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다. 하지만 효모에게는 이러한 효소가 존재하지 않아 녹말을 이용해서 발효를 할 수는 없다. 대신에 효모는 설탕효소를 이용해서 설탕을 포도당으로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었다.
효모가 포도당을 발효할 때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원료는 무엇인가?
Glucose인데 정확히 말하면 pyruvate이다. glucose가 ATP를 형성하며 pyruvate로 전환되고 이것이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될 때 CO2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효모의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또 무엇이 있을까?
효모를 이용한 발효 실험을 할 때 효모액과 각 용액이 들어있는 시험관을 따뜻한 물에 넣어두었다. 이는 효모의 발효에 온도도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효모의 활성이나 당분용액의 농도 등이 추가적으로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험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
발효과정의 조건인 ‘온도’에서 대조군이 부족했다.
효모액과 포도당, 녹말 그리고 설탕용액이 들어있는 발효관을 따뜻한 물에 넣어둔 것은 온도가 효모에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모든 시험관을 동시에 따뜻한 물에 넣어두었기 때문에 온도가 발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다음 실험에서는 온도의 영향도 알아볼 수 있도록 하나의 시험관은 상온에, 하나의 시험관은 따뜻한 물에, 하나의 시험관은 차가운 물에서 발효를 확인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녹말’ 시험관에 아밀라아제를 넣었다면?
효모는 녹말을 이용해서 발효를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저번주에 했던 실험에서 아밀라아제가 녹말을 분해하는데에 중요 역할을 했음을 알았다. 그랬기 때문에 녹말 시험관에 추가적으로 아밀라아제를 넣어주었다면 아밀라아제의 효능을 이번 실험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다.
발생한 기체가 정말 CO2일까?
이번 실험에서 발효의 결과 어떠한 기체가 생성된다는 것은 알았지만 이것이 CO2일 것이라는 검증과정은 거치지 않았다. 우리조는 발효의 과정을 예비레포트에서 대략 알고 왔었기 때문에 이 기체가 CO2일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확한 검증은 하지 않았다. 실험에서 추가적을 KOH등을 넣어준다면 CO2가 KOH와 반응하여 사라질 것이기 때문에 이 기체가 CO2일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실험과정을 추가적으로 해주었다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campbell외, 생명과학, 라이프사이언스, 2008
효모가 포도당을 발효할 때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원료는 무엇인가?
Glucose인데 정확히 말하면 pyruvate이다. glucose가 ATP를 형성하며 pyruvate로 전환되고 이것이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될 때 CO2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효모의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또 무엇이 있을까?
효모를 이용한 발효 실험을 할 때 효모액과 각 용액이 들어있는 시험관을 따뜻한 물에 넣어두었다. 이는 효모의 발효에 온도도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효모의 활성이나 당분용액의 농도 등이 추가적으로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험과정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
발효과정의 조건인 ‘온도’에서 대조군이 부족했다.
효모액과 포도당, 녹말 그리고 설탕용액이 들어있는 발효관을 따뜻한 물에 넣어둔 것은 온도가 효모에 발효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모든 시험관을 동시에 따뜻한 물에 넣어두었기 때문에 온도가 발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다음 실험에서는 온도의 영향도 알아볼 수 있도록 하나의 시험관은 상온에, 하나의 시험관은 따뜻한 물에, 하나의 시험관은 차가운 물에서 발효를 확인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녹말’ 시험관에 아밀라아제를 넣었다면?
효모는 녹말을 이용해서 발효를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저번주에 했던 실험에서 아밀라아제가 녹말을 분해하는데에 중요 역할을 했음을 알았다. 그랬기 때문에 녹말 시험관에 추가적으로 아밀라아제를 넣어주었다면 아밀라아제의 효능을 이번 실험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다.
발생한 기체가 정말 CO2일까?
이번 실험에서 발효의 결과 어떠한 기체가 생성된다는 것은 알았지만 이것이 CO2일 것이라는 검증과정은 거치지 않았다. 우리조는 발효의 과정을 예비레포트에서 대략 알고 왔었기 때문에 이 기체가 CO2일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확한 검증은 하지 않았다. 실험에서 추가적을 KOH등을 넣어준다면 CO2가 KOH와 반응하여 사라질 것이기 때문에 이 기체가 CO2일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실험과정을 추가적으로 해주었다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campbell외, 생명과학, 라이프사이언스, 2008
추천자료
유전학 과제 및 실험 레포트
당뇨병 판정실험
환경미생물학실험보고서
당 센서 제작 및 당 측정 실험
[식품분석실험] 수분정량 상압건조법과 적외선 수분정량법
[분석실험] Gas Chromatography 를 이용한 지방산 분석.
<미생물학 실험> 습윤 표본 검사법, 현미경의 구조와 사용법
어류(넙치)에서 비브리오 확인(추출) 실험
바이오에탄올실험
[일반생물학실험] 생물체 조성의 검사I(탄수화물의 검출)
[세균학실험]7. 미생물의 산업적 응용- 요구르트 만들기
미생물과 효소 실험보고서 - 김치, 요거트, 막걸리 등의 생균제품으로부터 시료 채취
품목별재배실습(양송이버섯 여름철 재배방법) 실험실습
감주(식혜) 만들기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