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주기와 에릭슨의 이론(인간의 인생주기와 에릭슨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생주기와 에릭슨의 이론(인간의 인생주기와 에릭슨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평생주기와 에릭슨의 이론

I. 평생주기로 보아야 할 인간발달

II. 평생주기와 인생과제

III. 평생주기론의 흐름

IV. 연대론에 기초한 성격발달

V. 평생주기와 자아실현

본문내용

좋은 상호관계를 갖는 것이 이상적이며 이
와 같은 어머니와 자식의 분리와 어린이의 자율이 수행되는 발달과정
을 분리-개체화 과정(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이라 부른다. 그
런데 어머니가 어린이의 자율성을 인정하지 많거나, 어린이가 자율적
으로 행동하는 것에 불안이나 적의감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에 과보호라든가 익애라고 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어린이가 자율적으
로 자신으로부터 떨어져가는 것을 불안하게 느껴 협박하거나, 나쁜 아
이라고 꾸중하거나 한다. 어린이가 퇴행하여 부모에게 의존하거나 몸
이 좋지 않아 어리광을 부리면 즐거워하여 보살피거나 자신도 만족한
다. 그 결과, 어린이는 자율적으로 행동하려고 하면 불안하게 되거나
죄악감을 품게 되어 심기증을 나타내거나 문제행동을 일으킨다.
이 단계를 지나 발달하면 그 심리적인 공간과 대인관계의 세계가 법
혀져 한사람이 남자아이나, 여자아이로서 사회적인 의식이 일어나고
부모와 자기와의 대인적인 갈등을 경험하고 이른바 외디프스 콤플렉스
의 상황에 도달하게 된다. 그것은 경쟁상대에 이겨 자신의 목적을 달성
하기도 하고 그것에 대해 벌을 받기도 하며, 도덕적인 책임감을 몸에
익히는 시기이다. 또 이 단계에서 부모, 형제에 대한 인간적인 애정이
나 증오, 그 양면가치감정 등의 윤리적인 감각도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발달단계를 거쳐서 비로소 어린이가 유치원, 초등학교
라고 하는 사회장면에 적응이 가능한 사회적 인간이 되는 준비를 갖춘
다. 어린이는 학동기 사이에 사회인으로서 생활하는 지식, 기술, 일정
한 역할행동, 집단적인 훈련 등을 몸에 익힌다. 그리하여 청년기에 들
어간다.
청년기의 발달과제를 개략적으로 말하자면 부모와의 사이에서 형성
된 가치관이나 행동양식을 변혁하고, 자기와 동시대의 사회집단이나
대인관계에 적응가능한 자아를 확립하는 것이다. 또 사춘기에 들어가
강해진 성적인 욕동에 대한 심신의 적응이 주요한 과제로 등장한다. 그
리하여 청년기에 부모로부터 독립한 사회적인 자아, 가치관, 대인관계
양식, 소속집단 등을 통합한 아이덴티티의 확립이 기대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변동에 의한 변화에 따라 청년기에서 성인기에 걸쳐서
반드시 이상과 같은 고전적인 아이덴티티를 확립하지 않은 채, 사회생
활을 보내는 사람들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성인기에서 초로기, 노년
기에서는 고령화사회를 맞이하여 이들 연대의 사람들은 각기 나름대로
의 특유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현대사회 속에서 사회변화와 평생주
기상의 위기를 각 세대는 맞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퍼스낼리티의 발달 가운데서 핵심이 될 수 있는 자아의
발달과정 즉, 자기실현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서
인생에 대한 인식을 정리해 보기로 하자.
5. 평생주기와 자아실현
우리들 인간은 거의 무력에 가까운 존재로서 태어난다. 발달해 감으
로서 신체는 크게 강하게 되고, 능력도 증대해 간다. 마치 발달이라고
하는 이미지는 확대, 강화이다. 종래, 발달심리학은 청년기까지의 심리
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청년기 이후는 확대, 강화라는 이미지가 적용
되지 않고 오히려 정체, 축소 또는 약체화라고 하는 이미지가 되어 버
린 경우가 많았다.
우리들은 가끔 중년 이후의 사람들에게 "젊었는데"하거나 '만년청
년'이란 말을 들을 때 그것은 청년이라고 하는 말이나 젊었다고 하는
말은 인생의 절정에 있는 것으로 이미지화하고 있는 것이다.
태어나서 청년기까지는 확대, 강화의 시기, 성인기에서 중년기까지는
현상유지, 그 이후는 축소, 약체화의 시기라는 이미지이다. 이와 같은
평생주기관을 가진 사람이 대부분이다. 그렇게 때문에 만년청년이라는
말이 남한테 듣기 좋은 말이 된다. 이러한 평생주기관은 생물적 성장에
보다 적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전혀 다른 평생주기관이 있을 수 있다. 우리들 인간은
태어날 때에는 아주 미미한 능력만을 갖고 있지만 큰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가능성의 모든 것을 살릴 수는 없지만
문화, 사회에 적응해 가도록 우리 인간은 자기의 가능성의 한계를 느끼
면서도 발달시켜 간다. 문화, 사회의 본질에 잘 적응하도록 자기를 한
정시켜 가면서 적응해 가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건전한 성인의 조건으로서 '사랑하는 것과 일하는 것
(Lieben und Arbeiten)'이 안정하게 할 수 있을 것을 들고 있다. 에릭슨
이 말하고 있는 자아 아이덴티티의 획득은 한사람의 성인으로서 사회
에 적응하기 위해서 자기가 납득한 모습으로 자기한정을 알고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인생의 전반의 과제인 사회적 달성(직
업생활과 가정생활의 안정)은 자기능력의 한정을 이해하고, 생의 그 장
에서 에너지와 살아가는 시간을 보내는 것에 의해 실현하는 것을 말한
다. 그 실현여부에 따라서 사회에 적응하여 안정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
필-a-로 하는 능력, 기능, 성격 등은 발달이 촉진되든가 아니면 억제되
든가 하게 된다.
중년기의 과도기에 비로소 이러한 것에 눈을 뜬다. 우리들 인생은 영
원히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단 한 번 뿐이며, 그리하여 지금까지 살리
지 못했던 자신, 배제해 온 근원적인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청년기의 자아 아이덴티티를 재구축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
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중년기 이후 지금까지 배제해 온 자신의 가능
성을 다시 회복시키기 위해서 미술이나 음악 또는 문학 등 다양한 영역
에 정열을 쓸고 자기를 풍부하게 해나가는 것도 이러한 연유에 의한 것
으로 볼 수 있다.
인생의 후반에서는 이미 획득한 사회적 달성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
를 확대하고, 강화하며, 실현하는 것(자아실현)이 가능하다. 인생의 전
반에서는 얻을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잃은 것은 보기 힘들
다. 거꾸로 인생의 후반에서는 잃는 것 만에 초점을 맞추어 얻는 것에는
본래의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동시에 진행하는 평
생주기적 입장에서 본다면 어떠한 시점에서도 '얻는 것과 잃는 것'이
있으며, 또 각 단계에서는 그 나름대로 각자의 의의가 있음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