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 가르치기
1. 교실에서의 갈등
2. 갈등 관리자로서의 아이들
3. 고학년 학생들의 갈등 훈련
4.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급회의를 활용하는 일
5. 관련된 학생의 이름을 거론하며 토론하는 것(학급회의)
6. 갈등에 관한 교육과정
7. 구조화된 기능 훈련
8. 실제적인 갈등을 통하여 아이들을 지도하기
9. 갈등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책임감을 드높이는 일
1. 교실에서의 갈등
2. 갈등 관리자로서의 아이들
3. 고학년 학생들의 갈등 훈련
4.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급회의를 활용하는 일
5. 관련된 학생의 이름을 거론하며 토론하는 것(학급회의)
6. 갈등에 관한 교육과정
7. 구조화된 기능 훈련
8. 실제적인 갈등을 통하여 아이들을 지도하기
9. 갈등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책임감을 드높이는 일
본문내용
들을 서로 대화하는 장소로 보낸다.
(어떤 교사들은 대화 장소를 명시하기 위해 교실 바닥에 갈등의 원을 표시해 놓는다고 한다.)
③ 과제를 부과한다. - “어떤 일이 생겼는지에 대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만든다.”
⇒ 점차로 아이들은 자신들의 갈등을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을 터득
2) 5학년을 가르치고 있는 한 교사 - 아이들이 서로 싸울 때, 그 아이들에게 각자 다음 문장을 쓰게 한다.
① 무엇이 문제인가?
② 이런 일이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
③ 앞으로는 이런 일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3) 조앤 쉐힌 교장 선생 - 싸움 때문에 교장실에 불려온 아이들을 위해 3단계 과정을 활용
① 교장 선생이 나누어준 종이를 활용하여 생활, 흥미, 감정 등에 관한 인터뷰를 상호간에 실시
(∴ 아이들은 종종 서로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싸우게 된다.)
② 두 아이에게 정해진 시간을 주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 보게 한다. 그들이 아무 것도 생각해 내지 못한다면 교장 선생은 몇 가지 대안들을 제시하고 그것들 가운데 최상의 것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선택하게 한다.
③ 며칠이 지난 후에, 그들의 해결방법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보고서를 교장 선생에게 제출해야 한다.
4) 위스콘신 대학교의 심리학자 로버트 엔라이트
-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들과 함께 아이들을 사회적인 문제해결사가 되도록 연구 실행
① 교실에서의 갈등이 생길 때, 교사는 아이들에게 그들이 행한 것을 나타내는데 누가 직접적으로 연루되어 있는지, 그것이 다른 학생들의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들이 할 수 있었던 다른 방법은 없었는지, 이와 비슷한 경우가 또 생긴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물어봄
② 교사는 이러한 새로운 문제 해결 계획을 따르는데 아이들이 책임을 지도록 함
③ 11주가 지난 후 여기에 참여한 1학년 아이들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적 이해 수준과 공정성에 대한 추론 능력에 있어 월등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냄
▣ 인간이 상호작용을 하는 한 갈등은 언제나 있기 마련입니다. 교실 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소한 일이지만 당사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따라 또는 분위기에 따라 커다란 갈등이 야기될 수 있습니다. 이를 교사는 방관해서는 안됩니다. 특히 아이들에 관해 폭넓은 면을 책임져야 하는 초등학교 교사로서 우리는 대화와 타협의 방법이 인정받고 통용되는 너그러운 학급 분위기를 가꾸어 나갈 책임이 있습니다.
(어떤 교사들은 대화 장소를 명시하기 위해 교실 바닥에 갈등의 원을 표시해 놓는다고 한다.)
③ 과제를 부과한다. - “어떤 일이 생겼는지에 대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만든다.”
⇒ 점차로 아이들은 자신들의 갈등을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을 터득
2) 5학년을 가르치고 있는 한 교사 - 아이들이 서로 싸울 때, 그 아이들에게 각자 다음 문장을 쓰게 한다.
① 무엇이 문제인가?
② 이런 일이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
③ 앞으로는 이런 일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3) 조앤 쉐힌 교장 선생 - 싸움 때문에 교장실에 불려온 아이들을 위해 3단계 과정을 활용
① 교장 선생이 나누어준 종이를 활용하여 생활, 흥미, 감정 등에 관한 인터뷰를 상호간에 실시
(∴ 아이들은 종종 서로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싸우게 된다.)
② 두 아이에게 정해진 시간을 주고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 보게 한다. 그들이 아무 것도 생각해 내지 못한다면 교장 선생은 몇 가지 대안들을 제시하고 그것들 가운데 최상의 것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선택하게 한다.
③ 며칠이 지난 후에, 그들의 해결방법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보고서를 교장 선생에게 제출해야 한다.
4) 위스콘신 대학교의 심리학자 로버트 엔라이트
-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들과 함께 아이들을 사회적인 문제해결사가 되도록 연구 실행
① 교실에서의 갈등이 생길 때, 교사는 아이들에게 그들이 행한 것을 나타내는데 누가 직접적으로 연루되어 있는지, 그것이 다른 학생들의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들이 할 수 있었던 다른 방법은 없었는지, 이와 비슷한 경우가 또 생긴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물어봄
② 교사는 이러한 새로운 문제 해결 계획을 따르는데 아이들이 책임을 지도록 함
③ 11주가 지난 후 여기에 참여한 1학년 아이들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대인관계적 이해 수준과 공정성에 대한 추론 능력에 있어 월등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냄
▣ 인간이 상호작용을 하는 한 갈등은 언제나 있기 마련입니다. 교실 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소한 일이지만 당사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따라 또는 분위기에 따라 커다란 갈등이 야기될 수 있습니다. 이를 교사는 방관해서는 안됩니다. 특히 아이들에 관해 폭넓은 면을 책임져야 하는 초등학교 교사로서 우리는 대화와 타협의 방법이 인정받고 통용되는 너그러운 학급 분위기를 가꾸어 나갈 책임이 있습니다.
소개글