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 성취에 대한 영아(아기)의 반응, 가정과 가족이 자녀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성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취] 성취에 대한 영아(아기)의 반응, 가정과 가족이 자녀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성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취

I. 성취에 대한 아기의 반응

II. 가정과 가족이 자녀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1. 애착의 속성과 성취
2. 가정환경과 자녀의 성취
3. 양육방식과 자녀의 성취
4. 출생순위, 가족크기와 아동의 성취행동
1) 부모의 사회화 가설
2) 정신적 매개 가설

III. 아동의 성취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영향
1. 사회계층과 성취의 차이
2. 성취와 문화적 배경

본문내용

크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거들 검증되었다.
[그래프] 비언어성 지능척도의 평균점수와 출생순위 및 가족크기
Zajonc은 출생순위와 가족크기의 효과에 대해 아동의 지능발달은 가
족의 '평균적 지적 수준'에 의존한다고 설명하였다. 분명히 맏이는 지적
수준인 아이들보다 더 높은 어른인 부모에게 첫째로 태어났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둘째 아이는 인지적으로 미성숙한 맏이로 인해 지적 수
준이 좀 낮아진 환경에 놓이게 된다. 물론 셋째 아이는 더 불리하다. 자
녀가 한 명씩 더 태어날 때마다 가족의 지적 환경은 그만큼 더 저하된다.
지적 수준이 높은 어른에게 둘러싸여 있는 아동(맏이나 소가족의 자녀)은
지적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더 많다. 그러나 대가족의 출생순위가 낮은
아이는 어른을 대할 기회가 적고, 지적 수준이 낮은 아이들과 많은 시간
을 보내야 하므로 지능 발달을 자극받는 기회는 그만큼 더 감소된다.
이 모델에 따르면 맏이는 어린 동생들을 가르침으로써 성취뿐만 안니
라 지적 능력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터울이 길수록 출생순위에 관계없
이 자녀 모두에게 유익한데, 큰 아이들은 부모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고 동생들은 지적으로 좀 더 성숙한 형을 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하다는 점에서 Zajonc의 가설은 흥미롭지만, 그 예측이 사실과
늘 부합하지는 않는다.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에 따르면 맏이는 어린 동
생을 가르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적으로 유리하다.
그리고 가정질문지로 측정한 가정의 지적 분위기는 가족크기가 커질수
록 낮아졌다(Bradley et al., 1984a). 그러나 Zajonc의 예측대로라면 어른
이 세 명 있는 가정(엄마, 아빠, 할머니)의 자녀는 부모만 있는 집의 자녀
보다 지능지수가 더 높아야 하는데 연구결과는 그렇지 않았다(Duncan et
al. 1994). 또한 출생 터울이 길다고 해서 항상 자녀의 지적 발달을 촉진
시키지는 않았다. I.Q.에 대한 출생순위와 가족크기의 효과는 중간 정도
였고(기껏해야 I.Q. 3, 4점 정도), 그것도 많은 가족을 비교했을 때에나 나
타났다. 이와 같이 대표집에서 나온 결과를 특정한 가정의 아동에게 직
접 적용하기는 어렵다.
III. 아동의 성취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영향
1) 사회계층과 성취의 차이
아동이 속한 사회경제적 지위(SES)는 저마다 다르다. SES를 측정하
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가계수입, 부모의 직업 교육수준과 같은 지표인
데 이것은 명백히 이전의 성취를 반영한다. 사회계층은 분명히 성취와
관련된 체계이므로 중 상류층 자녀의 성취점수가 더 높고 공부도 더 잘
하는 것은 당연한지도 모른다(Patterson et al., 1990).
성춰의 사회계층 차이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는 지능이며, 대체로
중 상류층 아동은 하류와 노동계층의 아동보다 지능검사 점수가 더 높
다(Neisser et al., 1996). 그러나 이론가들 대부분이 이보다 더 중요시하
는 것은 사회계층에 따른 '양육방식'과 '가정생활'의 차이이다. 가령 가
난에 따른 심리적 고통이 심할 때 부모는 자녀를 거칠게 대하고, 자녀에
게 둔감하고 비지지적이며 학습활동에 무관심해질 수 있다(McLoyd,
1998). SES가 낮은 가정은 중류층 가정에 비해 지적 도전이 적지만 부모
가 자녀의 학습을 격려하고 많은 도전 자극을 제시하기만 하면 중류층
아동만큼 지능 점수와 학업성적이 개선될 수 있다(Gottfried et al. 1998).
가족 이외의 요인도 사회계층 차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그중 하나
는 교사의 고정관념적 기대인데 교사는 SRS가 낮은 아동에게 성취에 대
한 기대가 크지 않음을 직 간접적으로 전달한다(McLoyd, 1998). 그리고
초등학생조차 교사의 낮은 기대를 알아채고 그것에 맞춰 행동할 수 있다.
2) 성취와 문화적 배경
(1) 집합주의 대 개인주의
문화적 배경은 아동의 성취지향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자녀 양육 시 자립, 자기주장, 개인적 목표를 추구할 자유를 키워주는 반면 집합주의 사회에서는 사회적 조화, 사회적 복지의 극대화를 강조한다.
Berry(1967)는 개인주의 사회와 집합주의 사회의 독립성과 동조성을 비교하였다. 개인주의 집단으로는 지리적 조건 때문에 생계를 위해 사냥하고 고기잡이를 하는 Artic Eskimos를 선택하였고, 집합주의 집단으로서는 단일작물을 심고 추수하며 분배하는 erra Leone의 Temne을 택했다. 독립성 동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다른 선분을 비교하게 하였다 : 두 집단에 표준선분과 검사선분 8개를 보여주면, 이들은 검사선분 중에서 표준선분과 길이가 같은 것을 택해야 한다. 판단에 앞서 실험자는 다음과 같이 허위의 집단규범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Temne(또는 Eskimo)는 이 선분(틀린 선택)이 표준선분과 똑같다고 말했다." 매 시행에서 정답과는 거리가 먼 부정확한 다섯 선분을 '허위의 집단규범'으로 사용하였다. 피험자의 선택이 정답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허위규범과 얼마나 가까운지를 동조의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즉 틀린 대답의 합이 한 사람의 동조점수이다.
[그림] 집단규범에 대한 동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
가정했던 데로 Temne들은 대체로 날조된 집단규범에 동조한 반면 Eskimos는 규범정보를 간과한 채 정확한 선분(또는 그것에 더 가까운 선분)을 택함으로써 독립성을 나타냈다. 한 Temne사람은 동조의 문화적 뿌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Temne인들이 어떤 것을 선택할 때는 우리 모두 한 가지 결정에 동의해야만 돼. 우리는 이를 협동이라고 부르지."(Berry, 1967, P. 417). Eskimos인들은 집단규범을 거부하고 정답에 가까운 선분을 고를 때 가끔 빙긋 웃는 이외에는 문제를 푸는 동안 거의 입을 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문화에 따라 성취를 다르게 생각한다. 집합주의 문화의 사람들은 성취란 개인주의를 억제하고 서로 협동하여 집단이익을 위해 애쓰는 것이지만 개인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적 성취를 강조하고 한 사람이 이룩한 성취를 그 사람의 공으로 돌린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