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조직
2. 장학의 종류
3. 변혁적 리더십
4. 과학적 관리론
5. 인간관계론과 인간자원론
6. 동기위생이론
7. 허쉬와 블랜차드의 지도성이론
2. 장학의 종류
3. 변혁적 리더십
4. 과학적 관리론
5. 인간관계론과 인간자원론
6. 동기위생이론
7. 허쉬와 블랜차드의 지도성이론
본문내용
성이 달라야 된다고 주장하였다. 만약, 구성원의 능력과 동기가 낮을 경우, 지도자는 높은 과업과 낮은 관계성 행동을 보여야 한다. 이 경우, 구성원들의 업무능력이 부족하여 지도자의 일방향적인 지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때 의사소통은 위에서 아래로 일방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지도자의 지도성을 지시적 지도성이라고 한다. 하지만 구성원의 능력은 낮으나 동기가 높은 경우, 이때의 지도자는 높은 과업과 높은 관계성 행동을 보여야 한다. 이 경우, 지도자는 구성원의 능력수준이 낮기 때문에 지시적 행동을 해야 하지만, 구성원의 동기가 높으므로 자신의 지시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대화가 필요하다. 즉, 지도자는 쌍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사회정서적 지원을 함으로써 구성원의 심리적 성숙을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지도자의 지고성을 설득적 지도성 혹은 지도형 지도성이라고 한다. 다음 구성원의 능력은 높으나 동기가 낮은 경우, 낮은 과업과 높은 관계성 행동이 효과적이다. 이 경우 쌍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의견을 교환하여 구성원의 자발적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도자의 유형을 참여적 지도형 혹은 지원형 지도형이라고 부른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성숙도가 매우 높은 경우, 즉, 능력도 충분하고 동기도 높은 경우, 이때의 지도자는 낮은 과업과 낮은 관계성 행동이 효과적이다. 이 유형에서 각 구성원들은 높은 수준의 성숙도를 지니고 있으므로 지도자의 지시가 필요 없으며 조직원과 높은 관계성을 가질 필요도 없다. 고로 지도자는 위양이나 전반적 감독을 통해 구성원이 자신의 업무를 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