(collective self)이 우세하고, 개인주의 사회
에서는 사적 자기의 개념이 우세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데즈펠
(Tajfel, 1981)은 사회 정체감 이론을 통해 개인은 스스로의 특성이나
능력에 기초한 개인적 정체감(personal identity)과 집단과의 동일시에
서 느끼는 사회적 정체감(social identity)을 갖는다고 보았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