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표면적인 이유는 현재 역사교과서가 좌우의 균형이 맞지 않고 좌경화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국민통합을 위해서 역사 국정교과서가 필요하다고 보수측(정부)은 주장한다. 그러나 여기서 그 좌경화와 균형이 맞지 않다는 것의 기준은 무엇이며, 과연 누가 그 기준을 일방적으로 정할 수 있느냐가 논란의 핵심이다. 세계적으로 국가가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이용하는 대표적인 나라는 북한과, 러시아, 베트남인데 그 이유는 역사 국정교과서가 집권당의 홍보물로 사용하기 좋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60~7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은 군사독재가 옳은 것이며 좋은 일을 하고 있다는 역사교육을 받으며 컸다. 아직도 박정희 군사독재정권시절을 좋은 시절이라 추억하는 어른들이 있는 것을 보면 이러한 교육의 효과가 얼마나 오래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애플은 교육은 중립적인 사업이 아니라 교육제도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성질로 인하여 정치적인 행위에 개입되어 있다고 하였다. 학교는 지배집단이 겉으로 드러나는 공식적인 지배의 메카니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람들의 의식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사회통제를 지속시켜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처음 이 책을 읽으면서는 너무 비판적이고 오늘날의 시대와는 맞지 않는 좌편향(?)적인 주장이 아닐까 생각했지만 책을 읽어갈수록 오늘날 우리의 학교교육도 애플이 이 책을 썼던 1980년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어 마음이 씁쓸하다. 아마도 “교육학”을 전공하고 “교육계”에 종사해오면서 그동안 이런 비판적인 생각 없이 그저 주어진 대로만 교육받고 살아온 나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 때문일 것이다.
애플은 교육은 중립적인 사업이 아니라 교육제도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성질로 인하여 정치적인 행위에 개입되어 있다고 하였다. 학교는 지배집단이 겉으로 드러나는 공식적인 지배의 메카니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람들의 의식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사회통제를 지속시켜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처음 이 책을 읽으면서는 너무 비판적이고 오늘날의 시대와는 맞지 않는 좌편향(?)적인 주장이 아닐까 생각했지만 책을 읽어갈수록 오늘날 우리의 학교교육도 애플이 이 책을 썼던 1980년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어 마음이 씁쓸하다. 아마도 “교육학”을 전공하고 “교육계”에 종사해오면서 그동안 이런 비판적인 생각 없이 그저 주어진 대로만 교육받고 살아온 나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 때문일 것이다.
추천자료
6시그마 경영전략(품질관리 생산관리 품질경영 경영
품질 경영의 관점에서 본 Six Sigma (σ) 운동 도입의 경영혁신
디즈니 순수함과 거짓말
아이리버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 및 광고의 구매장애요인 제거 분석
교육과정 사회학
농구 학습지도안
이러닝(e-Learning)교육의 분석과 성공방안
스포츠프로모션 실패사례
[스타마케팅]스포츠스타와 미디어, 스포츠스타와 집단정체성, 스포츠스타와 팬덤, 스포츠스타...
영화 <피아노>에 나타난 삶의 메타포(metaphor)에 대한 이해
[세계의역사B]캄보디아의 전 국왕 노로돔 시하누크 관련 자료를 근거로 캄보디아 역사에 대한...
[사회학] 교육과정사회학에 관해서
6시그마 (σ Six Sigma) - 전방위 경영 혁신을 위하여... 저
[여성의 삶과 문화 공통] 최근 여성혐오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살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