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시대교육사상] 중세교육의 역사(중세의 교육철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시대교육사상] 중세교육의 역사(중세의 교육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세교육의 역사

I. 기독교의 교육

II. 봉건사회의 기사교육

III. 고려시대의 교육
가. 관학
1) 국자감
2) 향교
3) 학당
나. 사학
1) 12도
2) 서당

본문내용

고, 그 중에서도 고려 중기에 이르러서 출현한 12도는 중앙에 설립된 사립 고등교육기관이었다.
(1) 12도
최충(崔沖)은 목종 8년에 장원급제하여 왕 5대에 걸쳐 관직을 두루 역임한 학자로 해동공자라는 존칭을 받은 사람이었다. 그의 나이 72세(1055)에 은퇴하여 그의 사재를 털어 사립 고등교육기관을 설립하였고, 그 이름이 '문헌공도'라 불리며 가르치니 그의 학식과 덕망을 보고 수많은 제자들이 모여들었다.
이 소문이 널리 알려지자 다른 여러 학자들이 이를 본받아 유사한 학교를 세웠는데, 그 중에서 11개 학원이 유명하여 모두 합하여 '12도'라 부르게 되었다.
이 12도의 첫째 교육목적은 과거시험에 합격하는 것이었다. 360여 년이나 지속한 이 학교는 관학이 부실한 고려조에서 중요한 교육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림에도 불구하고 과거시험 위주의 교육은 오늘날 입시위주의 교육이 가져 오는 폐해에서 보듯이 교육적인 문제가 많았던 것 같다.
12도의 설립은 정부가 할 수 없었던 일을 개인이 사채를 털어 학교를 세움으로써 국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이런 전통이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서원이 설립되고 나아가 구한말에는 수많은 민족 선각자들이 분연히 일어나서 쓰러져 가는 조국을 구하기 위하여 교육을 진흥시키는 등 그 12도의 정신이 역사에 면면히 계승되고 있다.
(2) 서당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으나 목종(1003) 때와 인종(1124) 때에 서당에 관한 기록이 있다. 서당은 마을마다 서민의 자식들을 가르친 초등교육기관으로 대개 향교나 12도 등에 입학하기 위하여 그 전 단계로 마을에 설립되었다. 이 서당은 고구려의 경당에서 그 근거를 찾기도 한다. 이와 같이 서양 사람들의 교육처럼 귀족의 자식에게만 교육이 시행되고 서민들의 교육은 훨씬 후대, 기독교가 그 필요성에 따라서 교구학교를 세운 것과는 달리 한국인들은 먼 옛날부터 귀족교육과 더불어 서민들의 교육도 장려하였음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대로 고려의 교육은 나라의 관리를 선발하는 제도로 과거제도가 확립되어 교육의 발달을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런 시험 위주의 교육, 문장을 외우고 해석하는 식의 교육은 서양의 인문주의 교육이 키케로주의로 빠졌던 것과 같이 '오직 실속이 없고 겉치레 뿐인 글을 번창시켜 후세에 폐해'를 주게 되었다.
고려시대의 학자로는 최충을 비롯하여 지눌, 안향, 이색, 정몽주 등이 유명하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