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상호작용
2. 좋은 관계의 두 가지 조건
3. 좋은 관계의 형성을 촉진하는 작업
참고문헌
2. 좋은 관계의 두 가지 조건
3. 좋은 관계의 형성을 촉진하는 작업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두려움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질문들을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담자가 가진 문제, 욕구 및 자원의 단서들을 파악할 수 있다. 첫 회기 상담을 시작하자마자 내담자에게 곧바로 문제가 무엇인지를 질문한다면 내담자는 부정적 평기를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주저하게 된다. 상담 초기에 내담자의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상담자와의 좋은 관계형성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작업으로서 세 번째로 고려해 볼 수 있는 것은 내담자와 함께 몸을 움직이는 활동을 하는 것이다. 내담자와 함께 가벼운 산책을 하거나 게임을 해 볼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와 자연스러운 신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는 더욱 가까워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담자가 해야 할 일은 내담자에게 상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내담자의 의견을 묻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상담을 구조화한다고 일컫는다. 상담시간의 길이 및 횟수, 상담자 및 내담자의 역할, 비밀보장의 원칙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때에 내담자는 존중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으며, 상담이 상담자 주도로 이루어지는 작업이 아니라 상담자와 내담자 양자가 서로 협력하여 진행되는 작업이라고 인식하게 된다.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추천자료
(청소년지도론) 청소년 지도 환경
전략적 가족치료(Strategic Family Therapy)
관계중심 목회상담
발달장애아동부모를 도울 수 있는 방안
사회복지학:사회복지실천모델(집단사회사업)에 대한 모든것
집단상담의 초기단계
가족상담사례, 사정, 진단, 상담설계 - 부부 및 가족생활 사 진단지, 출생가족, 나의 생활사,...
교육심리 상담의 개념
사이버 진로상담
아동 상담의 과정 - 아동상담
[상담과생활지도]상담과 생활지도프로그램-건전한이성관계
인간관계형성의 과정에서 관계의 진행단계의 상호작용 단계의 모형인 친화과정과 소원
[청소년 학교폭력 상담] 학교폭력의 진단, 학교폭력 무제해결을 위한 개입전략, 학교폭력상담...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생활지도] 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언어환경 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