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 상황에 맞게 말하기
1. 대단원 분석
1) 단원 개관
2) 단원 학습 목표
3) 관련 단원 분석 (본시 목표와 관련된 전시․차시 학습)
4) 대단원 지도 계획
5) 단원의 평가 계획 및 방법
6) 지도상의 유의점
2. 본시 수업 관련 주요 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방향 설정
1) 본시 학습 내용 요약
3) 교수 학습 방법의 이론적 고찰 및 실제 적용 방안 모색
본시 학습 지도안
학습지, 판서 계획, 형성평가
1. 대단원 분석
1) 단원 개관
2) 단원 학습 목표
3) 관련 단원 분석 (본시 목표와 관련된 전시․차시 학습)
4) 대단원 지도 계획
5) 단원의 평가 계획 및 방법
6) 지도상의 유의점
2. 본시 수업 관련 주요 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방향 설정
1) 본시 학습 내용 요약
3) 교수 학습 방법의 이론적 고찰 및 실제 적용 방안 모색
본시 학습 지도안
학습지, 판서 계획, 형성평가
본문내용
학 습 활 동
수 업
형 태
수 업
매 체
도달점
유의점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
전
개
상황
파악
요소
7
(24)
8
(32)
▶제일 먼저 나오는 요소가 뭐죠?
▶그렇습니다. 말을 하는 목적이 무엇인가 하는 점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겠어요.
또 목적이라고 하니까, 모두들 눈만 껌뻑이고 있는데, 말하기의 목적은 여러분들이 이미 배웠습니다. 저번에 배운 것들 다시 한 번 생각해 봅시다.
(설명, 설득, 친교 및 정서 표현 등 말하기의 목적을 학생들에게 환기시킨다.)
▶이런 말하기의 목적이 쓰기로 나타나면 어떻게 됩니까? (말하기와 쓰기를 표현으로 묶을 수 있다.)
▶(나머지 요소들도 교과서와 판서, PPT 화면을 통해 간단하게 담화 상황 구성 요소를 정리한다.)
▶자, 그럼 오른쪽에 활동 1번 있나요? 여러분들 좋아하는 짤막한 만화로 되어 있으니까, 같이 훑어 보도록 합시다.
▶자, 다들 만화를 읽어 봤죠? 그럼 같이 생각해 봅시다.
마지막 칸에 보면 삼촌은 삼촌대로, 조카는 조카대로 혼란에 빠져 있죠? 삼촌이 왜 말문이 막히게 되었을까요? 자자, 손들고 이야기해 봅시다.
▶(이 활동이 듣는 이에 대해 고려할 점을 파악하는데 있음을 얘기하면서 삼촌이 놓치고 있는 것은 조카의 언어수준, 이해수준이라는 것을 정리해 준다.)
▶목적이요.
▶설명 → 설명문
설득 → 논설문
친교 → 편지 등등
정서 표현 → 문학 등등
(교사가 ‘설명 → 설명문’관계를 이끌어 주고, 나머지 관계를 학생들로 하여금 답하게 한다.)
▶조카가 아는 말로 설명하기가 어려워서요. / 말하고 싶은 내용이 잘 정리가 안되어 있어요. / 잘난 척 하려고... (이런 답도 가능하다, 당황하지 말자!!!)
문답식
발표식
교과서
판서
+
PPT
학생들의 많은 실제적 경험을 들어 보자.
단
계
수 업
요 항
시
간
교 수 - 학 습 활 동
수 업
형 태
수 업
매 체
도달점
유의점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
8
(40)
▶(이 활동 외에도 ‘자신이 삼촌이라면 어떻게 설명을 할까?’, ‘어떤 때에 이해가 잘 안되었는가?’ 등의 물음으로 학생들 1~2명의 발표를 듣는다. 필요시 교사가 시범 설명)
▶잘 발표했습니다. 여러분들 이렇게 누군가에게 정보를 주기 위한 말하기를 무엇이라 했지요?
(선행학습 확인차원에서...)
▶이제 활동2번으로 넘어 가 보도록 합시다. 교과서 125쪽, 누가 한 번 읽어 봅시다. (시간의 여유가 있으면 PPT를 통해 신경림의 ‘가난한 사랑노래’를 띄워 준다.)
▶소영이가 말하기 전의 교실 분위기와 말하고 나서의 교실 분위기가 확실히 다르죠? (소영이가 놓치고 있는 것이, 분위기임을 확실히 인식시킨다.)
▶(이와 관련된 학생들의 경험을 1~2명 발표하게 한다.)
▶ 자, 지금까지 여러분들과 상황에 맞게 말하기에 대한 여러 요소들을 같이 공부해 봤어요.
이번 시간에는 여러 요소들 중에서도 말할 대상과 분위기에 대해서 활동을 했어요. 혹시 질문 있는 사람?
▶ 그럼 평가지에 있는 형성평가 문제를 다같이 풀어 보도록 합시다. (학생들과 형성평가를 풀고 피드백 해 준다. 과제도 제시)
▶ 차시학습 예고 및 인사
▶활동1과 함께 교사가 준비한 추가 활동을 발표한다.
▶설명이요~
▶학생 - 교과서를 읽는다.
▶수업 전에는 분위기가 좋았는데, 소영이 때문에 엉망이 돼 버렸어요. / 살벌해 졌어요. / 선생님이 화나신 것 같은데요.
(소영이가 분위기를 고려하지 않고 말하고 있음에 주목하게 한다.)
▶ 질문 혹은 침묵
▶ 형성평가를 푼다.
문답식
발표식
학습지②
교과서
+
PPT
평가지
수업이 끝날 무렵이라 어수선해지기 쉽다. 학생들을 끝까지 잘 통솔하자.
학습지 ①
1. 위 그림에서 사오정의 대답을 들은 강도의 반응을 생각해 보자.
2. 사오정은 왜 이런 대답을 하였는지 생각해 보자.
학습지 ②
1. 활동1에서 자신이 삼촌이라고 생각하고, 어린 조카에게 설명하여 보자.
2. 활동1의 조카와 같은 경험이 있는지 이야기하여 보자.
판서 계획
1. 담화 - 대화나 연설과 같이 한 문장 이상으로 이루어진 말의 단위
(반드시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있어야 성립)
2. 담화 상황 구성 요소
1) 목적 - 설명, 설득, 친교 및 감정 표현 등 말하기의 목적
말하기 → 쓰기
설명 → 설명문
설득 → 논설문
친교 → 편지 등등
정서표현 → 시, 노랫말 등등
2) 말할 대상 / 예)
3) 시간과 공간 / 예)
4) 이야기의 흐름 / 예)
5) 분위기 / 예)
* 학생들에게 각 요소들을 고려해야할 상황을 예로 들어오라고 한다. (숙제!!!)
형성평가 ①
다음 중 ‘담화’를 하고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없는 경우는?
① 친구랑 말싸움을 하는 염문이
② 수업시간에 발표를 하는 화랑이
③ 싸이클럽에서 후배랑 채팅을 하는 길동이
④ 수업시간 중에 ‘으~ 배고파...’라고 중얼거리는 기남이
형성평가 ②
다음은 중학교 1학년 교실에서의 국어 수업 장면이다. 잘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선생님 : 그러니까 시조의 향유계층하고 고소설의 향유계층을 잘 비교해 보면...
학생들 : (웅성웅성)
선생님 : 흐흠, 그러니까 시조는 조선시대 상층부의 사람들이...
학생 가 : 선생님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는데요...
이 대화가 적절하게 이어지지 못한 이유로 적절한 것은?
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선생님의 설명이 적절하지 못해서
② 학생들이 선생님의 말하는 목적을 파악하지 못해서
③ 학생들의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려운 내용이라서
④ 학생들이 수업의 흐름을 잡지 못해서
형성평가 ③
다음 대화를 듣고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말을 하고 있는 학생을 고르면?
철수 : 민지야! 네가 그림에 소질이 있는 줄은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인 줄은 몰랐어. 내가 훌륭한 화가 를 옆에 두고 몰라 봤었네. 민수야, 축하한다.
민지 : 축하해 줘서 고마워. 그치만 난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
재훈 : 그건 그래, 내가 보기에도 민지 그림은 좀 어설픈 데가 있어.
진호 : 어쨌든 우리 반에서 이런 경사가 생겼다는 게 나는 무척 기뻐, 민주야. 그림 열심히 그려. 그리고, 앞으로도 좋은 일 많이 있기를 바래.
①철수 ②민지 ③재훈 ④진호
수 업
형 태
수 업
매 체
도달점
유의점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
전
개
상황
파악
요소
7
(24)
8
(32)
▶제일 먼저 나오는 요소가 뭐죠?
▶그렇습니다. 말을 하는 목적이 무엇인가 하는 점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겠어요.
또 목적이라고 하니까, 모두들 눈만 껌뻑이고 있는데, 말하기의 목적은 여러분들이 이미 배웠습니다. 저번에 배운 것들 다시 한 번 생각해 봅시다.
(설명, 설득, 친교 및 정서 표현 등 말하기의 목적을 학생들에게 환기시킨다.)
▶이런 말하기의 목적이 쓰기로 나타나면 어떻게 됩니까? (말하기와 쓰기를 표현으로 묶을 수 있다.)
▶(나머지 요소들도 교과서와 판서, PPT 화면을 통해 간단하게 담화 상황 구성 요소를 정리한다.)
▶자, 그럼 오른쪽에 활동 1번 있나요? 여러분들 좋아하는 짤막한 만화로 되어 있으니까, 같이 훑어 보도록 합시다.
▶자, 다들 만화를 읽어 봤죠? 그럼 같이 생각해 봅시다.
마지막 칸에 보면 삼촌은 삼촌대로, 조카는 조카대로 혼란에 빠져 있죠? 삼촌이 왜 말문이 막히게 되었을까요? 자자, 손들고 이야기해 봅시다.
▶(이 활동이 듣는 이에 대해 고려할 점을 파악하는데 있음을 얘기하면서 삼촌이 놓치고 있는 것은 조카의 언어수준, 이해수준이라는 것을 정리해 준다.)
▶목적이요.
▶설명 → 설명문
설득 → 논설문
친교 → 편지 등등
정서 표현 → 문학 등등
(교사가 ‘설명 → 설명문’관계를 이끌어 주고, 나머지 관계를 학생들로 하여금 답하게 한다.)
▶조카가 아는 말로 설명하기가 어려워서요. / 말하고 싶은 내용이 잘 정리가 안되어 있어요. / 잘난 척 하려고... (이런 답도 가능하다, 당황하지 말자!!!)
문답식
발표식
교과서
판서
+
PPT
학생들의 많은 실제적 경험을 들어 보자.
단
계
수 업
요 항
시
간
교 수 - 학 습 활 동
수 업
형 태
수 업
매 체
도달점
유의점
교사의 발문과 조언
학생의 활동과 예상
8
(40)
▶(이 활동 외에도 ‘자신이 삼촌이라면 어떻게 설명을 할까?’, ‘어떤 때에 이해가 잘 안되었는가?’ 등의 물음으로 학생들 1~2명의 발표를 듣는다. 필요시 교사가 시범 설명)
▶잘 발표했습니다. 여러분들 이렇게 누군가에게 정보를 주기 위한 말하기를 무엇이라 했지요?
(선행학습 확인차원에서...)
▶이제 활동2번으로 넘어 가 보도록 합시다. 교과서 125쪽, 누가 한 번 읽어 봅시다. (시간의 여유가 있으면 PPT를 통해 신경림의 ‘가난한 사랑노래’를 띄워 준다.)
▶소영이가 말하기 전의 교실 분위기와 말하고 나서의 교실 분위기가 확실히 다르죠? (소영이가 놓치고 있는 것이, 분위기임을 확실히 인식시킨다.)
▶(이와 관련된 학생들의 경험을 1~2명 발표하게 한다.)
▶ 자, 지금까지 여러분들과 상황에 맞게 말하기에 대한 여러 요소들을 같이 공부해 봤어요.
이번 시간에는 여러 요소들 중에서도 말할 대상과 분위기에 대해서 활동을 했어요. 혹시 질문 있는 사람?
▶ 그럼 평가지에 있는 형성평가 문제를 다같이 풀어 보도록 합시다. (학생들과 형성평가를 풀고 피드백 해 준다. 과제도 제시)
▶ 차시학습 예고 및 인사
▶활동1과 함께 교사가 준비한 추가 활동을 발표한다.
▶설명이요~
▶학생 - 교과서를 읽는다.
▶수업 전에는 분위기가 좋았는데, 소영이 때문에 엉망이 돼 버렸어요. / 살벌해 졌어요. / 선생님이 화나신 것 같은데요.
(소영이가 분위기를 고려하지 않고 말하고 있음에 주목하게 한다.)
▶ 질문 혹은 침묵
▶ 형성평가를 푼다.
문답식
발표식
학습지②
교과서
+
PPT
평가지
수업이 끝날 무렵이라 어수선해지기 쉽다. 학생들을 끝까지 잘 통솔하자.
학습지 ①
1. 위 그림에서 사오정의 대답을 들은 강도의 반응을 생각해 보자.
2. 사오정은 왜 이런 대답을 하였는지 생각해 보자.
학습지 ②
1. 활동1에서 자신이 삼촌이라고 생각하고, 어린 조카에게 설명하여 보자.
2. 활동1의 조카와 같은 경험이 있는지 이야기하여 보자.
판서 계획
1. 담화 - 대화나 연설과 같이 한 문장 이상으로 이루어진 말의 단위
(반드시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있어야 성립)
2. 담화 상황 구성 요소
1) 목적 - 설명, 설득, 친교 및 감정 표현 등 말하기의 목적
말하기 → 쓰기
설명 → 설명문
설득 → 논설문
친교 → 편지 등등
정서표현 → 시, 노랫말 등등
2) 말할 대상 / 예)
3) 시간과 공간 / 예)
4) 이야기의 흐름 / 예)
5) 분위기 / 예)
* 학생들에게 각 요소들을 고려해야할 상황을 예로 들어오라고 한다. (숙제!!!)
형성평가 ①
다음 중 ‘담화’를 하고 있는 상황으로 볼 수 없는 경우는?
① 친구랑 말싸움을 하는 염문이
② 수업시간에 발표를 하는 화랑이
③ 싸이클럽에서 후배랑 채팅을 하는 길동이
④ 수업시간 중에 ‘으~ 배고파...’라고 중얼거리는 기남이
형성평가 ②
다음은 중학교 1학년 교실에서의 국어 수업 장면이다. 잘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선생님 : 그러니까 시조의 향유계층하고 고소설의 향유계층을 잘 비교해 보면...
학생들 : (웅성웅성)
선생님 : 흐흠, 그러니까 시조는 조선시대 상층부의 사람들이...
학생 가 : 선생님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는데요...
이 대화가 적절하게 이어지지 못한 이유로 적절한 것은?
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선생님의 설명이 적절하지 못해서
② 학생들이 선생님의 말하는 목적을 파악하지 못해서
③ 학생들의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려운 내용이라서
④ 학생들이 수업의 흐름을 잡지 못해서
형성평가 ③
다음 대화를 듣고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말을 하고 있는 학생을 고르면?
철수 : 민지야! 네가 그림에 소질이 있는 줄은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인 줄은 몰랐어. 내가 훌륭한 화가 를 옆에 두고 몰라 봤었네. 민수야, 축하한다.
민지 : 축하해 줘서 고마워. 그치만 난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
재훈 : 그건 그래, 내가 보기에도 민지 그림은 좀 어설픈 데가 있어.
진호 : 어쨌든 우리 반에서 이런 경사가 생겼다는 게 나는 무척 기뻐, 민주야. 그림 열심히 그려. 그리고, 앞으로도 좋은 일 많이 있기를 바래.
①철수 ②민지 ③재훈 ④진호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 교수학습지도안- 기억속의 들꽃
고등 문법-학습지도안
수학과 학습지도안 수학10-가 인수분해 파트입니다. 2차시 분량입니다.
문벌귀족사회의 동요-국사학습지도안
세도정치 학습지도안
체육과 수영학습지도안(고등학교)
농구 학습지도안
수상안전 학습지도안
육상 교수학습지도안(던지기-공던지기)
국어 듣기 학습지도안
체대 입시학습지도안
<가을 학습지도안> 가을 소풍 | 생활 주제 : 가을
보건교육 학습지도안 (중1) 단원명 : 낯선 사람을 조심해요 | 본시주제 : 낯선 사람에 의한 ...
<도덕 교수학습지도안> 중2 단원 : Ⅳ. 문화와 도덕 / 주제 : 과학 기술과 현대인의 삶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