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유아교육] 생태유아교육의 목적과 성격,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유아생태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유아교육] 생태유아교육의 목적과 성격,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유아생태교육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태유아교육

I. 유아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1. 세계관의 변화 :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생태론적 세계관으로
2. 아동중심 교육에서 생태중심 교육으로
3. 개인중심 교육에서 공동체중심 교육으로
4. 이성중심 교육에서 전인교육으로

II. 생태유아교육의 성격
1. 생태유아교육과 유아생태교육의 구분
2. 자연을 되찾아주는 교육
3. 놀이를 되찾아주는 교육
4. 아이다움을 되찾아주는 교육

III. 생태유아교육의 목적
1. 지향하는 세상
2. 키우고자 하는 어린이상

IV.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V.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1. 자연의 시간, 생활리듬, 아이의 본성에 기초한 교육계획
2. 프로그램, 시간, 공간의 통합적 접근
3. 아이들의 친구, 동반자인 교사

본문내용

먹기 프
로그램, 간장 된장 고추장 담기 프로그램, 메주 만들기 프로그램, 김치
담기 프로그램 등을 실천할 수 있다. 나아가 악화되고 있는 출산 수유환
경을 개선하기 위해 유아교육시설에서는 학부모, 교사, 아이들을 위한 태
교 프로그램, 사상체질 프로그램, 자연분만운동 프로그램, 모유수유운동
프로그램 등도 구상할 수 있다.
V.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림의 운영
1)자연의 시간, 생활의 리듬, 아이의 본성에 기초한 교육계획
유아교육시설에서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자연의 시간,
생활의 리듬, 아이의 본성에 기초하여 교육계획, 즉 연간계획, 월간계획,
주간계획, 일일계획을 세워야 한다.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계획 시에는
자연의 흐름에 맞추어 해 나가는'생활'이 바뀔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자
연의 시간과 일상생활의 변화와 아이들이 지닌 내면의 본성을 따라 갈 수
있어야 한다. 교육계획이 구조적이고 기능적이며 세분화 될수록 교사 주
도적인 수업으로 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생태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
기 위해서는 바깥 자연의 흐름과 일상적 생활의 리듬과 아이들의 자연적
본성을 따라 갈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생태유아교육은 아이들의 자유와
개성을 보장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중시하는 만큼 미리 '계획된 것'보다는
'지금 여기'의 활동을 중요시해야 한다.
결국 생태유아교육은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기다림과 느림의 교육이
다. 사계절의 변화와 순환은 서로간의 기다림의 결과이다. 아이의 양육과
교육에서의 기다림은 교육자의 인내심(忍耐心)을 요구한다. 아이의 자연
적이고 정상적인 성장, 발육과 변화는 부모나 교사의 끈질긴 기다림, 즉
인내심의 결과이다. 제철 과일과 자연산 물고기와 방목한 가축은 속성재
배 과일과 양식 물고기와 집단사육 가축 보다 훨씬 싱싱하고 충실하고 강
건한 이치도 자연의 순리에 따른 기다림의 결과이다. 촉진제, 방부제, 사
료, 비료, 야간조명 등 인공적, 인위적으로 집단재배. 사육한 채소와 물고
기와 가축은 신선한 공기와 바람과 물과 거름을 먹고 자연적으로 자란 채
소와 물고기와 가축 보다 모든 면에서 못하다. 속성재배, 인공양식, 집단
사육의 한계다. 인위적이고 강제적인 제도교육이 아이의 몸과 마음을 멍
들게 하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2)프로그램, 시간, 공간의 통합적 접근
생태유아교육의 실현을 위해 제안 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은 나름대
로의 독특성과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상호관련성을 지니고 있으
므로 서로 통합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산책길에 부엽토를 가져다 텃밭
에 거름으로 사용하고, 산책길에 수많은 자연물과의 접촉을 통해 오감각
을 익히고 몸짓놀이와 명상을 하기도 한다.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은 시간의 통합을 지향한다. 도시문명
에서 우리의 시간은 자연의 시간이 아니라 인공의 시간이다. 산업사회에
서 효율적으로 조직된 관계망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경험
을 손익에 의해 분석하게 되는데 이것은 스케줄, '시간 낭비', '시간은 돈
이다'등의 개념에 잘 나타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어릴 적 놀았던 '공터'
를 한 번 떠올려 보자. 그곳에는 분절된 시간이 없었다. 활동에 따른 계획
된 시간도 없었다.
다만 아이들의 공터라는 공간 속에서 통합된 시간 속에서 총체적인 경
험을 했다 산업사회의 분리되고 조각난 시간이 아닌 자연의 시간 감각으
로 하루하루 사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시간을 집단을
다루는 통제의 개념이 아니라 아이 한 명 한 명이 자신의 내면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개별적인 시간을 중요하게 여겨서 아이 자신의 세계에 몰
입할 수 있는 놀이시간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공간의 통합은 실내외 흥미영역간의 통합, 교실간의 통합, 실내와 실외
공간의 통합, 유아교육시설과 주변 지역사회 공간의 통합을 의미한다. 생
태유아교육에서는 실내외 공간을 구분해놓은 흥미영역은 아이들의 흥미
와 요구를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제도교육의 산물로 교육공간을 효율적
으로 통제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라는 측면에서 세분화된 흥미영역을 점차 통합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특히, 생태유아교육은 삶을 체험하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으므로 열린 공간을 지향한다. 교실을 벗어나 바깥놀이터에서 모든 연령대의 아이들이 함께 놀면서 자라고, 원의 문밖을 나서서 사람들의 세상살이를 체험하고 자연세계를 접하는 것은 당연히 이루어져야 할 교육행위 인 것이다.
3)아이들의 친구, 동반자인 교사
생태유아교육에서는 아이는 본래 선한 바탕, 즉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청정한 본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자유가 주어지더라도 올바른 길로 나아가게 되어 있다고 본다. 아이가 지니고 있는 천분, 개성, 생명력을 올바른 방향으로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교육자의 역할이다. 결국 교육이란 억압이 아니라 유도이며 끌어내는 작업이다. 가장 아이다운 아이는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행동하는 아이이다. 부모나 교사의 역할은 우리 아이들을 아이 본래의 모습대로 가장 아이답게 자라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사람은 다른 생명체와는 달리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만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다른 식물이나 동물들은 대개 태어나기 전부터 남의 도움을 크게 받지 않고도 생존할 수 있는 힘을 이미 유전인자 속에 정보의 형태로 지니고 태어난다. 그러나 사람의 아이는 이런 능력이 유전 정보 형태로 입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 즉 양육과 교육이 필요하다.
다른 생명체와는 달리 사람의 아이에게 양육과 교육이 필요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따라서 교육의 제일의 목적은 아이가 제 힘으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지니도록 도와주는 데 있다.
이와 같이 부모나 교사는 아이를 양육이나 교육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양육이나 교육의 주체로 보게 된다. 부모와 아이, 교사와 아이의 관계는 서로 사랑하는 관계이며, 동반자이고, 친구이다.
부모나 교사는 아이에게서 배우고, 아이는 부모나 교사에게서 배운다. 서로 가르치고 서로 배우는 관계가 동반자 관계이고 친구 관계이다. '아이는 어른의 스승이다'는 옛 성현의 말씀은 어른의 인위성보다는 아이의 자연성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6.03.1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