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귀의 군정변통론과 보민론
1) 진관체제 복구론과 보민론
2) 오위제 복구론과 중앙집권체제 강화론
3) 병농분리와 사족수포론(士族收布論)
1) 진관체제 복구론과 보민론
2) 오위제 복구론과 중앙집권체제 강화론
3) 병농분리와 사족수포론(士族收布論)
본문내용
방향과 양반을 四祖有顯官子로 제한하여 그 신분적 특권을 방어하려는 재조번방(再造藩邦)의 방향과 차이
이귀의 군정변통론은 변법론, 國家再造論의 일환으로서 제기
이귀의 군정변통론의 요약
- 후금의 철기에 맞서 변방방어는 불가능하다는 전제 아래 거주지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산성에서의 거험청야 전술을 기본 방어전략
- 전국적인 범위에서의 진관체제 복귀론을 그리고 도성방어는 불가능하다고 보고 강화도와 남한산성 保障으로 삼는 수도 방어 전략을 내놓았다.
- 이를 위하여 민의 자발성에 기초한 정예병의 선발, 重內經外의 원칙에 의거해 수도 방위를 위한 정예부대의 편성, 전국의 진관체제와 수도방위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전국적으로 일원화된 중앙집권적 군사제도의 창설등을 주장
- 국방력 강화 문제를 단순히 군사제도의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고 국가체제의 재정비라는 이른바 國家再造라는 확대된 시야에서 접근할 것을 강조한 대표적 政論家
- 당시의 생산력 조건과 사회적 정서를 고려하여 철저하게 민의 자발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에서 군병을 확보하기 위해 병농분리론과 선봉론을 제출
- 여기에는 사족수포론이 포함되어 있어 양반사족론의 신분적 특권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한 양반사족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 보다 유리한 조건 속에서 군역을 마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금위군 편성을 제안
- 양반사회의 신분적 특권은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사족 우위의 사회분위기를 수도 방위력 강화로 발전적으로 해소하려는 상생의 변법론으로 간주
- 생존 동안은 중앙군 강화를 제외하고 실현되지 못했지만, 이후 조선 후기 국방 정책의 큰 골격
이귀의 군정변통론은 변법론, 國家再造論의 일환으로서 제기
이귀의 군정변통론의 요약
- 후금의 철기에 맞서 변방방어는 불가능하다는 전제 아래 거주지에서 근거리에 위치한 산성에서의 거험청야 전술을 기본 방어전략
- 전국적인 범위에서의 진관체제 복귀론을 그리고 도성방어는 불가능하다고 보고 강화도와 남한산성 保障으로 삼는 수도 방어 전략을 내놓았다.
- 이를 위하여 민의 자발성에 기초한 정예병의 선발, 重內經外의 원칙에 의거해 수도 방위를 위한 정예부대의 편성, 전국의 진관체제와 수도방위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전국적으로 일원화된 중앙집권적 군사제도의 창설등을 주장
- 국방력 강화 문제를 단순히 군사제도의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고 국가체제의 재정비라는 이른바 國家再造라는 확대된 시야에서 접근할 것을 강조한 대표적 政論家
- 당시의 생산력 조건과 사회적 정서를 고려하여 철저하게 민의 자발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에서 군병을 확보하기 위해 병농분리론과 선봉론을 제출
- 여기에는 사족수포론이 포함되어 있어 양반사족론의 신분적 특권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한 양반사족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 보다 유리한 조건 속에서 군역을 마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금위군 편성을 제안
- 양반사회의 신분적 특권은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사족 우위의 사회분위기를 수도 방위력 강화로 발전적으로 해소하려는 상생의 변법론으로 간주
- 생존 동안은 중앙군 강화를 제외하고 실현되지 못했지만, 이후 조선 후기 국방 정책의 큰 골격
추천자료
바람직한경찰의모습
스크린쿼터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무역구조
조선후기 삼정의 문란
한국정부의사회발달과정-정부수립부터오늘날까지
[한국경제의이해]1950년대 한국경제에 관해 논하시오
한국 언론의 객관주의 보도 원칙
미국의 대통령 선거제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 인식,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특별법, 초...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관하여
[민군관계론] 대한민국의 각 공화국별 민군관계와 역할에 대해서 - 제1공화국에서 제6공화국...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설립목적,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무력대항,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정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