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정서발달] 영아기의 정서발달 - 영아의 정서발달이론(정서발달의 접근법, 정서표현발달, 정서이해능력의 발달, 정서규제능력의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정서발달] 영아기의 정서발달 - 영아의 정서발달이론(정서발달의 접근법, 정서표현발달, 정서이해능력의 발달, 정서규제능력의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아기의 정서발달

I. 정서발달의 접근법

II. 정서표현의 발달
1. 1차정서
1) 기쁨
2) 분노
3) 공포
4) 호기심
2. 2차정서

III. 정서이해 능력의 발달

IV. 정서규제 능력의 발달

본문내용

의 절반 이상이 "좋다"라는 단어를 사
용하지만, 소수만이 "슬프다"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6세의 유
아는 '시샘하는', '뽐내는', '난처한', '가련한'과 같은 좀 더 복잡한 정서개념도
이해할 수 있다. 유아는 다른 사람의 긍정적 정서를 이해하는 데는 성인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지만, 부정적 정서를 이해하는 데는 아직 서툴다.
유아는 또한 사람들이 '진짜로' 느끼는 정서와 그들이 '표현하는' 정서를 잘
구별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유아는 아직 사물의 실제 모습과 겉으로 보여지는 모
습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복한 얼굴표정과 슬픈 얼굴표정
을 구별할 수는 있지만, 슬픔을 느끼는 사람이 행복한 표정을 짓고 있거나, 기쁜
상황에서 기쁜 표정을 짓지 않으면 유아는 혼란을 느낀다.
3-4세경이 되면 유아는 기쁨, 슬픔, 분노, 놀람 등의 비교적 단순한 정서와 이
들 정서를 야기하는 원인에 대한 이해도 증가한다. 꾸중을 들었을 때, 게임에 졌
을 때, 자신이 원하던 것과 다른 선물을 받았을 때와 같은 상황에서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 어떠한 정서적 경험을 할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유아기의 정서이해 능력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Denham, 1986)에서, 유아는
또래가 표현하는 각기 다른 정서에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
복한 표정을 짓고 있는 또래에게는 자기도 행복한 표정을 지어보였고, 아픈 표정
을 짓고 있는 또래에게는 동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슬프거나 화난 표정을 짓고 있는 또래에게는 못 본 척하거나 그 자리를 떠나는 반응을 보였다.
IV. 정시규제 능력의 발달
어떤 사회에서든지 정서를 표현할 경우 어떤 특정 상황에서 어떤 정서는 표현해도 괜찮지만 어떤 정서는 표현해서는 안 된다는 규칙이 있다. 예를 들면, 마음에 들지 않는 선물을 받았을 때, 실망감을 보이는 대신 기뻐하며 고맙다는 인사를 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어떤 면에서 이 규칙은 언어의 어용론적 발달과 유사하다. 즉, 이러한 규칙을 습득하고 활용하는 것은 사회적 적응에 도움이 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규칙은 언제 습득되는가? 불쾌한 자극을 피하거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려 부정적 정서유발을 감소시키는 일은 어린 영아에게는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일찍부터 영아는 이러한 규칙을 습득한다. 첫돌 무렵에 영아는 벌써 자기 몸을 앞 뒤로 흔들거나, 입술을 깨물거나, 불쾌한 사건이나 사람들을 피함으로써 부정적 정서유발을 감소시키는 책략을 발달시킨다.
18개월이 되면 영아는 부정적 정서를 습길 줄 알게 된다. 20개월 된 영아는 넘어졌을 때에 어머니가 함께 있을 때만 울음을 터뜨린다. 3세가 되면 자기감정을 더 잘 숨길 수 있다. 한 연구(Lewis, Stanaer, & Sullivan, 1989)에서는 실험자가 유아에게 금지된 장난감을 엿보지 말도록 지시하고 방을 나간 후에 일방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대부분의 유아(32명 중29명)가 장난감을 엿보았지만, 대다수가 엿보지 않았다고 거짓말을 했다. 그러나 실험자는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그들의 얼굴표정과 몸짓만 보고서는 알 수가 없었다. 이것으로 보아 3세의 유아는 자기 감정을 숨기고 그에 대해 거짓말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우리가 알고 있는 어린이의 '천진난만함'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음을 말해 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예컨대 마음에 안드는 선물을 받는 경우) 자신의 진짜 감정을 숨기고 선의의 거짓말을 하는 것이 유아에게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정서규제 능력은 정서표현(특히 부정적 정서표현)을 통제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이러한 능력은 유아기에 크게 증가한다. Saarni(19S4)는 정서규제 능력의 발달에
필요한 세 가지 요소를 제시했는데, 정서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 언제 부정적 정
서를 감추어야 할지에 대한 지식, 정서를 통제하고자 하는 동기가 그것이다.
다른 사람 앞에서 부정적 정서표현을 자제하는 능력은 3세경에 나타난다.
그러나 유아보다는 아동이 실망스런 선물을 받은 후에 부정적 정서표현을
덜 하며, 자신의 진짜 감정을 숨기는 것이 왜 바람직한지 그 이유도 설명할 수 있
다. 그리고 남아보다 여아가 자신의 정서를 더 잘 숨기는 것으로 보인다. 즉, 기대
에 못 미치는 선물을 받았을 때, 여아가 남아보다 과장된 미소를 더 많이 지었다.
정서규제의 한 가지 중요한 측면은 좌절에 대한 참을성이다. 이 능력은 2세경에 나타나기 시작해서 유아기에 극적으로 증가한다.
원하는 장난감을 가질 수 없거나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해야 할 때와 같은 좌절상황에 직면 했을 때, 나이든 유아는 어린 유아보다 더 잘 견딘다. 좌절에 대한 참을성은 부모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부모에게 떼를 쓰거나 반항하는 것이 2-5세 사이에 급격히 감소한다. 부모가 자신이 하기 싫은 일을 시켰을 때 참고서 그 일을 하고, 그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예를 들면, 협상)을 찾아내기 시작한다.
좌절에 대한 참을성은 만족지연(delay og gratification게서도 나타난다. 만족지연
이라 함은 지금 바로 보상을 받는 것보다 만족을 지연시켜 나중에 더 큰 보상을
받게 되는 것을 말한다.
유아기에는 만족지연능력도 증가하는데, 여기에는 자신의 정서를 통제하는 능
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좌절에 수반되는 긴장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사용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재미있는 장난감들을 유리 진열장에 넣고서 손대지
못하게 한 실험에서, 많은 유아들은 그 장난감들을 보지 않으려고 고개를 돌리고
다른 활동에 전념하였다. 가질 수 없는 장난감은 더 이상 자신의 관심의 대상이 아니라는 이 전략은 긴장을 감소시킴으로써 그 상황을 좀 더 견디기 쉽게 만들어 주는 것으로 보인다(Wolf, 1990)
우리나라 4-8세 아동 12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허수경과 이경님, 1996)에서, 아
동의 만족지연시간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길어졌다. 또한 아동의 만족지연시간은
사려성-충동성의 인지양식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즉, 아동의 만족지연시간은
사려적인 아동이 충동적인 아동보다 더 길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