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행동] 이상과 정상의 개념(이상행동과 정상행동), 이상행동의 역사적 관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상행동] 이상과 정상의 개념(이상행동과 정상행동), 이상행동의 역사적 관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상행동

I. 이상과 정상의 개념
1. 통계적 견해
2. 사회문화적 견해
3. 의학적 견해
4. 법률적 견해
5. 전문적인 견해
6. 주관적 불편감으로서의 견해 7. 상식적인 견해

II. 이상행동에 관한 역사적 관점
1. 원시시대
2. 그리스-로마시대
3. 중세시대
4. 르네상스
5. 근대

본문내용

액은 특정한 기질과 관련된다고 믿었고 체액들 칸의 불균형이 다양한 장애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 Galen은 심리적 특성은 신체적인 과정들이 표현된 것이고 네 가지 체액이 특정하게 혼합되고 균형을 이루는데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고대 철학자들의 합리주의적 접근이 현대 과학의 기반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정신장애는 종교인보다는 의료인들이 다루어야 하는 영역임을 입증해 준다.
3) 중세시대
중세시대 서구사회는 계몽된 생각이 쇠퇴하고 악마설과 종교적 주술이 나타나 이상심리학의 암혹시대로 정신병자의 수난시대였다고 한다. 이 시대는 하층계층의 사람들이 악마에 사로잡혀 집단으로 춤을 추고 악마의 이름을 부르며 마귀를 쫓는 주술 등 집단적 광기행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었다. 중세는 정신장애에 대한 의학적 이해가 억압되었고 고대의 귀신론적 정신장애 관으로 회귀하였다. 종교적 입장에 근거하여 인간의 삶을 사탄과 악령에 대항하는 영적인 전쟁으로 보았고 정신병U를 사탄과 악령에 사로잡힌 사람으로 규정하였다. 중세에 불안은 전염병들로 인해 심화되었다. 이 시기의 공포와 두려움은 여러 가지 다양한 집단 히스테리를 일으켰으며 다양한 성질을 띠고 나타났다. 어떤 사람은 늑대 무리처럼 행동했고 어떤 사람들은 거리에서 거미 같은 동작을 하면서 춤을 추었다는 것이다.
중세 초기에 심한 정신장애자들에게 자선을 보이려 했던 기독교 정신의 중요성은 높이 평가한다고 한다. 예를 들면 벨기에의 길(Gheel)에서는 교회가 발달지체 아동들과 정신병적인 아동들을 돌보기 위한 특별 수용시설이 건립되게 되었다는 것이다. 수용시설 아동들이 상태가 호전되면 가족들과 함께 살게 된다. 중세 에는 음악과 춤을 통해 신체 내의 화학적인 균형이 회복되면 광기가 치료된다는 믿음을 가졌다.
이상행동에 대한 현대의 정신역동 이론수립에 일조를 한 신학자이면서 철학자인 St, Augustine(AD354-430)은 감정, 정신적인 고통, 인간의 갈등 등을 광범위하게 기술하면서 내성법이나 자신의 사고에 대한 탐색, 감정, 동기 등을 이용하여 쾌락과 절제 사이의 갈등 정신과정을 논의하였다. St. Augustine은 개인의 정서적인 삶을 내성하고 탐색하는 것이 심리학의 자원일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여 현대 이상심리학에 크게 공헌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을 알게 해 준다.
4) 르네상스
르네상스는 인본주의의 확대, 자연에 대한 호기심, 학문에 대한 관심의 시대라고 말한다. 과학적이고 인문주의적인 사조와 자연과학적인 견해 그리고 인간 존중사상이 철학자들과 의사들 사이에 일기 시작한 시대이다. 정신질환이 심리적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다는 것과 정신기능도 자연법칙에 따른다는 견해가 나타났다. 16세기에는 정신질환에 대한 심리적 견해가 대두되기 시작한 시기였다. 의사 Johann Weyer(1515-1576)는 정신이상의 원인으로 심리적 갈등과 불안정한 대인관계를 강조하였다. Johann Weyer의 진보적인 인본주의 입장이 사경에 처했던 많은 정신병자들의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Weyer는 마녀들이 사탄의 창조물이 아니라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이라고 주장 하였고 이들을 종교적으로 조정하기보다는 의학적으로 다루어야 근본적인 치유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정신병 환자들에 대한 신중한 심리검사를 토대로 Weyer는 광범위한 이상행동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Rene Descartes( 1596-1650)는 인간을 육체와 정신으로 나누었고 육체는 영혼이 깃드는 기계와 같다고 하는 이원론적 사상을 전개하여 과학적 사고방법을 주장하였다. 17세기에도 자연과학은 종교적 사고방식의 지배를 받았고 의학에는 Galen의 영향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신병을 악마설로 설명하려는 경향이 감소하고 정신병은 뇌장애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T. Sydenham(1624-1689)은 히스테리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G. E. Stahl(1624-1689)은 정신질환에 기질적인 것과 영혼에 의한 것이 있다고 분류하였다.
18세기는 이성과 계몽사상 시대였으나 일반적으로 정신질환자를 감금하고 잔혹하게 다루었고 animism이 만연하였다. 그러나 1800년 William Cullen이 처음으로 신경증 용어를 사용하였고 1803년 Johann Reil은 정신 의학이란 개념을 사용하였으며 정신치료적 기술의 효과를 말하고 있었다. Bejamine Rush(1745-1813)는 정신병은 뇌의 기질적 병변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 근대
17-18세기는 계몽사상과 휴머니즘 등 정치, 사회사상의 변천으로 정신병환자를 인간적으로 돌본다는 인도주의적 처우가 제기되기 시작되었다. 프랑스의 내과 의사Philippe Pine1(1745-1826)은 정신병자에게 인도주의적인 대우를 주장하였다. Pinel는 정신병자에게 채워졌던 쇠사슬을 풀어주었고, 어두운 감방에서 햇볕 드는 방에 거하도록 하였고 수용소 생활 중에 운동을 허용하였으며 정신환자 구타를 금지하도록 주장한 인도주의적 치료가 많은 성과를 얻어 이 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Pinel의 치료방법은 마음을 고치는 의사로서 치료자에 대한 태도와 이해, 환자에 대한 존중과 친절, 직원과 환자간의 대화 운동, 오락, 좋은 환경 등을 도덕적 치료(moral treatment)라고 불렀고 이것이 확대되었다. Pinel의 병원환경의 개혁, 교육 등 체계화된 운영과 임상기록을 통한 분류, 진단 등의 연구는 후계자 J.E.D.
Esquirol(1772-1840)과 B. A. Morel(1801-1873)등에 의해 발전하여 20세기에 개방병동정책(open ward policy)과 지역사회 정신의학운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미국의 Dorothea Dix(1802-1887)는 정신 환자들에게는 인도적 접견이 요구 된다고 주장하여 많은 지지를 얻었으며 이 영향으로 정신병원 형태를 갖춘 병원들이 여러 주에서 건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신장애를 질병으로 진단하지만 정신장애인에게 인도주의적 치료와 보호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현대 정신 장애 관에 큰 변화를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본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