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절도사(节度使) 안녹산(安綠山)
Ⅲ. 안사(安史)의 난(亂)
1. 배경
2. 경과
3. 결과 및 영향
Ⅳ. 결론
※ 참고문헌
Ⅱ. 절도사(节度使) 안녹산(安綠山)
Ⅲ. 안사(安史)의 난(亂)
1. 배경
2. 경과
3. 결과 및 영향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 속에 벌어진 숱한 반란들은 이 정의에 부합하는 목적에서 벌어진 것들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안사의 난은 특별하다. 그 시작은 지도자에 대한 반발이 아닌, 충성에서였다. 안녹산과 양국충 모두 비록 권세를 위하여 그랬을지라도 자신의 군주가 자신을 신임하고 총애하길 원했다. 결국 황제의 사적인 은총을 얻기 위한 둘 사이의 싸움은 점점 고조되었고 그 결과 발생한 것이 바로 안사의 난이다.
흔히 안사의 난이 당 쇠퇴의 시발점이라고 한다. 하지만 반란이 일어나기 전부터 당나라는 내부적으로 지배체제 및 제도적 모순을 지니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다만 그 문제들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다. 따라서 안사의 난을 단순히 개인의 욕망에서 비롯된 반란으로 볼 것이 아니라 당시 당나라 내부에 잠식하고 있던 불합리성과 연결지어 볼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젠보짠 저, 심규호 옮김,『중국사강요1』, 중앙북스, 2015
안정애 저, 『중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12
신성곤·윤혜영 저,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김선민 저, 『아시아의 역사와 문화2』, 신서원, 2006
鄭炳俊,「安史의 亂과 王思禮」,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5
흔히 안사의 난이 당 쇠퇴의 시발점이라고 한다. 하지만 반란이 일어나기 전부터 당나라는 내부적으로 지배체제 및 제도적 모순을 지니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다만 그 문제들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다. 따라서 안사의 난을 단순히 개인의 욕망에서 비롯된 반란으로 볼 것이 아니라 당시 당나라 내부에 잠식하고 있던 불합리성과 연결지어 볼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젠보짠 저, 심규호 옮김,『중국사강요1』, 중앙북스, 2015
안정애 저, 『중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12
신성곤·윤혜영 저,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김선민 저, 『아시아의 역사와 문화2』, 신서원, 2006
鄭炳俊,「安史의 亂과 王思禮」,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