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
1) 철학자 보에티우스
2) 『철학의 위안』
Ⅱ. 철학의 여신의 옷
1) 철학의 여신의 옷에 새겨진 상징
2) 철학의 여신의 옷이 찢어진 것처럼 보이는 이유
Ⅲ. 위안의 기제: 뮤즈, 운명, 철학의 여신의 각 기제 비교
1) 뮤즈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
2) 운명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
3) 철학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
4) 상호 비교
Ⅳ. 위안의 기제 적용
Ⅴ. 참고 자료
1) 철학자 보에티우스
2) 『철학의 위안』
Ⅱ. 철학의 여신의 옷
1) 철학의 여신의 옷에 새겨진 상징
2) 철학의 여신의 옷이 찢어진 것처럼 보이는 이유
Ⅲ. 위안의 기제: 뮤즈, 운명, 철학의 여신의 각 기제 비교
1) 뮤즈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
2) 운명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
3) 철학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
4) 상호 비교
Ⅳ. 위안의 기제 적용
Ⅴ. 참고 자료
본문내용
서 그를 절망에 빠지게 만들었다. 다음으로 운명의 여신은 보에티우스가 운명의 가변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예전의 행운을 그리워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그는 행운을 상실했다고 생각했고 정신이 혼란해졌다. 따라서 위안을 주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철학의 여신은 보에티우스가 최고선과 신의 섭리에 따라 살게 만들어 그에게 참된 믿음과 뚜렷한 통찰력을 갖게 했으므로 올바른 위안의 기제를 펼쳤다고 볼 수 있다.
Ⅳ. 위안의 기제 적용
고전이 고전으로 남아 현세까지 읽히는 이유는 시대에 상관없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철학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는 현대 사회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녀의 위안의 기제는 저자인 보에티우스의 철학적 견해와 동일시해도 무방하다. 인생의 깊은 의미를 통찰해서 운명의 장난에도 불구하고 모든 일을 주관하는 신에게 위안을 받으라는 종교적이고도 철학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이다.
모든 인간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좋은 일과 나쁜 일을 겪는다. 좋은 일은 행운이요, 나쁜 일은 불행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때, 철학의 여신이 언급했던 것처럼 행운도 불행도 운명의 여신의 장난일 뿐이라는 말을 기억한다면, 시대에 상관없이 각 개인이 겪는 불행은 일시적인 것이므로 너무 상심해 있을 필요가 없다. 행운 또한 일시적이지만 계속 변하기 때문에 낙담할 필요가 없다.
철학의 여신은 최고선과 신을 동일시 했지만 최고선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명확하게 밝혀 이야기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저 자유의지의 주체인 인간이 운명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 신의 섭리이며 최고선이라 말한다. 최근 베스트셀러를 보면, 가까운 과거에서처럼 매사에 열정적으로, 치열하게 삶을 살면서 성공을 쟁취하라는 메시지보다는 ‘지금 일이 잘 안 풀려도 괜찮다 혹은, 남들이 말하는 물질적인 성공이 아니라 자기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어라‘라는 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책이 많다. 철학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는 이미 적용이 되어 현대인들에게 위로가 되고 있는 것이다.
Ⅴ. 참고 자료
보에티우스 [Ani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한국사전연구사)
감옥에서 쓴 영향력 있는 저작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2009. 8. 20., 마로니에북스)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박문재, 현대지성, 2018년
Ⅳ. 위안의 기제 적용
고전이 고전으로 남아 현세까지 읽히는 이유는 시대에 상관없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철학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는 현대 사회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녀의 위안의 기제는 저자인 보에티우스의 철학적 견해와 동일시해도 무방하다. 인생의 깊은 의미를 통찰해서 운명의 장난에도 불구하고 모든 일을 주관하는 신에게 위안을 받으라는 종교적이고도 철학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이다.
모든 인간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좋은 일과 나쁜 일을 겪는다. 좋은 일은 행운이요, 나쁜 일은 불행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때, 철학의 여신이 언급했던 것처럼 행운도 불행도 운명의 여신의 장난일 뿐이라는 말을 기억한다면, 시대에 상관없이 각 개인이 겪는 불행은 일시적인 것이므로 너무 상심해 있을 필요가 없다. 행운 또한 일시적이지만 계속 변하기 때문에 낙담할 필요가 없다.
철학의 여신은 최고선과 신을 동일시 했지만 최고선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명확하게 밝혀 이야기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저 자유의지의 주체인 인간이 운명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 신의 섭리이며 최고선이라 말한다. 최근 베스트셀러를 보면, 가까운 과거에서처럼 매사에 열정적으로, 치열하게 삶을 살면서 성공을 쟁취하라는 메시지보다는 ‘지금 일이 잘 안 풀려도 괜찮다 혹은, 남들이 말하는 물질적인 성공이 아니라 자기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어라‘라는 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책이 많다. 철학의 여신의 위안의 기제는 이미 적용이 되어 현대인들에게 위로가 되고 있는 것이다.
Ⅴ. 참고 자료
보에티우스 [Anicius Manlius Severinus Boethius]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한국사전연구사)
감옥에서 쓴 영향력 있는 저작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2009. 8. 20., 마로니에북스)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박문재, 현대지성, 2018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